응우옌호아
보이기

응우옌호아에 대한 다국어 표기 | |
---|---|
한글 표기: | 응우옌호아 |
한자 표기: | 元和 |
한국 한자음 표기: | 원화 |
중국어 표기: | 元和 |
한어병음 표기: | yuánhé (위엔허) |
일본어 표기: | 元和 |
가나 표기: | ゲンワ (겐와) ゲンナ (겐나) ガンオ (간오) |
베트남어 표기: | Nguyên Hòa |
응우옌호아(베트남어: Nguyên Hòa / 元和 원화 1533년 1월 ~ 1548년)는 베트남 후 레 왕조(後黎朝) 장종(莊宗) 레닌(黎寧)의 연호이다.
개원
[편집]- 응우옌호아(元和) 16년 1월 29일[2](율리우스력 1548년 3월 9일)에 연호를 투언빈(順平)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3](율리우스력 1549년 1월 29일)에 개원함.[1][4]
연대 대조표
[편집]연대 대조표
응우옌호아 | 서기 (西紀) |
간지 (干支) |
막 왕조 연호 | 명나라 연호 |
원년 | 1533년 | 계사 (癸巳) |
다이찐(大正) 4년 | 가정(嘉靖) 12년 |
---|---|---|---|---|
2년 | 1534년 | 갑오 (甲午) |
다이찐 5년 | 가정 13년 |
3년 | 1535년 | 을미 (乙未) |
다이찐 6년 | 가정 14년 |
4년 | 1536년 | 병신 (丙申) |
다이찐 7년 | 가정 15년 |
5년 | 1537년 | 정유 (丁酉) |
다이찐 8년 | 가정 16년 |
6년 | 1538년 | 무술 (戊戌) |
다이찐 9년 | 가정 17년 |
7년 | 1539년 | 기해 (己亥) |
다이찐 10년 | 가정 18년 |
8년 | 1540년 | 경자 (庚子) |
다이찐 11년 | 가정 19년 |
9년 | 1541년 | 신축 (辛丑) |
꽝호아(廣和) 원년 | 가정 20년 |
10년 | 1542년 | 임인 (壬寅) |
꽝호아 2년 | 가정 21년 |
응우옌호아 | 서기 (西紀) |
간지 (干支) |
막 왕조 연호 | 명나라 연호 |
11년 | 1543년 | 계묘 (癸卯) |
꽝호아(廣和) 3년 | 가정(嘉靖) 22년 |
12년 | 1544년 | 갑진 (甲辰) |
꽝호아 4년 | 가정 23년 |
13년 | 1545년 | 을사 (乙巳) |
꽝호아 5년 | 가정 24년 |
14년 | 1546년 | 병오 (丙午) |
꽝호아 6년 | 가정 25년 |
15년 | 1547년 | 정미 (丁未) |
빈딘(永定) 원년 | 가정 26년 |
16년 | 1548년 | 무신 (戊申) |
빈딘 2년 까인릭(景曆) 원년 |
가정 27년 |
동시대 연호
[편집]- 막 왕조(莫朝)
- 기타
- 명(明)
- 기타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속편(本紀續編) 권1 - 여황조기(黎皇朝紀) 7
- ↑ 무신년(戊申年) 1월 병오일(丙午日)
- ↑ 기유년(己酉年) 1월 임신일(壬申日)
- ↑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이전 통응우옌(統元) <막 왕조 민득(明德)> |
후 레 왕조의 연호 1533년 ~ 1548년 |
다음 투언빈(順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