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태반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태반류
Common vampire batEastern gray squirrelPlains zebraAardvarkHumpback whaleBlack and rufous elephant shrewHumanGround pangolinSunda flying lemurWest Indian manateeEuropean hedgehogNine-banded armadilloSouthern elephant sealAsian elephantReindeerGiant anteaterGiant pandaAmerican pika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하위 분류

유태반류(한자: 有胎盤類, 영어: Placentalia /plæsənˈtliə/) 또는 유태반아강포유류의 3개의 아강들 중 하나이다. 다른 두 부류는 단공류유대류이다.[1] 태아가 어미의 자궁을 통해 상대적으로 발달 후기에 착상한다는 점에서 다른 포유류와 부분적으로 구별된다.

해부학적 특징

[편집]

유태반류 포유류는 해부학적으로 다른 포유류와 구별된다.

  • 산모의 몸집에 비해 큰 아기를 낳을 수 있을 만큼 골반 바닥에 충분히 넓은 구멍이 있다.[2]
  • 다른 모든 포유류에서 발견되는 골반에서 앞으로 뻗어 있는 치골뼈가 없다.[3](태반이 아닌 포유동물에서 이들의 기능은 운동하는 동안 몸을 경직시키는 것이지만,[3] 태반에 있는 포유동물에서는 임신 중 복부 확장을 억제한다.)[4]
  • 발의 가장 뒤쪽 뼈는 경골비골의 끝 부분에 의해 형성된 소켓에 맞아 완전한 장부이음 상부 발목 관절을 형성한다.[5]
  • 비골 바닥에 복사뼈가 존재한다.[5]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포유류 계통 분류이다.[6]

포유강

단공목 오리너구리

수아강

유대하강 캥거루과

진수하강
대서양원류

아프로테리아상목 아시아코끼리 매너티속

빈치상목 아홉띠아르마딜로 큰개미핥기

북방진수류
로라시아상목

진무맹장목 두더지과

음낭야수류

박쥐목 흡혈박쥐아과

야수진제류
광수류

유린목 천산갑과

식육목 치타캘리포니아바다사자

진유제류

말목(기제류) 사바나얼룩말검은코뿔소

경우제목(우제류) 왈리아아이벡스북대서양참고래

영장상목

설치동물 시궁쥐속산토끼속

영장동물 울보카푸친사람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o.dict.naver.com”. 2024년 1월 9일에 확인함. 
  2. Weil, A. (April 2002). “Mammalian evolution: Upwards and onwards”. 《Nature》 416 (6883): 798–799. Bibcode:2002Natur.416..798W. doi:10.1038/416798a. PMID 11976661. S2CID 4332049. 
  3. Reilly, S. M.; White, T. D. (January 2003). “Hypaxial Motor Patterns and the Function of Epipubic Bones in Primitive Mammals”. 《Science》 299 (5605): 400–402. Bibcode:2003Sci...299..400R. doi:10.1126/science.1074905. PMID 12532019. S2CID 41470665. 
  4. Novacek, M. J., Rougier, G. W, Wible, J. R., McKenna, M. C, Dashzeveg, D. and Horovitz, I. (October 1997). “Epipubic bones in eutherian mammal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Mongolia”. 《Nature》 389 (6650): 483–486. Bibcode:1997Natur.389..483N. doi:10.1038/39020. PMID 9333234. S2CID 205026882. 
  5. Ji, Q., Luo, Z-X., Yuan, C-X., Wible, J. R., Zhang, J-P. and Georgi, J. A. (April 2002). “The earliest known eutherian mammal”. 《Nature》 416 (6883): 816–822. Bibcode:2002Natur.416..816J. doi:10.1038/416816a. PMID 11976675. S2CID 4330626. 
  6. Nishihara, H.; Maruyama, S.; Okada, N. (2009).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13): 5235–5240. Bibcode:2009PNAS..106.5235N. doi:10.1073/pnas.0809297106. PMC 2655268. PMID 19286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