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정지(有頂地)는 3계를 9지로 나눈 3계9지(三界九地) 즉 ''(有)에서 '가장 높은'[頂] 지(地)를 말한다. 즉, 무색계비상비비상처천을 3계9지의 관점에서 말할 때 유정지라고 한다.

'유정'(有頂)에는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는데[1] 유정지라고 할 때는 두 번째 뜻이 적용된다.[2] 한편, 유정천(有頂天)이라고 할 때는 문맥에 따라 첫 번째 뜻이 될 수도 있고 두 번째 뜻이 될 수도 있다.[3][4][5][6]

유정지(有頂地)는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표: 3계9지와 유정지[편집]

9지(九地)삼계三界 · 6도六道
구사론 제8권천태사교의장아함경 제20권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① 욕계오취지
(欲界五趣地)
= 오취잡거지
(五趣雜居地)

욕계(欲界) - 5취욕계(欲界) - 6도욕계(欲界) -
욕계 12종(欲界十二種)
 (1) 지옥취(地獄趣) (1) 지옥도(地獄道) (1) 지옥(地獄)
 (2) 아귀취(餓鬼趣) (2) 축생도(畜生道) (2) 축생(畜生)
 (3) 방생취(傍生趣) (3) 아귀도(餓鬼道) (3) 아귀(餓鬼)
  (4) 아수라도(阿修羅道) (4) 인(人)
 (4) 인취(人趣) - 4대주(四大洲) (5) 인도(人道) - 4대주(四大洲) (5) 아수륜(阿須倫)
 (5) 천취(天趣) - 6욕천(六欲天) (6) 천도(天道) - 6욕천(六欲天) (6) 4천왕(四天王)
 (1)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1) 4천왕천(四天王天) (7) 도리천(忉利天)
 (2) 33천(三十三天) (2) 도리천(忉利天) (8) 염마천(焰摩天)
 (3) 야마천(夜摩天) (3) 야마천(夜摩天) (9) 도솔천(兜率天)
 (4) 도사다천(都史多天) (4) 도솔천(兜率天) (10) 화자재천(化自在天)
 (5) 낙변화천(樂變化天) (5) 화락천(化樂天) (11)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12) 마천(魔天)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천취(天趣)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천도(天道)
색계(色界) -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

② 이생희락지
(離生喜樂地)

 제1정려처(第一靜慮處) 초선3천(初禪三天) (1) 범신천(梵身天)
 (1) 범중천(梵衆天) (1) 범중천(梵衆天) (2) 범보천(梵輔天)
 (2) 범보천(梵輔天) (2) 범보천(梵輔天) (3) 범중천(梵衆天)
 (3) 대범천(大梵天) (3) 대범천(大梵天) (4) 대범천(大梵天)

③ 정생희락지
(定生喜樂地)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2선3천(二禪三天) (5) 광천(光天)
 (4) 소광천(少光天) (4) 소광천(少光天) (6) 소광천(少光天)
 (5) 무량광천(無量光天) (5) 무량광천(無量光天) (7) 무량광천(無量光天)
 (6) 극광정천(極光淨天) (6) 광음천(光音天) (8) 광음천(光音天)

④ 이희묘락지
(離喜妙樂地)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3선3천(三禪三天) (9) 정천(淨天)
 (7) 소정천(少淨天) (7) 소정천(少淨天) (10) 소정천(少淨天)
 (8) 무량정천(無量淨天) (8) 무량정천(無量淨天) (11) 무량정천(無量淨天)
 (9) 변정천(遍淨天) (9) 변정천(遍淨天) (12) 변정천(遍淨天)

⑤ 사념청정지
(捨念淸淨地)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4선9천(四禪九天) (13) 엄식천(嚴飾天)
 (10) 무운천(無雲天) (10) 무운천(無雲天) (14) 소엄식천(小嚴飾天)
 (11) 복생천(福生天) (11) 복생천(福生天)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12) 광과천(廣果天) (12) 광과천(廣果天)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13) 무상천(無想天) (17) 무상천(無想天)
 (13) 무번천(無煩天) (14) 무번천(無煩天) (18) 무조천(無造天)
 (14) 무열천(無熱天) (15) 무열천(無熱天) (19) 무열천(無熱天)
 (15) 선현천(善現天) (16) 선견천(善見天) (20) 선견천(善見天)
 (16) 선견천(善見天) (17) 선현천(善現天) (21) 대선견천(大善見天)
 (17) 색구경천(色究竟天) (18) 색구경천(色究竟天) (22)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
천취(天趣)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
천도(天道)
무색계(無色界) -
무색계 4종(無色界四種)

⑥ 공무변처지
(空無邊處地)

 (1) 공무변처(空無邊處) (1) 공처천(空處天) (1) 공지천(空智天)

⑦ 식무변처지
(識無邊處地)

 (2) 식무변처(識無邊處) (2) 식처천(識處天) (2) 식지천(識智天)

⑧ 무소유처지
(無所有處地)

 (3) 무소유처(無所有處) (3)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3) 무소유지천(無所有智天)

⑨ 비상비비상처지
(非想非非想處地)
= 유정지(有頂地)

 (4)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4) 비비상천(非非想天) (4) 유상무상지천(有想無想智天)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有頂天",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有頂天
    梵語 akaniṣṭha,巴利語 akaniṭṭha。音譯作阿迦尼吒。又稱色究竟天。乃色界四禪天之第九天,為有形世界之最頂峰,故稱有頂。此外,有頂天亦指無色界之第四天,即非想非非想處天,以其為三有(三界)之絕頂,故稱有頂。於現存之梵文法華經中,長行、重頌內皆以梵語 bhavāgra 作為有頂之意,而不用梵語 akaniṣṭha 一語。〔法華經卷一序品、大毘婆沙論卷七十四、俱舍論卷二十四、法華義疏卷二(吉藏)〕(參閱「非想非非想處天」4688)p3065
  2. "有頂惑",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有頂惑
    指有頂地之惑。又作非想之惑。據俱舍論卷二十四載,有頂地為三界九地中之最上地,於此地所起之惑,有見惑、修惑二種,其中,見惑於見道一時斷之,修惑則於修道時,先以六行觀斷除下八地之七十二品惑業,次以無漏智斷除有頂地九品惑業中之下八品,此時稱為阿羅漢向,最後斷除第九品之惑業時,稱為阿羅漢果。蓋此有頂惑,非無漏智不能斷除,因無漏智之勢力牢強,能治自地之惑及上地之惑,故能斷之。p3065
  3. "有頂天(유정천)", 운허. 《불교사전》.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有頂天(유정천)
    비상비비상천(非想非非想天)의 다른 이름. 3계(界)를 9지(地)에 나눈 중에 이 하늘은 무색계의 최상천(最上天)이므로, 유(有)의 정이란 뜻.
  4. "유정천[有頂天]",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유정천[有頂天]
    ① 색계 17천(天) 가운데 가장 위에 있는 색구경천(色究竟天)을 말함. 형상에 얽매여 있는 경지의 가장 위라는 뜻.
    ② 무색계 4천(天) 가운데 가장 위에 있는 비상비비상천(非想非非想天)을 말함. 삼계(三界)의 가장 위라는 뜻.
  5. "有頂",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有頂
    Basic Meaning: highest level of [material] existence
    Senses:
    The fourth heaven of the form realm 色界 (Skt. bhava-agra). Akaniṣṭha, the highest heaven of form, the ninth and last of the fourth dhyāna heavens. See also 有頂天, and 色究竟天 (Skt. bhāvāgrika, Bhavâgra-bhūmika, Bhavâgra-ja, agra, Bhavâgra; akaniṣṭha; Pāli bhava-agga) 〔成唯識論 T 1585.31.23b22〕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Hirakawa]
  6. "有頂天",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12일에 확인:
    有頂天
    Basic Meaning: highest heaven
    Senses:
    Peak heaven; another name for 色究竟天, the uppermost heaven (meditative state) in the realm of form, the highest level of the fourth dhyāna (Skt. Bhavâgra, akaniṣṭha; Pāli akaniṭṭha). Also called the No-thought-no-non-thought Heaven 非想非非想處. 〔法華經 T 262.9.48a28〕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