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노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산가에서 넘어옴)

잡가(雜歌)는 국악의 한 갈래로, 서울을 중심으로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널리 불리던 민속 음악이다. 좌창이라고도 한다.

유래[편집]

조선 후기에 가곡, 가사, 시조 등의 가악(歌樂)이 번창하기 시작했다. 이때 노래에 재주를 가지고 있던 가객(歌客)들이 오래전부터 전해오던 노래를 발전시켜서 만든 것이 잡가이다.

분류[편집]

십이잡가(十二雜歌)[편집]

잡가 중 경기·서울 지방에서 불러 오던 잡가들이다. 원래는 8잡가였지만 12가사를 본따기 위해 잡잡가 4곡을 추가해 모두 12잡가가 되었다. 십이잡가는 대부분 세마치 장단 또는 도드리 장단으로 되어 있다. 「유산가(遊山歌)」「적벽가(赤壁歌)」「제비가(--歌)」「집장가(執杖歌)」「소춘향가(小春香歌)」「선유가(船遊歌)」「형장가(刑杖歌)」「평양가(平壤歌)」를 팔잡가(八雜歌)라고 하며,「달거리」「십장가(十杖歌)」「출인가(出引歌)」「방물가(--歌)」를 잡잡가(雜雜歌)라고 한다.


팔잡가(八雜歌)

  • 유산가(遊山歌) - 한자는 놀 유(遊)에 뫼 산(山)으로 산으로 놀러간다는 가사를 담고 있으며, 펄펄펄이나 우줄우줄, 콸콸 등의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 적벽가(赤壁歌) - 적벽전에서 패배한 조조가 관우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가사를 담고 있으며, 화용도(華容道)라고도 한다. 판소리 적벽가와는 다른 노래다.
  • 제비가(--歌) - 연자가(燕子歌)라고도 하며, 앞부분은 〈만첩청산(萬疊靑山)〉의 앞부분을, 뒷부분은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가는 대목. 끝부분은 〈새타령〉의 일부분에서 따왔다.
  • 집장가(執杖歌) - 〈춘향가〉 중 춘향이가 사또 앞에서 매를 맞는 대목을 노래로 지은 것이다. 유산가(遊山歌)가 의성어·의태어를 주로 사용했다면, 집장가(執杖歌)는 쫑그라니·능청능청 등의 형용사를 넣은 것이 특징이다.
  • 소춘향가(小春香歌) - 〈춘향가〉 중 춘향과 이 도령이 처음 만나는 대목을 노래로 지은 것으로, 다른 잡가에 비해 가사는 짧지만 곡조가 다른 잡가에 비해 어렵다.
  • 선유가(船遊歌) - '가세 가세 자네 가세'로 시작해 〈가세 타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후렴구가 두 개가 있고, 후렴구가 메기는소리 사이사이에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 형장가(刑杖歌) - 〈춘향가〉 중 춘향이 매를 맞은 후에 투옥되어 고생하는 대목을 노래로 지은 것이다. 앞부분은 동정을, 뒷부분은 춘향이 넋두리하는 장면이 있다.
  • 평양가(平壤歌) - 평양에 있는 기생 월선이의 집에 가자는 내용이다. 오로지 서울식 소리와 서울식 소리의 특징으로만 이루어진 곡이다.


잡잡가(雜雜歌)

  • 달거리 - 달마다 있었던 옛일을 생각하는 노래이지만, 노래하는 달은 정월, 이월, 삼월이며, 그 후는 행사나 속뜻을 푸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십장가(十杖歌) - 〈춘향가〉에서 춘향이 매를 맞으며, 맞는 숫자와 관련된 한자를 이용해 절개를 표현하는 노래로, 다른 잡가들에 비해 사설이 많다.
  • 출인가(出引歌) - '풋고추 절이김치'로 시작해서 〈풋고추〉라고 부르기도 하며, 앞부분은 춘향이 오리정으로 나가 이별하는 대목을, 중간 부분에서는 남녀가 서로 이별하는 대목, 마지막에는 설니홍조(雪泥鴻爪, 인생의 허무)를 노래한다.
  • 방물가(--歌) - 한양으로 떠나는 남자가 온갖 방물(여자가 쓰는 물건)을 주려 하지만, 여자는 어떤 것도 필요 없다며 자신을 한양에 데려가라고 하는 내용으로, 온갖 방물들이 다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서도잡가[편집]

황해도, 평안도 등 서도 지방에서 불리는 잡가들이다. 서도소리 특유의 애절한 창법을 사용하며, 세마치 장단을 기본으로 불규칙한 장단을 사용한다.

  • 공명가
  • 사설 공명가
  • 초한가
  • 제전

서도입창[편집]

서도입창(西道立唱)은 평안도, 황해도 등의 서도지방에서 불리는 입창이다.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사거리(경발림)로 구성되어 있다. 앞산타령을 사거리, 뒷산타령을 중거리라고도 한다. 경기도 입창에서 파생된 것이다. 세마치, 도드리, 자진타령 등을 섞어 치는 변박자가 많다.

남도입창[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