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앞엉덩뼈가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앞엉덩뼈가시
폐쇄막, 위앞엉덩뼈가시는 그림의 오른쪽 위에 표시되어 있다.
오른쪽의 아래에서 두 번째에 위앞엉덩뼈가시가 표시되어 있다.
정보
상위 구조엉덩뼈
식별자
라틴어spina iliaca anterior superior
영어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TA98A02.5.01.111
TA21327
FMA49465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또는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은 엉덩뼈에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구조로, 표면해부학에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엉덩뼈능선의 앞쪽 끝에 위치하며, 고샅인대넙다리빗근이 위앞엉덩뼈가시에 붙는다.[1] 넙다리근막긴장근도 위앞엉덩뼈가시의 가쪽 측면(엉덩뼈결절에서는 5cm가량 떨어진 지점)에 붙는다.[2][3]

구조[편집]

위앞엉덩뼈능선은 골반에서 엉덩뼈능선의 앞쪽 끝을 일컫는다. 표면해부학에서 핵심적인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촉진하기도 쉽다. 마른 사람의 표면에서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살찐 사람에서는 비교적 어렵다. 이때 앉은 자세에서는 위앞엉덩뼈가시에 붙은 근육이 이완되며 촉진이 쉬워진다.[4] 고샅인대넙다리빗근,[1][5] 넙다리근막긴장근이 위앞엉덩뼈가시에 붙는다.[2][3]

갈비밑신경,[6] 넙다리동맥 (위앞엉덩뼈가시와 두덩뼈결합 사이를 지나감),[5] 엉덩아랫배신경[7] 등 여러 구조물이 위앞엉덩뼈가시 근처에 위치한다.

임상적 중요성[편집]

위앞엉덩뼈가시는 맥버니점, 넬라톤선, 실제 다리 길이 등의 다른 임상적 랜드마크를 확인하기 위한 단서가 된다. 탈장의 치료와 같은 다양한 수술적 접근 시에도 중요한 표면의 랜드마크가 된다.[8] 엉덩아랫배신경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신경의 손상 부위가 위앞엉덩뼈가시보다 위쪽인지 아래쪽인지를 알아낼 수도 있다.[7]

위앞엉덩뼈가시 근처의 엉덩뼈능선에서 뼈를 얻어 몸의 다른 부위에 이식할 수 있다.[6] 갈비밑신경은 위앞엉덩뼈가시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이식 시 손상될 위험이 있다.[6]

엉덩정강띠 증후군이 있을 때, 엉덩정강띠가 위앞엉덩뼈가시 위쪽으로 지나가는 지점에서 자극될 수 있다.[3]

추가 이미지[편집]

참고 문헌[편집]

  1. Chaitow, Leon; DeLany, Judith (2011년 1월 1일), Chaitow, Leon; DeLany, Judith, 편집., “Chapter 12 - The hip”,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Volume 2 (Second Edition)》 (영어)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391–445쪽, doi:10.1016/b978-0-443-06815-7.00012-7, ISBN 978-0-443-06815-7,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2. Garten, Hans (2013), “M. tensor fasciae latae”, 《The Muscle Test Handbook》 (Elsevier), 236–237쪽, doi:10.1016/b978-0-7020-3739-9.00091-2, ISBN 978-0-7020-3739-9,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3. Chaitow, Leon; DeLany, Judith (2011년 1월 1일), Chaitow, Leon; DeLany, Judith, 편집., “Chapter 11 - The pelvis”,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Volume 2 (Second Edition)》 (영어)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299–389쪽, doi:10.1016/b978-0-443-06815-7.00011-5, ISBN 978-0-443-06815-7,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4. 대한해부학회 (2017년 1월 25일). 《국소해부학》 3판. 도서출판 고려의학. 400쪽. ISBN 978-89-7043-868-9. 
  5. Jacob, S. (2008년 1월 1일), Jacob, S., 편집., “Chapter 6 - Lower limb”, 《Human Anatomy》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135–179쪽, doi:10.1016/b978-0-443-10373-5.50009-9, ISBN 978-0-443-10373-5,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6. Rea, Paul (2015년 1월 1일), Rea, Paul, 편집., “Chapter 3 - Lower Limb Nerve Supply”,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Limbs》 (영어) (Academic Press), 101–177쪽, doi:10.1016/b978-0-12-803062-2.00003-6, ISBN 978-0-12-803062-2,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7. Mirjalili, S. Ali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45 - Anatomy of the Lumbar Plexu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609–617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47-0, ISBN 978-0-12-410390-0,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8. Molloy, Robert E. (2005년 1월 1일), Benzon, Honorio T.; Raja, Srinivasa N.; Molloy, Robert E.; Liu, Spencer S., 편집., “Chapter 75 - Truncal Blocks: Intercostal, Paravertebral, Interpleural, Suprascapular,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s”, 《Essentials of Pain Medicine and Regional Anesthesia (Secon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636–644쪽, doi:10.1016/b978-0-443-06651-1.50079-4, ISBN 978-0-443-06651-1,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