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이끼문
보이기
우산이끼문 | ||
---|---|---|
에른스트 헤켈의 Kunstformen der Natur, 1904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상문: | 선태식물상문 | |
문: | 우산이끼문(Marchantiophyta) | |
강 | ||
|
우산이끼문 또는 태류(苔類)는 선태식물에 속하는 식물 문이다. 태류는 엽상체 또는 경엽체이고 세포 내의 엽록체는 많이 있으며, 소형이고 피레노이드가 없다. 포자체는 구상의 포자낭이 있으며, 포자낭은 분열하여 포자와 함께 탄사를 가진다. 태류의 대표종은 우산이끼 등이 있다.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유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1][2][3][4][5][6][7]
유배식물 |
| ||||||||||||||||||||||||||||||||||||||||||||||||||||||||||||||||||||||||||||||||||||||||||||||||||||||
다음은 2006년 포레스트(Forrest)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우산이끼류의 계통 분류이다.[8]
우산이끼문 |
| ||||||||||||||||||||||||||||||
각주
[편집]- ↑ Novíkov & Barabaš-Krasni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 doi:10.13140/RG.2.1.4745.6164. ISBN 978-966-397-276-3.
- ↑ Anderson, Anderson & Cleal (2007).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trelitzia》 (SANBI) 20: 280. ISBN 978-1-919976-39-6.
- ↑ Pelletier (2012). “Empire biota: taxonomy and evolution 2nd ed”. Lulu.com: 354. ISBN 1329874005.
- ↑ Lecointre, Guillaume; Guyader, Hervé Le (2006).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영어).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1839.
- ↑ Puttick, Mark N.; Morris, Jennifer L.; Williams, Tom A.; Cox, Cymon J.; Edwards, Dianne; Kenrick, Paul; Pressel, Silvia; Wellman, Charles H.; Schneider, Harald (2018).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Current Biology》 28 (5): 733–745.e2. doi:10.1016/j.cub.2018.01.063.
- ↑ Nishiyama, Tomoaki; Wolf, Paul G.; Kugita, Masanori; Sinclair, Robert B.; Sugita, Mamoru; Sugiura, Chika; Wakasugi, Tatsuya; Yamada, Kyoji; Yoshinaga, Koichi (2004년 10월 1일).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21 (10): 1813–1819. doi:10.1093/molbev/msh203. ISSN 0737-4038.
- ↑ Gitzendanner, Matthew A.; Soltis, Pamela S.; Wong, Gane K.-S.; Ruhfel, Brad R.; Soltis, Douglas E. (2018).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영어) 105 (3): 291–301. doi:10.1002/ajb2.1048. ISSN 0002-9122.
- ↑ Forrest, Laura L.; Christine E. Davis; David G. Long; Barbara J. Crandall-Stotler; Alexandra Clark; Michelle L. Hollingsworth (2006). “Unravel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liverworts (Marchantiophyta): multiple taxa, genomes and analyses”. 《The Bryologist》 109 (3): 303–334. doi:10.1639/0007-2745(2006)109[303:UTEHOT]2.0.CO;2.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우산이끼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Marchantiophyta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