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이끼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Ricciocarpos natans | ||||||||
생물 분류![]() | ||||||||
---|---|---|---|---|---|---|---|---|
| ||||||||
목 | ||||||||
|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은 우산이끼문에 속하는 3개의 우산이끼류 강 중의 하나이다.[2] 약 4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하위 분류[편집]
-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 (Blasiidae)
- 엷은잎우산대이끼목 (Blasiales)
- 우산이끼아강 (Marchantiidae)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6년 포레스트(Forrest)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우산이끼류의 계통 분류이다.[3]
우산이끼문 |
| ||||||||||||||||||||||||||||||
다음은 2015년 빌라레알(Villarreal)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우산이끼강의 계통 분류이다.[2]
우산이끼강 |
| |||||||||||||||||||||||||||||||||||||||||||||||||||||||||||||||||||||||||||||||||||||||||||||||||||||||||||||||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Cronquist, A.; Takhtajan, A.; Zimmermann, W. (1966). “On the higher taxa of Embryobionta”. 《Taxon》 15 (4): 129–168. doi:10.2307/1217531.
- ↑ 가 나 Villarreal; 외. (2016). “Divergence times and the evolution of morphological complexity in an early land plant lineage (Marchantiopsida) with a slow molecular rate”. 《New Phytologist》 209 (4): 1734–46. doi:10.1111/nph.13716. PMID 26505145.
- ↑ Forrest, Laura L.; Christine E. Davis; David G. Long; Barbara J. Crandall-Stotler; Alexandra Clark; Michelle L. Hollingsworth (2006). “Unravel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liverworts (Marchantiophyta): multiple taxa, genomes and analyses”. 《The Bryologist》 109 (3): 303–334. doi:10.1639/0007-2745(2006)109[303:UTEHOT]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