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와일드 리프트 호라이즌 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일드 리프트: 호라이즌 컵
리그 기간 2021년 11월 13일 ~ 2021년 11월 21일
개막전 다쿤 게이밍 : SBTC e스포츠 (A조)
e브로 게이밍 : 팀 퀘소 (B조)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라이엇 게임즈
참가 팀 10
리그 우승 중국 다쿤 게이밍
게임 버전 2.5a
총 상금 $50만

와일드 리프트 호라이즌 컵(Wild Rift: Horizon Cup)은 와일드 리프트의 첫 번째 국제 대회이다.

개요[편집]

일정[편집]

경기장[편집]

진행 방식[편집]

  • 그룹 스테이지
    • 조별 경기
  • 녹아웃 스테이지
    • 6강
    • 4강
    • 결승

상금[편집]

상금은 미국 달러 기준.

기본 상금 상금 비고
우승 10만 중국 다쿤 게이밍
준우승 8만 중국 썬더톡 게이밍
3, 4위 6만 필리핀 팀 시크릿
대한민국 롤스터 Y
5, 6위 4만 베트남 SBTC e스포츠
일본 센고쿠 게이밍
7~10위 3만 브라질 TSM
스페인 팀 퀘소
미국 트라이브 게이밍 NA
아르헨티나 eBRO 게이밍
총 상금 $50만

참가 팀[편집]

선발전[편집]

대회 일정 지역 할당된 진출권 진출 팀
스파크 인비테이셔널 2021 2021년 8월 17일 ~ 8월 28일 중국 상하이시 1 중국 다쿤 게이밍
와일드 리프트 리그 2021 2021년 9월 11일 ~ 9월 30일 중국 상하이시 1 중국 썬더톡 게이밍
2021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코리아 2021년 9월 7일 ~ 9월 19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1 대한민국 롤스터 Y
동남아시아 챔피언십 2021 2021년 9월 14일 ~ 10월 3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2 베트남 SBTC e스포츠
필리핀 팀 시크릿
오리진 시리즈 2021 챔피언십: 파이널 2021년 9월 24일 ~ 9월 26일 스웨덴 스톡홀름 1 스페인 팀 퀘소
서머너 시리즈 2021: 파이널 2021년 10월 8일 ~ 10월 10일 미국 덴버 1 미국 트라이브 게이밍 NA
와일드 리프트 재팬 컵 2021 2021년 9월 11일 ~ 9월 26일 일본 도쿄도 1 일본 센고쿠 게이밍
와일드 투어 2021: 파이널 2021년 10월 8일 ~ 10월 10일 브라질 상파울루 1 브라질 TSM
와일드 리프트 오픈 2021: 파이널 2021년 9월 23일 ~ 9월 26일 멕시코 멕시코시티 1 아르헨티나 eBRO 게이밍

A조[편집]

중국 다쿤 게이밍 대한민국 롤스터 Y 베트남 SBTC e스포츠 미국 트라이브 게이밍 NA 브라질 TSM
포지션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감독 대한민국 강동훈 Hirai 베트남 Hydro 싱가포르 임 존 Glaceox 포르투갈 로제리우 모저 Kaiba
코치 대한민국 김윤호 NOLJA
TOP 중국 홍얀카이 Yk 대한민국 정윤호 Ratel 베트남 Minas 미국 몬타노차이데스 라울 Chuck 브라질 루이스 카를로스 다 실바 Sonyy
JGL 중국 리팡준 Huiba 대한민국 도진호 Do 베트남 TF 미국 레이 한 ttigers 브라질 마테우스 테라 Tetis
MID 중국 요무촨 You 대한민국 김은수 Issac 베트남 July 미국 조쉬릭 내러그 Starting 브라질 미헬스 펠리페 mike
BOT 중국 치잰유 Wind 대한민국 최우석 Luna 베트남 Kiral 미국 가브리엘 빌라마리오나 Oldskool 브라질 주앙 파이바 Petroni
SPT 중국 판모천 Emo 대한민국 이성진 Salem 베트남 Akeno 캐나다 다니엘 최 MaxGreen 브라질 카를로스 사그레트 carliTo
Sub 중국 Au

(TOP)

대한민국 한성건 NomeL

(MID)

브라질 다니엘 무소이 Danzor

(BOT)

중국 Shiliu

(MID)

B조[편집]

중국 썬더톡 게이밍 필리핀 팀 시크릿 스페인 팀 퀘소 일본 센고쿠 게이밍 아르헨티나 eBRO 게이밍
포지션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이름 소환사명
감독 대한민국 서민석 seok 아르헨티나 마티아스 플로레스 엘케 Eelke 아르헨티나 토마스 노토 Harry
코치 중국 린즈어 Chen
TOP 중국 펑원차오 feibai 필리핀 엘르아자르 살레 Azar 스페인 우나이 서안 Acolyte 일본 토시히로 시부야 Kai 칠레 크리스토발 멘도자 Hache
JGL 중국 Chris 필리핀 로버트 만실룽안 Trebor 스페인 안드레스 류 Andreszed 대한민국 이호연 RUSH 우루과이 호셀로 로드리게스 Ezzez
MID 중국 저우텐지안 Z 필리핀 헤리 가르시아 Tatsurii 스페인 에이브러해 루이즈 Ruiz 대한민국 김도엽 HAK 아르헨티나 나후엘 리베로스 베니알고 Tikz
BOT 중국 AZURE 필리핀 캐스터 델라 쿠즈 Chewy 스페인 이반 로드리게스 Ibu 일본 타쿠토 쿠사카베 WAN 아르헨티나 티아고 발렌틴 로드리게스 Kite
SPT 중국 S12K 필리핀 제임스 산토스 Hamez 독일 토바이어스 오렌디 memorized 일본 켄 나가무라 Dejiwo 아르헨티나 아리엘 마르틴 고메즈 Jastley
Sub 중국 장홍웨이 Mor

(TOP)

필리핀 모리스 레이문도 Code

(MID)

일본 나오 치바 mochi

(TOP)

아르헨티나 마티아스 아구스틴 란프레디 Buda

(TOP)

그룹 스테이지[편집]

A조[편집]

순위 득실차 결과
1 중국 다쿤 게이밍 4 0 7 4강
2 대한민국 롤스터 Y 3 1 4 6강
3 베트남 SBTC e스포츠 2 2 -1
4 브라질 TSM 1 3 -4 탈락
5 미국 트라이브 게이밍 NA 0 4 -6

B조[편집]

순위 득실차 결과
1 중국 썬더톡 게이밍 4 0 6 4강
2 필리핀 팀 시크릿 3 1 5 6강
3 일본 센고쿠 게이밍 2 2 0
4 스페인 팀 퀘소 1 3 -4 탈락
5 아르헨티나 eBRO 게이밍 0 4 -7

녹아웃 스테이지[편집]

6강 4강 결승
B-2 필리핀 팀 시크릿 3
A-3 베트남 SBTC e스포츠 0 A-1 중국 다쿤 게이밍 3
B-2 필리핀 팀 시크릿 1
A-1 중국 다쿤 게이밍 4
A-2 대한민국 롤스터 Y 3 B-1 중국 썬더톡 게이밍 2
B-3 일본 센고쿠 게이밍 0 B-1 중국 썬더톡 게이밍 3
A-2 대한민국 롤스터 Y 2

6강[편집]

1경기[편집]

순위 결과 결과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B-2 필리핀 팀 시크릿 TS TS TS - - 승리 4강
A-3 베트남 SBTC e스포츠 패배 -

2경기[편집]

순위 결과 결과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A-2 대한민국 롤스터 Y RY RY RY - - 승리 4강
B-3 일본 센고쿠 게이밍 패배 -

4강[편집]

1경기[편집]

순위 결과 결과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A-1 중국 다쿤 게이밍 DKG TS DKG DKG - 승리 결승
B-2 필리핀 팀 시크릿 패배 -

2경기[편집]

순위 결과 결과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B-1 중국 썬더톡 게이밍 TT TT RY RY TT 승리 결승
A-2 대한민국 롤스터 Y 패배 -

결승[편집]

순위 결과 결과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6세트 7세트
A-1 중국 다쿤 게이밍 DKG DKG TT TT DKG DKG - 승리
B-1 중국 썬더톡 게이밍 패배

결과[편집]

최종 순위[편집]

우승 준우승 3, 4위
중국 다쿤 게이밍

(Yk, Huiba, You, Wind, Emo, Au, Shiliu)

중국 썬더톡 게이밍

(feibai, Chris, Z, AZURE, S12K, Mor)

필리핀 팀 시크릿

(Azar, Trebor, Tatsurii, Chewy, Hamez, Code)

대한민국 롤스터 Y

(Ratel, Do, Issac, Luna, Salem, NomeL)

MVP[편집]

구분 이름 소환사명 비고
그룹 스테이지 저우텐지안 Z 중국 썬더톡 게이밍 7 포인트
녹아웃 스테이지 김은수 Issac 대한민국 롤스터 Y 3 포인트
헤리 가르시아 Tatsurii 필리핀 팀 시크릿
결승 - - border 링크=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