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
![]() | |
---|---|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유대하강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아과: | 주머니고양이아과 |
족: | 파스코갈레족 |
속: | 안테키누스속 |
종: |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 (A. bellus) |
학명 | |
'Antechinus bellus' | |
(Thomas, 1904) | |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1]의 분포 | |
![]()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의 분포 | |
보전상태 | |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Antechinus bellus)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육식성 유대류의 일종이다. 노던 준주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안테키누스속 종으로 군데군데 제한된 지역에서 서식한다.
분류[편집]
존 터니(John T. Tunney)가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의 표본을 가장 먼저 수집했으며,[3] 1904년 저명한 생물학자 토마스(Oldfield Thomas)가 "아름답다(beautiful)"라는 의미의 "벨루스"(bellus)를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 다른 종들과는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9종의 다른 종들과 함께 주머니고양이과의 안테키누스속에 속한다.
특징[편집]
엷은황갈색안테키누스는 안테키누스 중에서 독특한 종으로 다수의 근연종들보다 상당히 희미한 색을 띤다. 연한 회색을 띠며,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유사한 종들(사암디블러와 붉은뺨두나트)과 구별되며 크기가 더 크고 더 연한 색을 띤다. 식충성 동물이며, 다른 근연종들처럼 수컷들은 번식철이 지난 후에 죽는다.[4]
번식은 8월에 이루어진다. 9~10월에 최대 10마리까지 새끼를 낳고, 1월에 젖을 뗀다.[4]
분포 및 서식지[편집]
노던 준주의 톱랜드에서 발견되며, 상당히 흔한 종이다.[5] 열대 기후 지역의 키가 크고, 앞이 트인 개활지 숲에서 서식한다.
각주[편집]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9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Antechinus bell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8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Kristofer M. Helgen; Roberto Portela Miguez; James Kohen; Lauren Helgen (2012). “Twentieth century occurrence of the Long-Beaked Echidna Zaglossus bruijnii in the Kimberley region of Australia”. 《ZooKeys》 255: 103–132. doi:10.3897/zookeys.255.3774.
- ↑ 가 나 Menkhorst, Peter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54쪽.
- ↑ Calaby, J.H. (1995). 〈Fawn Antechinus〉. Strahan, Ronald.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85–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