닝빙가짜안테키누스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아과: | 주머니고양이아과 |
족: | 주머니고양이족 |
속: | 가짜안테키누스속 |
종: | 닝빙가짜안테키누스 (P. ningbing) |
학명 | |
'Pseudantechinus ningbing' | |
Kitchener, 1988 | |
닝빙가짜안테키누스[1]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닝빙가짜안테키누스(Pseudantechinus ningbing)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서부에서 발견되며,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작은 육식동물 유대류의 일종이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킴벌리 전역과 노던 준주 현지에서 흔하게 벌견된다.[3]
분류[편집]
닝빙가짜안테키누스는 해리 버틀러(Harry Butler)가 킴벌리 지역의의 폐역 닝빙(Ningbing)에서 처음 수집했다. 오랫동안 살찐꼬리가짜안테키누스(P. macdonnellensis)의 형(form)의 하나로 간주해 왔지만, 1988년 키치너(D. J. Kitchener)가 별도의 종 상태로 승급했다. 통용명과 학명은 이 종을 처음 발견한 장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닝빙가짜안테키누스는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다른 가짜안테키누스속 종들과 근연종 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살찐꼬리안테키누스와 아주 가까운 종이다.
특징[편집]
닝빙가짜안테키누스는 살찐꼬리가짜안테키누스(Pseudantechinus macdonnellensis)와 유사하지만 암컷은 6개가 아닌 4개의 젖꼭지를 갖고 있다.[3] 또한 꼬리가 더 길고, 털도 길며 겉모습에 비늘털이 약간 남아 있다.[4] 습성은 조금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6월에 짝짓기를 하며 45~52일의 비교적 긴 임신 기간을 갖는다. 새끼는 7~8월에 태어나며 10~11월에 젖을 뗀다.[3]
서식지[편집]
닝빙가짜안테키누스는 오스트레일리아 킴벌리 지역에서 발견되며, 넓은 범위의 식생 유형 중에서 바위가 돌출된 곳에서 서식한다.[3]
각주[편집]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7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Pseudantechinus ningbing”.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enkhorst, Peter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62쪽.
- ↑ Woolley, P.A. (1995). 〈Ningbing Pseudantechinus〉. Strahan, Ronald.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79–8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