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브라키우라
![]() | ||||||||||||||||||||
![]() Liocarcinus vernalis | ||||||||||||||||||||
생물 분류![]() | ||||||||||||||||||||
---|---|---|---|---|---|---|---|---|---|---|---|---|---|---|---|---|---|---|---|---|
| ||||||||||||||||||||
아절[1] | ||||||||||||||||||||
|
에우브라키우라(Eubrachyura)는 갑각류 생물군(분류 계급상, 절(節, section)의 일종)의 하나로 좀더 발달한 게류를 포함하고 있다. 암수의 생식공의 위치에 따라서 2개의 아절로 나누고 있다. 헤테로트레마타아절의 수컷 생식공은 다리에 자리하지만, 암컷은 배 쪽에 있다. 반면에 토라코트레마타아절은 암수 모두 배 쪽에 생식공이 있다. 이는 생식공이 항상 다리에 있는 다른 십각류와 대조적이다. 헤테로트레마타는 그 2개의 생물군 중에서 큰 분류군이며, 부채게상과와 애기털보부채게상과 그리고 담수에 사는 모든 게류(게카르키누쿠스상과, 포타몬상과)를 포함하고 있다.[2] 멸종한 화석 종 중에서 가장 오랜 종은 바토니안기(쥐라기 중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각주[편집]
- ↑ Sammy De Grave, N. Dean Pentcheff, Shane T. Ahyong; 외. (2009).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Suppl. 21: 1–109.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9일에 확인함.
- ↑ P. K. L. Ng, D. Guinot & P. J. F. Davie (2008). “Systema Brachyurorum: Part I. An annotated checklist of extant Brachyuran crabs of the world”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17: 1–286.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9일에 확인함.
- ↑ Danièle Guinot, Antonio de Angeli & Alessandro Garassino (2007). “Hebertides jurassica n. gen., n. sp.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from the Middle Jurassic (Bathonian) of Normandy (France)”. 《Atti della Società italiana di scienze naturali e del museo civico di storia naturale di Milano》 148 (2): 241–260.
외부 링크[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