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에라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라투스
화석 범위:
518백만년 전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속: 에라투스속
종: 에라투스 스페라레
학명
Erratus sperare
Fu et al. 2022

에라투스[a]중국에 살았던 멸종한 캄브리아기 절지동물의 일종이다. 모식종은 에라투스 스페라레(E. sperare)[b]으로 알려져 있다. 에라투스는 절지동물의 극초기 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 화석의 발견은 절지동물 몸통 부속지의 초기 진화를 학자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 라디오돈트목 같은 절지동물 줄기군의 일부는 다리가 없었고 대신 수영을 보조해주는 부속지 같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었다.[1] 에라투스는 한편으로는 지느러미도 없었고 일련의 원시적인 다리들을 보유했다.[2] 이는 또한 수생 절지동물의 아가미고생대에 나타난 육상 절지동물의 날개기관지로 진화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입증했다.[3]

에라투스의 화석은 중국의 마오티안산 혈암 라거슈타테에서 찾을 수 있다.[4] 이 지층의 나이는 5억 20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에라투스는 작은 크기의 독자 유영을 하는 이매갑판으로 덮힌 동물이었을 것이며 여과섭식자이거나 침전물을 섭식하는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했을 것이다.

연구사[편집]

XDBZ101와 XDBZ102 표본은 모식표본을 구성한다.[2] NWUS92-310은 부모식표본이며, 이전에는 이속시스(Isoxys auritus)로 동정된 적이 있다.[6][2] 표본 둘 다 중국의 윈난성에 있는 헬린푸 지층(Helinpu Formation)에서 발견해냈다. 에라투스의 생물학명은 푸(Fu)와 그의 동료들이 2022년에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속명은 라틴어로 '맴돌다', '돌아다니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 동물의 유영성을 추론해 참조한 것이다. 그리고 모식종명은 라틴어로 '바라다', '기원하다'라는 의미이다. 모식 표본은 개체의 일부와 다른 부분, 그리고 별개의 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식 표본은 앞쪽의 가시와 7개의 앞쪽 몸통 파편으로 구성해 있다.[2]

졀지동물 진화의 이해에 대한 중요성[편집]

외분지와 내분지로 구성된 많은 정상절지동물군(euarthropoda)의 이분지의 구성요소와 엽족동물·라디오돈트목 동물의 강건한 다리 또는 지느러미 간의 관계성은 오랫동안 논쟁 중에 있다. 에라투스는 내분지의 진화사에 있어 가장 기초 단계 중 하나를 보여주는데, 그것은 외분지 같은 부속지보다는 몸체에 달라붙어있는 지느러미와 유합된 미경화한 내분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2022년 발표 논문에 따르면 에라투스는 특이한 몸통 부속지 때문에 아노말로카리스와 비슷한 양 측면의 지느러미와 배쪽에 나 있는, 원뿔에 가까운 내분지를 형성시켰다고 한다. 에라투스의 화석 표본은 이 동물이 이분지 진화의 중간 단계를 보여줌을 시사한다.[2]

생김새[편집]

3D 모델링

에라투스의 몸길이는 37~72mm 정도이다. 이 절지동물은 이매성 각판이 있는데 등 부분을 덮고 있으며 전방으로 가시가 삐죽 나와 있지만 후방은 둥글다. 옆눈 한 쌍이 각판의 전방 가시 근처에 위치한다. 눈은 수정체가 보이지 않으며 길다란 눈자루가 달려 있어 눈과 머리를 이어준다. 몸통 바닥면에는 아가미같이 생긴 주름이 있는 넓은 몸통 지느러미 11쌍이 있다. 이 지느러미들은 몸통 뒤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엽족동물과 라디오돈트목처럼 이들의 지느러미는 몸체와 연결되어 있다. 몸통 지느러미 중 전방의 7쌍은 가운데로 나열된 내분지(안다리)가 있다. 각 내분지는 단순하게 생긴 일곱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발톱과 돌기의 존재는 증거가 불분명하다.후방의 몸통 지느러미 4쌍은 내분지가 결여되어 있으나 주름이 좀 더 선명하다. 눈과 몸통 지느러미 사이의 복면 머리 구조물은 아직 발견이 되지 않았으며, 또한 몸통 끝에도 꼬리마디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2]

분류[편집]

메가딕티온

케리그마켈라

팜브델루리온

오파비니아

라디오돈트목

아노말로카리스과

후르디아과

듀테로포드류

에라투스

이속시스

수루시카리스

네레오카리스

펙토카리스과

오다라이아

카나다스피스

페르스피카리스

펙토카리스과

푸시안후이드목

포르티포르켑스

요호이아

레안코일리아

올레노이데스

잘지동물 줄기군에 속하는 에라투스의 분류계통학적 위치(Fu et al. 2022)[2]

계통발생학 분석(Fu et al. 2022)에서 에라투스가 이속시스목보다 더 이전에 갈라져 나온 초기 절지동물임을 밝혀냈다. 하지만 라디오돈트목이나 엽족동물에 속하는 다른 동물들에서 갈라져 나왔음을 시사한다.[2]

고생태[편집]

에라투스는 5억 2000만 년 전 시기의 청지앙 생물군의 구성원이다.[2] 이 시기상 일대가 바다 수위 변화와 지체 구조 운동으로 인해 열대 바다가 되었다. 동물상의 다수는 주로 저서생활을 했으며 아마도 저탁류에 맞서 퇴적층 밑으로 파고 들어가 있었을 것이다. 완족동물, 원시 유즐동물(Scleroctenophora), 추형동물, 엽족동물, 갯지렁이, 원시 척삭동물, 그리고 여타 절지동물들이 이 생물군을 대변한다.[7][8] 이 지층대는 지층 나이가 더 어린 버지스 셰일처럼 화석이 매우 잘 보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같이 보기[편집]

노트[편집]

  1. 라틴어로 에라투스는 '맴도는' 것을 뜻한다
  2. 라틴어로 스페라레(sperare)는 '원하다' 라는 뜻이다.

각주[편집]

  1. “Freaky 'frankenprawns': ancient deep sea monsters called radiodonts had incredible vision that likely drove an evolutionary arms race”. 《theconversation.com》. 2020. 
  2. Fu, D.; Legg, D. A.; Daley, A. C.; Budd, G. E.; Wu, Y.; Zhang, X. (2022). “The evolution of biramous appendages revealed by a carapace-bearing Cambrian arthropod”.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77 (1847): Article ID 20210034. doi:10.1098/rstb.2021.0034. PMC 8819368. PMID 35125000. 
  3. “New fossil reveals origin of arthropod breathing system”. 《manchester.ac》. 2022. 
  4. “520-Million-Year-Old Fossil Sheds Light on Origin of Gills in Arthropods”. 2022. 
  5. “Geochronological constraint on the Cambrian Chengjiang biota, South China” (PDF). 《nora.nerc.ac.uk》. 
  6. Shu, D.G.; Zhang, X.-L.; Geyer, G. (1995). “Anatomy and systematic affinities of the Lower Cambrian bivalved arthropod Isoxys auritus”. 《Alcheringa: An Australasian Journal of Palaeontology》 19 (4): 333–342. doi:10.1080/03115519508619512. ISSN 0311-5518. 
  7. Xianfeng, Y.; Vinn, O.; Xianguang, H.; Xinglei, T. (2013). “New tubicolous problematic fossil with some "lophophorate" affinitie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in south China”. 《GFF》 135 (2): 184–190. doi:10.1080/11035897.2013.801035. S2CID 129033570. 2014년 6월 11일에 확인함. 
  8. Smith, M. R.; Ortega Hernández, J. (2014). “Hallucigenia's onychophoran-like claws and the case for Tactopoda”. 《Nature》 514 (7522): 363–366. Bibcode:2014Natur.514..363S. doi:10.1038/nature13576. PMID 25132546. S2CID 205239797. 
  9. Gaines, R. R.; Briggs, D. E. G.; Yuanlong, Z. (2008). “Cambrian Burgess Shale–type deposits share a common mode of fossilization”. 《Geology》 36 (10): 755–758. Bibcode:2008Geo....36..755G. doi:10.1130/G24961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