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차단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파 차단제
약물 종류
클래스 식별자
이용 • 고혈압
 • 혈관수축
 • 전립샘비대증
 • 레이노 현상
 • 크롬친화세포종
 • 울혈성 심부전
 • 발기부전
작용 메커니즘 • 수용체 대항제
 • 역작용제
생물학적 표적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위키데이터
알파 수용체의 위치와 기능[1]

알파 차단제(alpha-blockers, α-blockers, α-adrenoreceptor antagonists)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대항제로 작용하는 약물 클래스이다.[2]

역사적으로 알파 차단제는 자율신경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약리학 연구에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다. 과학자들은 알파 차단제를 사용하여 자율신경계가 동맥압과 중추 혈관운동을 조절하는 방식에 대해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3] 오늘날에는 소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2]

알파 차단제는 고혈압, 레이노병, 전립샘비대증, 발기부전 같은 소수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알파 차단제가 이러한 질환들을 치료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동맥평활근의 알파 수용체에 결합하여 억제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알파 수용체의 유형에 따라 평활근이나 혈관이 이완되어 해당 기관들로 가는 체액 흐름이 증가한다.[2]

분류[편집]

Gi, Gs, Gq GPCR 신호전달 경로를 나타낸 그림

특별히 추가적인 설명 없이 '알파 차단제'라는 용어가 쓰였다면 알파-1 차단제, 알파-2 차단제, 비선택적 알파 차단제 (알파1과 알파2 수용체를 모두 차단), 베타 수용체에도 활성을 보이는 알파 차단제 등을 모두 가리킬 수 있다.[2] 그러나 알파 차단제 중에서 가장 흔한 종류는 알파-1 차단제이다.

비선택적 알파 차단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선택적 알파-1 차단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선택적 알파-2 차단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한편 라베탈롤, 카르베딜롤은 알파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로 동시에 작용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1. Katzung, Bertram (1987).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Appleton & Lange. ISBN 9780838505533. 
  2. Katzung, Bertram; Masters, Susan (2013).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ange. ISBN 978-0-07-176402-5. 
  3. Bousquet, P.; Schwartz, J. (1983). “Alpha-adrenergic drugs”. 《Biochemical Pharmacology》 32 (9): 1459–1465. doi:10.1016/0006-2952(83)90466-5. PMID 6134533. 
  4. Nash, D. T. (1990년 11월 1일). “Alpha-adrenergic blockers: Mechanism of action, blood pressure control, and effects on lipoprotein metabolism”. 《Clinical Cardiology》 (영어) 13 (11): 764–772. doi:10.1002/clc.4960131104. ISSN 1932-8737. PMID 1980236. S2CID 24619863. 
  5. Michel, Martin C. (2010). “The Pharmacological Profile of the α1A-Adrenoceptor Antagonist Silodosin”. 《European Urology Supplements》 9 (4): 486–490. doi:10.1016/j.eursup.2010.03.006. 
  6. McKeage, Kate; Plosker, Greg L. (2002년 3월 1일). “Alfuzosin”. 《Drugs》 (영어) 62 (4): 633–653. doi:10.2165/00003495-200262040-00009. ISSN 0012-6667. PMID 11893233. S2CID 250307179. 
  7. “Tamsulosin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2021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8. Lepor, Herbert; Henry, David; Laddu, Atul R. (1991년 1월 1일). “The efficacy and safety of terazosin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BPH”. 《The Prostate》 (영어) 18 (4): 345–355. doi:10.1002/pros.2990180408. ISSN 1097-0045. PMID 1711689. S2CID 37160206. 
  9. Green, Ben (2014). “Prazosin in the Treatment of PTSD”.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20 (4): 253–259. doi:10.1097/01.pra.0000452561.98286.1e. PMID 25036580. S2CID 40069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