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니움속
아이오니움속 | ||
---|---|---|
Saucer-plant (Aeonium undulatum)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목: | 범의귀목 | |
과: | 돌나물과 | |
속: | 아이오니움속 (Aeonium) Webb & Berthel. | |
종 | ||
35종 이상
|
아이오니움속(tree houseleek)은 돌나물과의 다육질 아열대식물의 35종을 거느리는 속이며 대부분 원예시장에서 인기있다.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의 "aionos" (늙지 않는)에서 유래하였다.[1] 대부분 카나리아 제도에 자생하지만 몇몇은 마데이라, 모로코, 에티오피아의 시미엔 산맥 등의 동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설명
[편집]다육질 잎들은 대개 줄기에서 빽빽한 로제트 형태로 자라난다. 근연속들과 아이오니움속의 차이점은 꽃잎이 6개나 12개로 나뉜다는 것이다. 각각의 로제트는 가운데에서 단 한 번 꽃차례를 피워낸 다음 머지 않아 죽는데, 대개 죽기 전에 가지를 뻗어 영양생식을 하여 자손을 남긴다.
낮게 자라는 아이오니움속의 종들은 A. tabuliforme, A. smithii 등이, 큰 종들은 A. arboreum, A. valverdense, A. holochrysum 등이 있다. 연화장속은 Sempervivum, Aichryson, Monanthes 속과 근연성이 있으며, 꽃과 꽃차례가 비슷하게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Greenovia 속이 아이오니움속으로 합쳐졌다.
수많은 교잡이 이루어져왔으며, 그 결과 혈통이 섞였거나 불분명한 몇 개의 재배품종이 탄생하였다. 아래와 같은 재배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학회의 Award of Garden Merit를 수상했다:
분포
[편집]아이오니움속의 종은 대부분 카나리아 제도에 분포하지만,[4]:160–173 몇몇은 마데이라, 모로코,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예멘에 분포한다.[5]
하위 종
[편집]이미지
[편집]-
Aeonium arboreum 'Atropurpureum'
-
Aeonium aureum
-
Aeonium castello-paivae
-
Aeonium decorum
-
Aeonium lindleyi
-
Aeonium nobile
-
Aeonium simsii
-
Aeonium tabuliforme
-
Aeonium tabuliforme × arboreum 'Zwartkop' #2
-
Aeonium undulatum
-
Aeonium valverdense
각주
[편집]- ↑ Eggli, U.; Newton, L.E. (2004). 《Etymological Dictionary of Succulent Plant Nam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3쪽. ISBN 978-3-540-00489-9. 2018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RHS AGM Listing Oct 2016 (Ornamentals)”.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년 1월 7일에 확인함.
- ↑ “Aeonium ‘Zwartkop’”.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Bramwell, D.; Bramwell, Z. (2001). 《Wild flowers of the Canary Islands》. Madrid, Spain: Editorial Rueda. ISBN 84-7207-129-4.
- ↑ “International Crassulaceae Network: Aeonium”. International Crassulaceae Network.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Aeonium in Flora of North America @ efloras.org”. 《www.efloras.org》.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R. Nyffeler, "Aeonium", in Urs Eggli, ed. Illustrated Handbook of Succulent Plants: Crassulaceae (Springer, 2003) ISBN 3-540-419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