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에서 쌍곡선 함수 (雙曲線函數, 영어 : hyperbolic function )는 일반적인 삼각함수 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함수로 삼각함수가 단위원 그래프를 매개변수 로 표시할 때 나오는 것처럼, 표준쌍곡선 을 매개변수로 표시할 때 나온다.
sinh , cosh , tanh
csch , sech , coth
삼각함수 (원함수 )의 사인, 코사인, 탄젠트 등에서 추론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
sinh
x
=
e
x
−
e
−
x
2
=
−
i
sin
i
x
{\displaystyle \sinh x={\frac {e^{x}-e^{-x}}{2}}=-i\sin ix\!}
cosh
x
=
e
x
+
e
−
x
2
=
cos
i
x
{\displaystyle \cosh x={\frac {e^{x}+e^{-x}}{2}}=\cos ix\!}
쌍곡탄젠트(hyperbolic tangent )
tanh
x
=
sinh
x
cosh
x
{\displaystyle \tanh x={\frac {\sinh x}{\cosh x}}}
=
e
x
−
e
−
x
2
e
x
+
e
−
x
2
=
e
x
−
e
−
x
e
x
+
e
−
x
=
e
2
x
−
1
e
2
x
+
1
=
−
i
tan
i
x
{\displaystyle ={\frac {\frac {e^{x}-e^{-x}}{2}}{\frac {e^{x}+e^{-x}}{2}}}={\frac {e^{x}-e^{-x}}{e^{x}+e^{-x}}}={\frac {e^{2x}-1}{e^{2x}+1}}=-i\tan ix\!}
쌍곡코시컨트(hyperbolic cosecant )
csch
x
=
1
sinh
x
=
2
e
x
−
e
−
x
=
i
csc
i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sch} x={\frac {1}{\sinh x}}={\frac {2}{e^{x}-e^{-x}}}=i\,\csc \,ix\!}
sech
x
=
1
cosh
x
=
2
e
x
+
e
−
x
=
sec
i
x
{\displaystyle \operatorname {sech} x={\frac {1}{\cosh x}}={\frac {2}{e^{x}+e^{-x}}}=\sec {ix}\!}
쌍곡코탄젠트(hyperbolic cotangent )
coth
x
=
cosh
x
sinh
x
{\displaystyle \coth x={\frac {\cosh x}{\sinh x}}}
=
e
x
+
e
−
x
2
e
x
−
e
−
x
2
=
e
x
+
e
−
x
e
x
−
e
−
x
=
e
2
x
+
1
e
2
x
−
1
=
i
cot
i
x
{\displaystyle ={\frac {\frac {e^{x}+e^{-x}}{2}}{\frac {e^{x}-e^{-x}}{2}}}={\frac {e^{x}+e^{-x}}{e^{x}-e^{-x}}}={\frac {e^{2x}+1}{e^{2x}-1}}=i\cot ix\!}
2차원 평면상에서 매개변수
t
{\displaystyle t}
를 사용한 자취
(
cos
t
,
sin
t
)
{\displaystyle (\cos t,\,\sin t)}
가 단위원
x
2
+
y
2
=
1
{\displaystyle x^{2}+y^{2}=1}
을 그리는 것처럼,
(
cosh
t
,
sinh
t
)
{\displaystyle (\cosh t,\,\sinh t)}
은 쌍곡선
x
2
−
y
2
=
1
{\displaystyle x^{2}-y^{2}=1}
을 그린다. 이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관계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cosh
2
t
−
sinh
2
t
=
1
{\displaystyle \cosh ^{2}t-\sinh ^{2}t=1\,}
그러나 쌍곡선 함수는 삼각함수와 달리 주기함수 가 아니라는 차이가 있다.
매개변수
t
{\displaystyle t}
가 단위원을 그리는 삼각함수의 경우에 각을 뜻하는 양인 것과는 달리 쌍곡선 함수의 경우에는 평면상의 면적에 대응하는 쌍곡각(雙曲角, hyperbolic angle)에 대응한다. 쌍곡각은
x
{\displaystyle x}
축과 쌍곡선, 그리고
(
cosh
t
,
sinh
t
)
{\displaystyle (\cosh t,\,\sinh t)}
위의 점과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두배한 양으로 정의된다.
cosh
x
{\displaystyle \cosh \,x}
는 짝함수 즉
y
{\displaystyle y}
축에 대해 대칭이며,
cosh
0
=
1
{\displaystyle \cosh 0\,=\,1}
이다.
sinh
y
{\displaystyle \sinh \,y}
는 홀함수 즉 원점에 대해 대칭이며,
sinh
0
=
0
{\displaystyle \sinh 0\,=\,0}
이다.
쌍곡선 함수는 삼각함수 공식 과 매우 유사한 항등식을 만족한다. 실제로 오스본 법칙 에 따라 어떤 삼각함수 항등식이라도 쌍곡선 항등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반각공식은 다음과 같은 쌍곡선 함수의 덧셈 정리와 반각 공식으로 바뀐다.
덧셈 정리
sinh
(
x
+
y
)
=
sinh
x
cosh
y
+
cosh
x
sinh
y
{\displaystyle \sinh(x+y)=\sinh x\cosh y+\cosh x\sinh y\,}
cosh
(
x
+
y
)
=
cosh
x
cosh
y
+
sinh
x
sinh
y
{\displaystyle \cosh(x+y)=\cosh x\cosh y+\sinh x\sinh y\,}
tanh
(
x
+
y
)
=
tanh
x
+
tanh
y
1
+
tanh
x
tanh
y
{\displaystyle \tanh(x+y)={\frac {\tanh x+\tanh y}{1+\tanh x\tanh y}}\,}
반각 공식
cosh
2
x
2
=
cosh
x
+
1
2
{\displaystyle \cosh ^{2}{\frac {x}{2}}={\frac {\cosh x+1}{2}}}
sinh
2
x
2
=
cosh
x
−
1
2
{\displaystyle \sinh ^{2}{\frac {x}{2}}={\frac {\cosh x-1}{2}}}
쌍곡선 함수의 역함수 는 다음과 같다.
arcsinh
(
x
)
=
ln
(
x
+
x
2
+
1
)
arccosh
(
x
)
=
ln
(
x
+
x
2
−
1
)
;
x
≥
1
arctanh
(
x
)
=
1
2
ln
(
1
+
x
1
−
x
)
;
|
x
|
<
1
arccsch
(
x
)
=
ln
(
1
x
+
1
+
x
2
|
x
|
)
;
x
≠
0
arcsech
(
x
)
=
ln
(
1
x
+
1
−
x
2
x
)
;
0
<
x
≤
1
arccoth
(
x
)
=
1
2
ln
(
x
+
1
x
−
1
)
;
|
x
|
>
1
{\displaystyle {\begin{aligned}\operatorname {arcsinh} (x)&=\ln \left(x+{\sqrt {x^{2}+1}}\right)\\\operatorname {arccosh} (x)&=\ln \left(x+{\sqrt {x^{2}-1}}\right);x\geq 1\\\operatorname {arctanh} (x)&={\frac {1}{2}}\ln \left({\frac {1+x}{1-x}}\right);\left|x\right|<1\\\operatorname {arccsch} (x)&=\ln \left({\frac {1}{x}}+{\frac {\sqrt {1+x^{2}}}{\left|x\right|}}\right);x\neq 0\\\operatorname {arcsech} (x)&=\ln \left({\frac {1}{x}}+{\frac {\sqrt {1-x^{2}}}{x}}\right);0<x\leq 1\\\operatorname {arccoth} (x)&={\frac {1}{2}}\ln \left({\frac {x+1}{x-1}}\right);\left|x\right|>1\\\end{aligned}}}
d
d
x
arcsinh
x
=
1
x
2
+
1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sinh} \,x={\frac {1}{\sqrt {x^{2}+1}}}}
d
d
x
arccosh
x
=
1
x
2
−
1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cosh} \,x={\frac {1}{\sqrt {x^{2}-1}}}}
d
d
x
arctanh
x
=
1
1
−
x
2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tanh} \,x={\frac {1}{1-x^{2}}}}
d
d
x
arccsch
x
=
−
1
|
x
|
1
+
x
2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csch} \,x=-{\frac {1}{\left|x\right|{\sqrt {1+x^{2}}}}}}
d
d
x
arcsech
x
=
−
1
x
1
−
x
2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sech} \,x=-{\frac {1}{x{\sqrt {1-x^{2}}}}}}
d
d
x
arccoth
x
=
1
1
−
x
2
{\displaystyle {\frac {d}{dx}}\,\operatorname {arccoth} \,x={\frac {1}{1-x^{2}}}}
∫
d
u
a
2
+
u
2
=
a
−
1
arcsinh
(
u
a
)
+
C
∫
d
u
u
2
−
a
2
=
a
−
1
arccosh
(
u
a
)
+
C
∫
d
u
a
2
−
u
2
=
a
−
1
arctanh
(
u
a
)
+
C
;
u
2
<
a
2
∫
d
u
u
a
2
+
u
2
=
−
a
−
1
arccsch
|
u
a
|
+
C
∫
d
u
u
a
2
−
u
2
=
−
a
−
1
arcsech
(
u
a
)
+
C
{\displaystyle {\begin{aligned}\int {\frac {du}{\sqrt {a^{2}+u^{2}}}}&=a^{-1}\operatorname {arcsinh} \left({\frac {u}{a}}\right)+C\\\int {\frac {du}{\sqrt {u^{2}-a^{2}}}}&=a^{-1}\operatorname {arccosh} \left({\frac {u}{a}}\right)+C\\\int {\frac {du}{a^{2}-u^{2}}}&=a^{-1}\operatorname {arctanh} \left({\frac {u}{a}}\right)+C;u^{2}<a^{2}\\\int {\frac {du}{u{\sqrt {a^{2}+u^{2}}}}}&=-a^{-1}\operatorname {arccsch} \left|{\frac {u}{a}}\right|+C\\\int {\frac {du}{u{\sqrt {a^{2}-u^{2}}}}}&=-a^{-1}\operatorname {arcsech} \left({\frac {u}{a}}\right)+C\\\end{aligned}}}
C 는 적분상수 이다.
지수함수 가 모든 복소수 를 인자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수함수의 사칙연산으로 정의된 쌍곡선 함수 또한 복소수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sinh z와 cosh z는 복소평면 위 어떤 점에서도 해석적인 전해석 함수 (entire function)이다.
삼각함수와의 관계는 복소수에 대한 오일러 공식 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
i
x
=
cos
x
+
i
sin
x
{\displaystyle e^{ix}=\cos x+i\;\sin x}
cosh
(
i
x
)
=
e
i
x
+
e
−
i
x
2
=
cos
(
x
)
{\displaystyle \cosh(ix)={\frac {e^{ix}+e^{-ix}}{2}}=\cos(x)}
sinh
(
i
x
)
=
e
i
x
−
e
−
i
x
2
=
i
sin
(
x
)
{\displaystyle \sinh(ix)={\frac {e^{ix}-e^{-ix}}{2}}=i\sin(x)}
tanh
(
i
x
)
=
i
tan
(
x
)
{\displaystyle \tanh(ix)=i\tan(x)\,}
sinh
(
x
)
=
−
i
sin
(
i
x
)
{\displaystyle \sinh(x)=-i\sin(ix)\,}
cosh
(
x
)
=
cos
(
i
x
)
{\displaystyle \cosh(x)=\cos(ix)\,}
tanh
(
x
)
=
−
i
tan
(
i
x
)
{\displaystyle \tanh(x)=-i\tan(ix)\,}
arsinh
(
x
)
=
i
arcsin
(
−
i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rsinh} (x)=i\arcsin(-ix)}
arcosh
(
x
)
=
i
arccos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rcosh} (x)=i\arccos(x)}
artanh
(
x
)
=
i
arctan
(
−
i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rtanh} (x)=i\arctan(-ix)}
sinh
x
=
x
+
x
3
3
!
+
x
5
5
!
+
x
7
7
!
+
⋯
=
∑
n
=
0
∞
x
2
n
+
1
(
2
n
+
1
)
!
{\displaystyle \sinh x=x+{\frac {x^{3}}{3!}}+{\frac {x^{5}}{5!}}+{\frac {x^{7}}{7!}}+\cdots =\sum _{n=0}^{\infty }{\frac {x^{2n+1}}{(2n+1)!}}}
cosh
x
=
1
+
x
2
2
!
+
x
4
4
!
+
x
6
6
!
+
⋯
=
∑
n
=
0
∞
x
2
n
(
2
n
)
!
{\displaystyle \cosh x=1+{\frac {x^{2}}{2!}}+{\frac {x^{4}}{4!}}+{\frac {x^{6}}{6!}}+\cdots =\sum _{n=0}^{\infty }{\frac {x^{2n}}{(2n)!}}}
이 테일러 급수는 sinh와 cosh의 미분을 이용해서 얻을 수도 있고,
e
x
{\displaystyle e^{x}}
와
e
−
x
{\displaystyle e^{-x}}
의 테일러 전개를 sinh와 cosh의 정의식에 대입해서 얻을 수도 있다.
현수선 (懸垂線, catenary):
cosh
x
{\displaystyle \cosh x}
는 일정한 중력장 에서 양끝이 고정되어 있고 밀도가 일정한 줄이 아래로 늘어질 때 그리는 곡선이다.
삼각함수
쌍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