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양벚나무
![]() | |
---|---|
![]() 신양벚나무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관다발식물 |
(미분류): | 속씨식물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 |
목: | 장미목 |
과: | 장미과 |
속: | 벚나무속 |
종: | 신양벚나무 |
학명 | |
Prunus cerasus | |
린네 |

신양벚나무(학명: Prunus cerasus[1])는 벚나무아속 벚나무속의 종으로, 유럽과 아시아 남서부에 자생한다. 양벚나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과실은 더 신맛을 내는 편이다. 신맛이 나는 과육은 식용이다.[2]
나무는 일반 양벚나무보다는 더 작은 편으로(4~10미터 높이로 성장) 잔가지가 좀 있는 편이다.
경작[편집]
2012년 타트 체리 생산 상위 10개국 | ||||
---|---|---|---|---|
나라 | 생산 (단위: 톤) | 비고 | ||
![]() |
187,941 | |||
![]() |
183,300 | * | ||
![]() |
175,391 | |||
![]() |
172,800 | |||
![]() |
105,000 | F | ||
![]() |
74,656 | |||
![]() |
53,425 | |||
![]() |
38,601 | |||
![]() |
34,000 | F | ||
![]() |
23,085 | |||
세계 | 1,149,531 | A | ||
* = Unofficial figure | [ ] = Official data | A = May include official, semi-official or estimated data F = FAO estimate | Im = FAO data based on imputation methodology | M = Data not available |
각주[편집]
- ↑ “Prunus cerasu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PLANTS Database. USDA. 201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 Little, Elbert L. (1980).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Eastern Region》. New York: Knopf. 498쪽. ISBN 0-394-50760-6.
- ↑ “Major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And Producers – Countries By Commodity”. Fao.org. 2015년 2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