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협착
식도협착 | |
---|---|
다른 이름 | peptic stricture |
식도협착의 내시경 사진 | |
진료과 | 위장병학 일반외과 |
식도협착(esophageal stricture) 또는 양성식도협착(benign esophageal stricture, peptic stricture[1])은 식도가 좁아지거나 조여지는 상태를 말하며, 삼킴장애를 일으킨다.
증상과 징후
[편집]식도협착의 증상에는 속쓰림, 입에서 나는 쓴맛이나 신맛, 호흡곤란, 기침, 잦은 트림이나 딸꾹질, 삼킴장애, 삼킴통증, 입에서 피를 토하는 토혈, 체중 감소 등이 있다.[2]
원인
[편집]위 식도 역류병(GERD),[1] 식도염, 아래식도조임근의 기능 이상, 식도 운동성 장애, 잿물을 삼킨 경우, 틈새탈장 등이 원인이 되거나 관련되어 식도협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도의 수술이나 레이저 치료, 광역동 치료 이후에 협착이 생기기도 한다. 상처가 생긴 부위가 나으면서 흉터가 생기는데, 이 흉터가 조직을 당기면서 조이게 만들어 음식을 삼키기 힘들게 만든다.[3]
진단
[편집]바륨삼킴검사를 통한 X선 촬영, CT 스캔, 생검,[4] 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
치료
[편집]만일 감염으로 인한 식도염이 협착의 원인이라면 항생제 등을 이용하여 감염을 치료하는 방식으로 흔히 치료한다. 좁아진 부분을 넓히기 위해 외과에서 식도확장술을 시행하기도 한다.[3]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그 예로는 기저 원인인 위산 역류를 치료하기 위한 H2 수용체 길항제(라니티딘 등)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오메프라졸 등)가 있다.
역학
[편집]위 식도 역류병은 전체 성인의 40% 가량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협착은 위 식도 역류병을 치료하지 않은 환자 중 7~23%에서 발병한다.[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haker, Reza; Belafsky, Peter C.; Postma, Gregory N.; Easterling, Caryn, 편집. (2012년 9월 27일). 《Principles of Deglutition》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46쪽. ISBN 978-1-4614-3794-9.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Chronic GERD i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benign esophageal strictures, referred to as peptic strictures.
- ↑ PDRhealth – Esophageal Stricture: (http://www.pdrhealth.com/disease/disease-mono.aspx?contentFileName=ND7417G.xml&contentName=Esophageal+Stricture&contentId=506&TypeId=2)
- ↑ 가 나 Ginex, Pamela K., Manjit S. Bains, Jacqueline Hanson, and Bart L. Frazzitta. 100 Questions & Answers About Esophageal Cancer (100 Questions & Answers). New York: Jones and Bartlett, Inc., 2005. Print.
- ↑ Craner, David J. “Esophageal Strictue”. 《Discovery Health》.
- ↑ Esophageal Stricture - eMedicine
외부 링크
[편집]- (영어) Esophageal Stricture - 메드라인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