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초과
보이기
![]() | ||
---|---|---|
![]() 이백초(Saururus cernuus)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목련군 | |
목: | 후추목 | |
과: | 삼백초과 Saururaceae Rich. ex T.Lestib., 1826 | |
모식종 | ||
삼백초속(Saururus L.) | ||
[출처 필요] | ||
속 | ||
|
삼백초과(三白草科, 학명: Saururaceae 사우루라케아이[*])는 후추목의 과이다.[1] 주로 동아시아·동남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4속 6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자생종 삼백초와 귀화종 약모밀 2종이 발견된다.
잎은 엇갈려 나며, 작은 양성화(암수갖춘꽃)가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수술은 3개 또는 6~8개가 있다. 씨방에는 상위 또는 반하 위로 3~4개의 심피가 있는데, 이들은 떨어져 있거나 또는 합쳐져 측막 태자리를 이룬다. 밑씨는 주피 2개로 둘러싸여 있는데 각 심피에는 여러 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열매는 액과(물열매)나 삭과(튀는열매)이다.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삼백초과를 목련군 후추목 아래에 분류하며,[2]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3][4][5]
각주
[편집]- ↑ Richard, Louis Claude Marie. ex: Lestiboudois, Thémistocle Gaspard. Botanographie Élémentaire 453. 1826.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 |
이 글은 후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