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egurus/번역/한국조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어 위키백과의 Korean languages 문서( proto-language 항목)의 "2020년 09월 16일 20시 53분" 버전을 참조하였습니다.


조어[편집]

한국어족은 비교적 작은 어족이다. 현대의 한국어족 언어들은 제한된 다양성만을 보여주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15세기의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갈라졌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몇 안 되는 예외는 오직 그보다 몇 세기 전인 신라삼국 통일 직후의 모습만을 보여 준다. [1][2] 하지만 우리는 중세 한국어를 내적 재구하여 더 전의 한국어 형태에 도달할 수 있으며, [3]이는 고대 한국어를 단편적으로 기록한 문헌을 연구하여 보충되고 있다. [4]

음운[편집]

후기 한국어에 있는 많은 자음은 이차적으로 발전하였다.

  • 현대 한국어의 된소리는 여러 자음군에서 발전하였으며, 후기 중세 한국어 시기부터 구별되었다. [5][6]
  • 중세 한국어와 현대 한국어의 거센소리는 *k 및 *h 계 자음군에서 발전하였다. [7][8] 거센소리가 고대 한국어에서 변별되었는지는 이견이 있지만, [9][10] 원시(고대인가요?) 한국어에서 *t 와 *c가 *p를 거쳐 *k로 변했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11][12]
  • 후기 중세 한국어에는 /β/ , /z/ /ɦ/ 와 같은 유성 마찰음이 있었는데, 이들은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났다. 이들은 /p/, /s//k/가 연음되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13][14][15][9] 이 유성음들은 대부분의 현대 방언에서 사라졌지만, 동남 방언과 육진방언을 포함한 동북 방언에는 /p/, /s/, /k/가 나타난다. [16]
  • 일부 /l/ /t/가 연음되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17][14]

이는 다음과 같은 매우 적은 자음만이 한국조어에 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국조어의 자음[5]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비음 *m *n *ŋ
파열음 *p *t *c *k
마찰음 *s *h
전동음 *r
접근음 *j

*r는 고유어의 어두에서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알타이 제어와 공유하는 특징이다. [18] 유음을 나타내는 음가자로 두 개가 사용된 점은 고대 한국어에 후에 중세 한국어에서 /l/로 합쳐지는 유음 두 개가 있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19][20]

후기 중세 한국어에는 일곱 모음이 있었다. [21] 중세 몽골어의 한국어 차용어와 계림유사의 기록에 근거하여, 이기문은 13-15세기 사이에 한국어의 다섯 단모음 사이에 연쇄적인 모음추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22] 윌리엄 라보프는 이 제안된 모음 추이가 그가 조사한 모든 연쇄적 모음추이와 다른 과정을 따랐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모음추이에 대한 문헌학 근거는 도전을 받고 있다. [23][24] 한국 한자음에 기초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좀 더 보수적인 모음체계로 이어진다. [5]

고대 한국어 모음의 중세 한국어 반영[5]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i > [i] *ɨ > [ɨ] *u > [u]
중모음 *e > [ə] *ə > [ʌ] *o > [o]
저모음 *a > [a]

모음 *ɨ > [ɨ](ㅡ) 와 *ə > [ʌ](ㆍ)는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제한된 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평성 *ɨ 와 *ə어중음 탈락을 겪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들은 또한 어두 상성, 거성이거나 *j와 결합되었을 때 *e와 합쳐졌던 것으로 보인다.[5] 어떤 학자들은 모음 /ㅕ/가 중세 한국어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점과 설근후축 조화에 대한 연구를 근거로 후기 중세 한국어의 [jə] 가 한국조어의 여덟 번째 모음을 반영한다고 주장해 왔다. [25][26]

후기 중세 한국어를 적은 기록은 각 음절에 평성(표기 안함), 거성(점 하나), 상성(점 두개)의 세 악센트 중 하나를 배정했다.[27] 상성은 평성과 거성의 합성을 통해 이차적으로 생성되었다고 생각된다. [28][29] 중세 한국어에서 첫 음절이 거성인 경우에 이후 음절의 음조는 변별적이지 않았다는 증거가 있는데, 이에 따르면 중세 한국어는 성조언어가 아닌 고저 악센트가 있는 언어로 볼 수 있다.[30] 한국조어의 동사에서 악센트는 마지막 음절에서 선호되었으나 변별적이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한국조어의 명사에서는 악센트가 변별되었을 수 있다. [31]

문법[편집]

한국어족 언어들은 여러 조사를 통해 을 표지하고 다른 단어와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낸다. [32] 현대 한국어의 주격조사 -i 는 과거의 능격조사 *-i에서 발전하였다.[32][33]

현대 한국어에서, 용언은 어미없이 나타날 수 없다. 하지만, 고대 한국어의 용언 어간은 첫 용언 어간에 어미가 붙지 않은 용언-용언 합성어에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었을 수 있다. [34][35]

단어[편집]

고대 한국어의 단어는 한자의 차자표기법을 통해 쓰였다. 따라서 이들 단어의 발음은 중세 한국어형에서 추론될 수밖에 없다.[36][37] 현재까지 알려진 원시 한국어의 대명사는 *na (나), *uri (우리) 그리고 *ne (너)이다. [36][38]

한국어의 수사
한국조어[38] 후기 중세 한국어[39] 제주어
1 *hət(V)- / *hətan[40] hʌnáh hʌna, hana[41]
2 *tupɨr tǔlh tul[42]
3 *se- / *seki[43] sə̌jh set, sit[44]
4 *ne / *neki[43] nə̌jh net, nwit[45]
5 *tasə tasʌ́s tasʌt, tasət[46]
6 *jəsəs jəsɨ́s jəsət, jʌsɨt, jʌsʌt[47]
7 *nilkup nilkúp ilkop[48]
8 *jətərp jətɨ́lp jʌtʌp, jʌtap, jʌtʌl[49]
9 *ahop ahóp ahop, aop[50]
10 *jer jə́lh jəl[51]
  1. Whitman (2011), 155쪽.
  2. Janhunen (1999), 2–3쪽.
  3. Whitman (2012), 27–28쪽.
  4. Lee & Ramsey (2011), 63, 159–160쪽.
  5. Whitman (2012), 28쪽.
  6. Lee & Ramsey (2011), 128쪽.
  7. Vovin (2010), 11쪽.
  8. Whitman (2012), 28–29쪽.
  9. Whitman (2015), 431쪽.
  10. Lee & Ramsey (2011), 64–65쪽.
  11. Lee & Ramsey (2011), 65쪽.
  12. Whitman (2015), 432쪽.
  13. Vovin (2010), 12–32쪽.
  14. Whitman (2012), 29쪽.
  15. Lee & Ramsey (2011), 64쪽.
  16. Lee & Ramsey (2000), 320–321쪽.
  17. Martin (1996), 20–21쪽.
  18. Sohn (1999), 89쪽.
  19. Lee & Ramsey (2011), 66쪽.
  20. Vovin (2013b), 200–202쪽.
  21. Lee & Ramsey (2011), 156쪽.
  22. Lee & Ramsey (2011), 94–95쪽.
  23. Whitman (2013), 254–255쪽.
  24. Whitman (2015), 429쪽.
  25. Whitman (2015), 430쪽.
  26. Cho & Whitman (2019), 18–19쪽.
  27. Lee & Ramsey (2011), 163쪽.
  28. Martin (1996), 35–40쪽.
  29. Lee & Ramsey (2011), 163–165쪽.
  30. Lee & Ramsey (2011), 167–168쪽.
  31. Martin (1996), 60쪽.
  32. Whitman (2012), 34쪽.
  33. Vovin (2010), 45쪽.
  34. Nam (2012), 64–65쪽.
  35. Whitman (2015), 434–435쪽.
  36. Vovin (2010), 62쪽.
  37. Lee & Ramsey (2011), 71쪽.
  38. Whitman (2012), 33쪽.
  39. Lee & Ramsey (2011), 175쪽.
  40. Vovin (2010), 220쪽.
  41. Kang (2009), 895쪽.
  42. Kang (2009), 270쪽.
  43. Vovin (2010), 181쪽.
  44. Kang (2009), 519쪽.
  45. Kang (2009), 176쪽.
  46. Kang (2009), 217쪽.
  47. Kang (2009), 647쪽.
  48. Kang (2009), 720쪽.
  49. Kang (2009), 724쪽.
  50. Kang (2009), 584쪽.
  51. Kang (2009), 65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