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Genie.P/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먹방 (Mukbang)

한국사회에서 먹는 행위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것을 넘어서 삶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한국은 전통적 건강담론과 엄격한 예절문화를 바탕으로 한 음식문화를 형성해왔다.[1] 그런데 최근 한국에서 이러한 지배적인 음식문화의 가치와 전통적 정체성에서 이탈하는 인터넷 먹방(Mukbang)문화가 등장하여 주목을 끌고 있다.[1] 실시간 인터넷 방송인 <아프리카TV>에서 처음 선보인 먹방은 이제 케이블 채널은 물론이고 지상파 방송에서도 대세로 자리잡았다. 외신도 한국의 먹방 문화에 관심을 쏟을 정도다. 최근 먹방의 또 다른 특징은 음식을 만들어내는 사람, 요리하는 남자의 매력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이른바 ‘쿡방’이다. 먹방과 쿡방의 인기몰이 이유는 인간의 원초적 본능을 자극하는 식탐을 소재로 하기 때문이다. 먹방·쿡방은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 비해 제작비가 적게 들어 방송사의 효자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있다.[2]

먹방(Mukbang)은 ‘먹는 방송’의 줄임말로, 200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에서 널리 쓰이는 신조어이다. 아프리카TV와 같은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서 방송자가 음식을 먹으면서 시청자와 소통하는 컨텐츠를 시작으로, 현재는 유튜브와 트위치 뿐만 아니라 지상파 TV에서도 먹방 컨텐츠를 가지고 방송을 꾸려가고 있다. 실시간성과 쌍방향성의 매력을 바탕으로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서 먹방은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능동적 인터넷 유저들의 활발한 소통의 장이자 가상 커뮤니티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영국의 잡지 〈이코노미스트〉는 대한민국의 먹방이 인기가 있는 이유에 대해 장기 경제 침체로 한국인들에 널리 깔려있는 불안감과 불행 때문이라고 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인기에 〈허핑턴 포스트〉, 〈월 스트리트 저널〉 등에서도 소개되었다.[3] 최근에는 ASMR을 통해 시청자들로 하여금 시청각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먹방도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나아가 이같은 방송 형식이 유튜브 등의 플랫폼을 통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자, 먹방의 한국어 병음 'Mukbang'이 그대로 전세계 유튜버들의 콘텐츠로 재생산 되면서 고유명사화 되었다.

어원[편집]

먹방은 먹는다는 뜻의 '먹'과 방송의 '방'이 합쳐진 신조어다. 영어로는 'Mukbang'으로 쓰인다.[4]

역사[편집]

먹방문화는 2009년 대한민국의 인터넷 플랫폼 아프리카TV에서 시작되었다.[5] 먹방은 미국의 유튜버 'The Fine Brothers'가 만든 '서양사람들의 먹방을 보고 난 뒤 리액션'이 인기를 끌면서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로 퍼지게 되었다.[6]

플랫폼[편집]

아프리카TV[편집]

아프리카TV는 대한민국의 1인 방송 플랫폼 회사로서 1996년 4월 22일 설립되었다.[7] 아프리카TV는 'Any Free Casting TV'에서 따온 말로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간편하게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할 수 있는 1인 미디어를 표방하고 있다.[8] 아프리카 TV에서 활동중인 대표적인 먹방 BJ는 범프리카, 슈기, 엠브로, 창현, 왕쥬 등이 있다. [9]

트위치[편집]

2011년 처음 등장한 트위치는 TV 스포츠 생중계처럼 게임 관련 콘텐츠를 생방송하는 게임 생중계 업체다. 세계적으로 1억 명의 시청자와 170만개의 방송, 1만 2000여명의 방송 파트너를 가지고 있으며, 지난 2014년 아마존에 인수됐다. 트위치는 지난 2016년 7월 채널 목록에 ‘소셜 이팅’(Social Eating) 항목을 새로 추가했다.[10] 유명한 스트리머로는 ImAllexx, Ameliabrador, 심플라이프온에어 등이 있다.[11]

유튜브[편집]

유튜브는 2005년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에 전직 페이팔(PayPal) 직원 채드 헐리, 스티브 첸, 자베드 카림(Jawed Karim)이 공동으로 창립했다. 현재 유튜브는 온라인 최대의 동영상플랫폼이다.[12] 유튜브는 2006년 10월 16억5000만달러(약 1조8000억원)의 몸값에 구글로 인수됐다.[13] 대표적인 스트리머로 밴쯔, 떵개떵, 슈기님, 도로시, 양수빈, 프란 등이 있다.[14]

카카오TV[편집]

2017년 2월18일 ‘다음tv팟’과 ‘카카오TV’의 플랫폼을 통합하여 서비스명을 ‘카카오TV’로 일원화하여 카카오TV가 탄생했다. 국내 최대의 메신저앱인 카카오톡과 연동되어있다. 카카오TV PD들은 카카오TV와 연결된 ‘비디오 스테이션’을 통해 동영상들을 생산하고 관리한다.[15] 대표적인 먹방 카카오TV PD는 밴쯔, 푸르미르, 먹동이, 나도 등이 있다.[16]

유명한 먹방 스타[편집]

밴쯔[편집]

현재 유튜브 구독자 298만을 보유하며 부동의 먹방 스트리머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한국인 유튜브 구독자 TOP10 안에 드는 수치이다. 구독자의 수를 봐서 알 수 있듯. 밴쯔는 먹방의 대표적인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다.

밴쯔는 2016년 아프리카 대상을 타는 등 아프리카TV에서 주로 활동을 하였으나 '아프리카TV 갑질 사태'가 벌어진 뒤 유튜브로 완전한 플랫폼 전향을 한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TV와 계약파기를 하며 큰 액수의 위약금을 지급하였다. 또한 최근 온라인 플랫폼이 아닌 방송사 JTBC의 프로그램 랜선라이프에 출연해 그의 인기를 방증했다.

그는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에서 근육질의 몸매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건강을 위해 하루 평균 8시간 이상의 운동을 한다고 밝혔다.[17]

대표적인 먹방으로 홍대 괴물짜장 먹방, 햄버거 10개 빨리먹기, 짜장면 먹방 등이 있다.[18]

엠브로[편집]

MBRO, Monster Borthers의 약자로 엠브로라는 이름으로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서 먹방 BJ로 활동하고 있다. 엠브로가 방송을 시작한 것은 2015년 4월이다. 아프리카 TV와 유튜브를 통해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주 2회 방송한다. 현재 유튜브 구독자는 90만명이 넘는다. 아프리카에서는 방송을 시작한 지 1년 만에 BJ 인기 순위 2위에 올랐고, 아프리카 TV 신인상을 받으며 먹방계의 샛별로 떠올랐다.[19]

슈기[편집]

다른 먹방 BJ들이 많은 양을 먹는 방송을 한다면 슈기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맛있고 감칠나게 먹는 편이다. 2014년 5월에 방송을 시작하여 그 해 아프리카TV BJ Festival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후, 2015년부터 2017년까지 BJ 대상을 모두 수상했으며 현재 아프리카 TV 먹방 랭킹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20]

떵개떵[편집]

현재 유튜브 구독자 289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스트리머입니다. 떵개 그리고 개떵, 두 형제가 먹방을 진행합니다. 특히 ASMR 방송인 ‘리얼사운드’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먹방은 BJ가 시청자들과 실시간 대화를 나누면서 음식을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런데 ‘리얼사운드’는 20분 내외의 짧은 영상에서 말없이 맛있게 먹는 모습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음식을 먹을 때 나는 소리를 듣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하네요. 라면, 치킨, 떡볶이 등 한국의 일반적인 음식뿐만 아니라 사탕수수, 알로에, 벌꿀 등 식탁에서 흔하게 볼 수 없는 음식을 먹는 걸로도 유명합니다. [21]

비판[편집]

2018년 7월, 정부가 '국가 비만 관리 종합 대책'을 내놓으면서 '먹방'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규제하겠다고 발표했다. '먹방'이 폭식을 유발해 국민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먹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겠다는 것이었다. ‘먹방’이 방송과 인터넷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가이드라인 제정 추진 사실이 발표되자 역풍이 불었다. 대책을 발표한 보건복지부에 항의가 쏟아졌고,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도 반대 여론이 들끓었다. 28일 기준으로 '먹방과 폭식의 연관성이 없다', '이 정부는 왜 이렇게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나' 등 먹방 규제를 반대하는 청원이 40여 건 올라왔다. 특히 '먹방'은 해외로 팔려나가는 '신(新)한류'로 자리 잡았는데, 정부가 수출길을 가로막는다는 지적도 나왔다.[22]

같이 볼 것[편집]

각주[편집]

  1. 홍석경; 박소정 (2016/2).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언론과 사회》 24 (1). ISSN 1228-954X. 
  2. “[시각] [Culture & Biz] 대한민국은 왜 ‘먹방’에 열광하나”.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3. “The food-show craze”. 《The Economist》 (영어).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4. Evans, Stephen (2015년 2월 5일). “The Koreans who televise themselves eating dinner”. 《BBC News》 (영국 영어).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5. 이, 소라 (2015년 5월 13일). “우리나라 최초의 '먹방'을 아세요?”. 《한국일보》.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6. Gibbs, Alexandra (2015년 5월 5일). “Koreans become stars by live-streaming dinner”. 《CNBC》.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7. “주식회사 아프리카TV 소개”. 《아프리카TV》.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8. “아프리카TV 서비스소개”. 《아프리카TV》.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9. “먹방 BJ 랭킹”. 《아프리카 TV》.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10. 김예린 (2016.07.01). “게임 생방송 플랫폼 트위치서 ‘먹방’ 채널 등장”. 《mk.co.kr》. 201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1. “The Most Followed Social Eating Twitch Streamers, November 2018”. 《TwitchMetrics》. 201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2. 이수연. “구글, 유투브 인수 10년 '동영상 역사를 바꿨다'. 세종경제신문. 201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3. 박현철 (2018년 8월 18일). “디지털세대 ‘양부모’ 된 유튜브, 우린 ‘갓튜브 제국’에 산다”. 한겨례. 201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4. “유튜브 먹방 순위”. 《cchart.xyz》. 201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5. 채반석 (2017년 2월 17일). “출범, 통합 ‘카카오TV’”. 《Bloter.net》. 201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6. “카카오TV”. 《카카오TV》. 201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7. 배근우 (2018년 8월 7일). “[유튜버 파헤치기] '자기관리 甲' 먹방계의 유재석 '밴쯔'. 《데일리팝》.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8. “밴쯔 유튜브 채널”. 《유튜브》.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9. “[톱클래스] 먹방 BJ 엠브로 이동현씨가 ‘대왕카스테라’ 검증에 나선 이유”. 2018년 12월 3일에 확인함. 
  20. “아프리카TV 먹방 랭킹”. 
  21. 김은빈 (2017년 10월 26일).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먹방’ TOP5”. 중앙일보.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22. “해외선 ‘mukbang’(먹방)은 고유명사..‘먹방 규제’ 놓고 시끌”. 2018년 7월 29일.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