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이름
IUPAC 이름
(2S,3S,4S,5R,6S)-6-[3-[2-[[3-(2-Carboxyethyl)-5-[(Z)-(4-ethenyl-3-methyl-5-oxopyrrol-2-ylidene)methyl]-4-methyl-1H-pyrrol-2-yl]methyl]-5-[(Z)-(3-ethenyl-4-methyl-5-oxopyrrol-2-ylidene)methyl]-4-methyl-1H-pyrrol-3-yl]propano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별칭
Bilirubin monoglucuron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KEGG
  • InChI=1S/C39H44N4O12/c1-7-20-19(6)36(50)43-27(20)14-25-18(5)23(10-12-31(46)54-39-34(49)32(47)33(48)35(55-39)38(52)53)29(41-25)15-28-22(9-11-30(44)45)17(4)24(40-28)13-26-16(3)21(8-2)37(51)42-26/h7-8,13-14,32-35,39-41,47-49H,1-2,9-12,15H2,3-6H3,(H,42,51)(H,43,50)(H,44,45)(H,52,53)/b26-13-,27-14-/t32-,33-,34+,35-,39+/m0/s1
    Key: ARBDURHEPGRPSR-LCNKTQGVSA-N
  • CC1=C(NC(=C1CCC(=O)O)CC2=C(C(=C(N2)/C=C\3/C(=C(C(=O)N3)C)C=C)C)CCC(=O)O[C@H]4[C@@H]([C@H]([C@@H]([C@H](O4)C(=O)O)O)O)O)/C=C\5/C(=C(C(=O)N5)C=C)C
성질
C39H44N4O12
몰 질량 760.797 g·mol−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영어: bilirubin glucuronide)는 간접 빌리루빈의 컨쥬게이션 과정에서 수용성 대사 중간생성물이다.[1]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자체는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와 함께 공액 빌리루빈의 범주에 속한다.[2] 그러나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만이 정상적인 환경에서 쓸개즙으로 주로 배설된다.[2][3][4][5][1][5]

대식세포헤모글로빈을 함유하고 있는 적혈구식세포 작용을 할 때[6] 비결합 빌리루빈은 대식세포로부터 혈장으로 배출된다.[7][8] 대부분의 경우, 내부 수소 결합을 가지고 있는 유리 및 지용성 비결합 빌리루빈[9]소수성을 감소시키고 다른 조직들과의 불필요한 접촉 가능성을 제한하기 위해 알부민 및 훨씬 적은 정도로 고밀도 지질단백질에 결합하며[1][9] 혈관의 빌리루빈이 뇌를 포함한 혈관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사구체 여과가 증가하는 것을 막는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약간의 간접 빌리루빈들이 자유롭게 묶여있다.[9] 유리 비결합 빌리루빈은 대뇌를 중독시킬 수 있다.[9][10][11][12][13][14][15][16][17][18][19]

최종적으로 알부민은 간접 빌리루빈을 간으로 이끈다.[1][9] 간 시누소이드에서 알부민은 간접 빌리루빈과 해리되어 순환계로 되돌아가는 반면, 간세포는 간접 빌리루빈을 리간딘으로 전달하고 글루쿠로나이드는 비결합 빌리루빈의 내부 수소 결합 형성을 방해함으로써 소포체에서 간접 빌리루빈을 접합시킨다. 이것은 반감기가 길고 물에 불용성인 간접 빌리루빈을 만들고,[20][9][1][21][22] 2단계 과정에서 2분자의 글루쿠론산을 부착시킴으로써 일어난다.[23] 반응은 UDP-글루쿠론산을 포함하는 2분자의 글루코론산 그룹을 빌리루빈의 프로피온산 그룹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며, 주로 UGT1A1에 의해 촉매된다.[23][24][5] 이 반응에 대해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글루쿠로노실 부분은 빌리루빈의 두 개의 중심 피롤 고리의 C8 및 C12 탄소에 위치한 프로피온산 곁사슬들 중 하나와 접합한다.[25]

첫 번째 단계가 완전히 완료되면 기질인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모노글루쿠로나이드라고도 함[26])가 이 단계에서 생성되며, 수용성으로 쓸개즙에서 쉽게 배설된다.[24][9] 그 후, 다른 글루코론산 부착의 두 번째 단계("재글루쿠론화"라고 함[26])로 기질인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는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8,12-다이글루쿠로나이드[26])로 변하고 정상적인 사람의 쓸개즙으로 C-MOAT[주 1][27][28][29][30] 및 MRP2[5][31]를 통해 일반적인 쓸개즙의 총 색소의 1~4%에 불과한 적은 양의 비결합 빌리루빈과 함께 모세담관으로 배출된다.[9][32] 이는 담즙에서 빌리루빈의 최대 96%~99%가 결합됨을 의미한다.[9][1]

보통 약간의 결합 빌리루빈이 순환계로 빠져나간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간질환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결합 빌리루빈이 순환계로 누출된 다음 혈액으로 용해되어[주 2] 콩팥에 의해 여과되며, 누출된 결합 빌리루빈의 일부 만이 세뇨관에서 재흡수되며 나머지는 소변 속에 남아 소변이 검은 색을 띠도록 한다.[1][3]

임상적 중요성[편집]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의 임상적 중요성은 여러 가지 조건들과 관련되어 있다. 빌리루빈 대사에 관여하는 성분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은 혈액에 빌리루빈을 축적시킬 수 있다.[5] 이에 비해 간이 보통 간접 빌리루빈을 대사할 수 없는 경우 일부 약물의 결합도 손상된다.[5]

콩팥[편집]

소변 검사를 통해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가 소변에서 발견되면, 현저한 양의 결합 빌리루빈이 혈액에 존재하고 순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

듀빈–존슨 증후군[편집]

듀빈-존슨 증후군에서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의 담도 배설 장애는 다약제 내성 관련 단백질 2(MRP2)의 돌연변이로 인한 것이다. 어두운 색소의 간은 빌리루빈이 아닌 중합된 에피네프린 대사 산물에 기인한다.[33]

간부전 및 간염[편집]

간접 빌리루빈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로 더 나아가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없는 간의 경우 고빌리루빈혈증이나 간내 황달이 생긴다.[3]

또한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은 간 성분이 간접 빌리루빈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 느리게 전환하는 경우에 발생한다.[3] 이러한 상태는 빌리루빈의 간세포로의 흡수 감소(로터 증후군[34]) 또는 결함이 있는 세포 내 단백질 결합과 관련이 있다.[3]

유사한 방식으로 간 성분이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를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난다.[3] 담관 폐색은 또한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병태생리학은 간을 통해 담관에서 혈장으로 간접 빌리루빈 및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가 거의 없는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의 역류임에 주의해야 한다.[3][35] 이러한 상태는 결함이 있는 세포 내 단백질 결합 또는 모세담관으로의 분비 방해(듀빈-존슨 증후군[34])과 관련이 있다.[3]

간부전간염은 간 발생 고빌리루빈혈증에서 가장 병인학적인 증상이다.[3] 예를 들어, 담석과 같이 간내 또는 간외 담관 폐색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의 경우 폐색성 황달이 나타난다.[3]

간은 비결합 빌리루빈의 갑작스런 상승에 직면할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빌리루빈을 제거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이전에 저장된 용량만큼 저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빌리루빈의 농도는 간질환의 민감한 초기 지표가 아니다.[36] 요컨대 질환이 있는 간이 혈장에서 과도한 비결합 빌리루빈을 제거하여 정상 기준 범위 내에 있는 총 빌리루빈 수치를 나타낼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36]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편집]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에서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의 유전적 결핍으로 인해 혈장에 고농도의 비결합 빌리루빈이 나타난다.[3] 또한, 이러한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뇌증을 일으킬 수 있는 핵황달(뇌에 색소가 침착됨)이 발생할 수 있다.[3]

질베르 증후군[편집]

질베르 증후군에서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의 활성이 약 70% 감소하여 혈장에 비결합 빌리루빈이 약간 축적된다.[3]

신생아 황달[편집]

출생시 신생아는 빌리루빈을 접합시키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37] 신생아의 8~11%가 생후 첫 주에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한다.[37][19]

용혈성 황달[편집]

용혈로 인한 황달에서 병태생리학은 혈관 외 또는 혈관 내 용혈로부터 빌리루빈의 과잉생산은 이를 배출하는 간의 능력을 압도한다는 것이다.[3] 혈장에 존재하는 빌리루빈은 간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대부분 비접합된다.[3] 이 경우, 담즙 내 빌리루빈 96~99%가 위에서 언급한대로 접합되므로 총 혈청 빌리루빈은 증가하지만 직접 빌리루빈 대 간접 빌리루빈의 비율은 96 : 4로 유지된다.[9][1]

뇌 손상[편집]

비록 몇몇 연구가 혈청 빌리루빈의 수치와 허혈성 관상 동맥 질환,[38] 암으로 인한 사망률,[39] 또는 대장암[40]의 발병률 사이의 역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지만, 빌리루빈의 화학예방적 기능의 잠재적 이점과 이들의 인과관계는 증명되지 않았다.[40][9][10][13][14][15][16][17][18][19]

주해[편집]

  1. C-MOAT는 간세포의 정단 부위 내에 모세담관막에 위치한다.
  2. 결합 빌리루빈은 수용성이므로 혈액에서도 마찬가지로 수용성이다.

각주[편집]

  1. Divers, Thomas J.; Barton, Michelle Henry (2018). 〈Disorders of the Liver〉. 《Equine Internal Medicine》. Elsevier. 843–887쪽. doi:10.1016/b978-0-323-44329-6.00013-9. ISBN 978-0-323-44329-6. then convert biliverdin to bilirubin and release it from the cell as free, insoluble bilirubin. This form of bilirubin also is referred to as indirect-reacting or unconjugated bilirubin. 
  2. Dubin-Johnson syndrome is associated with inability of the hepatocytes to secrete conjugated bilirubin after it has been formed.
  3. Smith, Margaret E.; Morton, Dion G. (2010). 〈Liver and Biliary System〉. 《The Digestive System》. Elsevier. 85–105쪽. doi:10.1016/b978-0-7020-3367-4.00006-2. ISBN 978-0-7020-3367-4. 
  4. Nishida, T; Gatmaitan, Z; Roy-Chowdhry, J; Arias, I M (1992년 11월 1일). “Two distinct mechanisms for bilirubin glucuronide transport by rat bile canalicular membrane vesicles. Demonstration of defective ATP-dependent transport in rats (TR-) with inherited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90 (5): 2130–2135. doi:10.1172/jci116098. ISSN 0021-9738. PMC 443282. PMID 1430236. 
  5. Zhou, J.; Tracy, T. S.; Remmel, R. P. (2010년 7월 28일). “Bilirubin Glucuronidation Revisited: Proper Assay Conditions to Estimate Enzyme Kinetics with Recombinant UGT1A1”.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38 (11): 1907–1911. doi:10.1124/dmd.110.033829. ISSN 0090-9556. PMC 2967393. PMID 20668247. 
  6. Berk, Paul D.; Howe, Robert B.; Bloomer, Joseph R.; Berlin, Nathaniel I. (1969년 11월 1일). “Studies of bilirubin kinetics in normal adult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48 (11): 2176–2190. doi:10.1172/jci106184. ISSN 0021-9738. PMC 297471. PMID 5824077. 
  7. “Heme metabolism in macrophages”. 《eClinpath》. 2018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5일에 확인함. 
  8. “Bilirubin and hemolytic anemia”. 《eClinpath》. 2018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5일에 확인함. 
  9. Namita Roy-Chowdhury; Jayanta Roy-Chowdhury. Sanjiv Chopra; Elizabeth B Rand; Shilpa Grover, 편집. “Bilirubin metabolism”. 《UpToDate》. 2017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5일에 확인함. 
  10. Shapiro, Steven M. (January 2005). “Definition of the Clinical Spectrum of Kernicterus an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Journal of Perinatology》 25 (1): 54–59. doi:10.1038/sj.jp.7211157. PMID 15578034. 
  11. Brites, Dora (2012년 5월 29일). “The Evolving Landscape of Neurotoxicity by Unconjugated Bilirubin: Role of Glial Cells and Inflammation”. 《Frontiers in Pharmacology》 3: 88. doi:10.3389/fphar.2012.00088. ISSN 1663-9812. PMC 3361682. PMID 22661946. 
  12. Wusthoff, Courtney J.; Loe, Irene M. (2015년 1월 10일). “Impact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on neurodevelopmental outcomes”. 《Seminars in Fetal & Neonatal Medicine》 20 (1): 52–57. doi:10.1016/j.siny.2014.12.003. ISSN 1744-165X. PMC 4651619. PMID 25585889. 
  13. Radmacher, Paula G; Groves, Frank D; Owa, Joshua A; Ofovwe, Gabriel E; Amuabunos, Emmanuel A; Olusanya, Bolajoko O; Slusher, Tina M (2015년 4월 1일). “A modifie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M) algorithm is useful in evaluating severity of jaundice in a resource-limited setting”. 《BMC Pediatrics》 15 (1): 28. doi:10.1186/s12887-015-0355-2. ISSN 1471-2431. PMC 4389967. PMID 25884571. 
  14. Johnson, Lois; Bhutani, Vinod K. (2011). “The Clinical Syndrome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Seminars in Perinatology》 35 (3): 101–113. doi:10.1053/j.semperi.2011.02.003. ISSN 0146-0005. PMID 21641482. 
  15. Bhutani, Vinod K.; Wong, Ronald (2015).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Seminars in Fetal and Neonatal Medicine》 20 (1): 1. doi:10.1016/j.siny.2014.12.010. ISSN 1744-165X. PMID 25577656. 
  16. Press, Dove (2018년 3월 7일). “Acute bilirubin encephalopathy and its progression to kernicterus: cur - RRN”. 《Research and Reports in Neonatology》 8: 33–44. doi:10.2147/RRN.S125758. 2019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6일에 확인함. 
  17. Smith, Margaret E.; Morton, Dion G. (2010). 〈Liver and Biliary System〉. 《The Digestive System》. Elsevier. 85–105쪽. doi:10.1016/b978-0-7020-3367-4.00006-2. ISBN 978-0-7020-3367-4. However, when jaundice is present it is likely that many other potentially toxic materials have also accumulated in the blood as a consequence of their reflux from the bile or impaired secretion from the hepatocyte. This can lead to impaired mental function and malaise. 
  18. Watchko, Jon F.; Tiribelli, Claudio (2013년 11월 21일). Ingelfinger, Julie R., 편집.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amage — Mechanisms and Management Approach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9 (21): 2021–2030. doi:10.1056/nejmra1308124. ISSN 0028-4793. PMID 24256380. 
  19. Shapiro, Steven M.; Bhutani, Vinod K.; Johnson, Lois (2006). “Hyperbilirubinemia and Kernicterus”. 《Clinics in Perinatology》 33 (2): 387–410. doi:10.1016/j.clp.2006.03.010. ISSN 0095-5108. PMID 16765731. 
  20. Structure of bilirubin Bonnet RJ, Davis E, Hursthouse MB Nature. 1976; 262:326.
  21. 《The Liver: Biology and Pathobiology》. Hoboken, N.J: Wiley. 2013. ISBN 978-1-119-96422-3. OCLC 899743347. 
  22. “Hereditary Jaundice and Disorders of Bilirubin Metabolism - The Online Metabolic and Molecular Bases of Inherited Disease - McGraw-Hill Medical”. 《OMMBID》. 2019년 5월 6일. 2019년 5월 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3. “Bilirubin”. 《Spencer S. Eccles Health Sciences Library Home Page》. 2019년 5월 6일. 2019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6일에 확인함. 
  24. Bilirubin must be conjugated to a water-soluble substance
  25. Kadakol, A; Ghosh, SS; Sappal, BS; Sharma, G; Chowdhury, JR; Chowdhury, NR (2000). “Genetic lesions of bilirubin uridine-diphosphoglucuronate glucuronosyltransferase (UGT1A1) causing Crigler-Najjar and Gilbert syndromes: correlation of genotype to phenotype.”. 《Human Mutation》 16 (4): 297–306. doi:10.1002/1098-1004(200010)16:4<297::AID-HUMU2>3.0.CO;2-Z. ISSN 1059-7794. PMID 11013440. 
  26. Crawford, JM; Ransil, BJ; Narciso, JP; Gollan, JL (1992년 8월 25일). “Hepatic microsomal bilirubin UDP-glucuronosyltransferase. The kinetics of bilirubin mono- and diglucuronide synthesi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7 (24): 16943–50. ISSN 0021-9258. PMID 1512236. 
  27. Cashore, William J. (2017). 〈Neonatal Bilirubin Metabolism〉.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Elsevier. 929–933쪽. doi:10.1016/b978-0-323-35214-7.00096-2. ISBN 978-0-323-35214-7. Conjugated bilirubin is excreted into canalicular bile by way of the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 (C-MOAT) system located in the canalicular membrane within the apical region of the hepatocyte. 
  28. Koike, K; Kawabe, T; Tanaka, T; Toh, S; Uchiumi, T; Wada, M; Akiyama, S; Ono, M; Kuwano, M (1997년 12월 15일). “A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 (cMOAT) antisense cDNA enhances drug sensitivity in human hepatic cancer cells.”. 《Cancer Research》 57 (24): 5475–9. ISSN 0008-5472. PMID 9407953. 
  29. Paulusma, CC; van Geer, MA; Evers, R; Heijn, M; Ottenhoff, R; Borst, P; Oude Elferink, RP (1999년 3월 1일).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mediates low-affinity transport of reduced glutathione.”. 《Biochemical Journal》 338 (Pt 2): 393–401. doi:10.1042/bj3380393. PMC 1220065. PMID 10024515. 
  30. “Diseases Associated with Hyperbilirubinemia”. 《library.med.utah.edu》. 1995년 1월 5일. 2019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0일에 확인함. 
  31. Kamisako, T; Kobayashi, Y; Takeuchi, K; Ishihara, T; Higuchi, K; Tanaka, Y; Gabazza, EC; Adachi, Y (2000). “Recent advances in bilirubin metabolism research: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patocyte bilirubin transport and its clinical relevance.”. 《Journal of Gastroenterology》 35 (9): 659–64. doi:10.1007/s005350070044. ISSN 0944-1174. PMID 11023036. 
  32. Erlinger, Serge; Arias, Irwin M.; Dhumeaux, Daniel (2014). “Inherited Disorders of Bilirubin Transport and Conjugation: New Insights Into Molecular Mechanisms and Consequences”. 《Gastroenterology》 146 (7): 1625–1638. doi:10.1053/j.gastro.2014.03.047. ISSN 0016-5085. PMID 24704527. 
  33. Kumar, Vinay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Elsevier. 639쪽. 
  34. van de Steeg, Evita; Stránecký, Viktor; Hartmannová, Hana; Nosková, Lenka; Hřebíček, Martin; Wagenaar, Els; van Esch, Anita; de Waart, Dirk R.; Oude Elferink, Ronald P.J.; Kenworthy, Kathryn E.; Sticová, Eva; al-Edreesi, Mohammad; Knisely, A.S.; Kmoch, Stanislav; Jirsa, Milan; Schinkel, Alfred H. (2012년 2월 1일). “Complete OATP1B1 and OATP1B3 deficiency causes human Rotor syndrome by interrupting conjugated bilirubin reuptake into the liver”.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22 (2): 519–528. doi:10.1172/jci59526. ISSN 0021-9738. PMC 3266790. PMID 22232210. 
  35. Weiss, Janet S.; Gautam, Anil; Lauff, John J.; Sundberg, Michael W.; Jatlow, Peter; Boyer, James L.; Seligson, David (1983년 7월 21일). “The Clinical Importance of a Protein-Bound Fraction of Serum Bilirubin in Patients with Hyperbilirubinemi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9 (3): 147–150. doi:10.1056/nejm198307213090305. ISSN 0028-4793. PMID 6866015. 
  36. Raymond, GD; Galambos, JT (1971). “Hepatic storage and excretion of bilirubin in man.”.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5 (2): 135–44. ISSN 0002-9270. PMID 5580257. 
  37. Ullah, S; Rahman, K; Hedayati, M (2016). “Hyperbilirubinemia in Neonates: Types, Causes, Clinical Examinations,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A Narrative Review Article”.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5 (5): 558–568. PMC 4935699. PMID 27398328. 
  38. Breimer, LH; Wannamethee, G; Ebrahim, S; Shaper, AG (1995). “Serum bilirubin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middle-aged British men.”. 《Clinical Chemistry》 41 (10): 1504–8. ISSN 0009-9147. PMID 7586525. 
  39. Temme, EH; Zhang, J; Schouten, EG; Kesteloot, H (2001). “Serum bilirubin and 10-year mortality risk in a Belgian population.”. 《Cancer Causes & Control》 12 (10): 887–94. doi:10.1023/A:1013794407325. ISSN 0957-5243. PMID 11808707. 
  40. Zucker, Stephen D.; Horn, Paul S.; Sherman, Kenneth E. (2004). “Serum bilirubin levels in the U.S. population: Gender effect and inverse correlation with colorectal cancer”. 《Hepatology》 40 (4): 827–835. doi:10.1002/hep.20407. ISSN 0270-9139. PMID 1538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