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슈케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슈케크 | |||
Бишкек | |||
![]() | |||
| |||
행정 | |||
나라 | ![]() | ||
---|---|---|---|
지역 | 추이 주 | ||
지역어 | 키르기스어 | ||
역사 | |||
설립 | 1825 | ||
인구 | |||
인구 | 937,400명 (2015년) | ||
인구밀도 | 5,500 명/km2 | ||
지리 | |||
면적 | 169.6 km2 | ||
해발 | 800 m | ||
기타 | |||
시간대 | UTC+6 | ||
우편번호 | 720000-720085 | ||
지역번호 | (+996) 312 | ||
비슈케크(러시아어: Бишке́к, 키르기스어: Бишкек, بىﺸﮑﻪك, 문화어: 비슈께크)는 키르기스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인구는 약 100만 명이다. 키르기스스탄에서 생산되는 공업 생산품의 대부분을 생산하며, 농업기계, 건설자재, 직물, 의복 외에 식육콤비나트 및 양조공장이 있다.[1]
행정 구역[편집]
시는 레닌스키 구, 페르보마이스키 구, 스베르들롭스키 구, 옥탸브리스키 구의 4개의 구로 나뉜다.
역사[편집]
15세기부터 19세기 처음에 키르기스인이 당시 피슈페크(러시아어: Пишпек)로 불리고 있던 이 땅에 진출했다. 1825년 코칸트 칸국이 요새를 건설했다.
1845년부터 러시아 제국의 침공이 시작되었다. 1860년 러시아 제국이 잠시 피슈페크를 점령했지만, 부대 철수 뒤에는 코칸트 한국이 탈환했다. 1862년에 러시아 제국이 피슈페크를 다시 점령했고 다음 해 키르기스스탄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78년 피슈페크는 시로 승격되었다. 소련은 군인 겸 혁명가인 미하일 프룬제를 기념하기 위한 차원에서 시의 이름을 프룬제(러시아어: Фрунзе, 영어: Frunze)로 바꾸었다. 1991년에 소련으로부터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하면서 비슈케크(Bishkek)로 개명되었다.
교통[편집]
마나스 국제공항이 있다.
인구[편집]
비슈케크의 역사적 인구 | |
---|---|
연도 | 인구 |
1876 | 182 |
1882 | 2,135 |
1893 | 4,857 |
1897 | 6,615 |
1902 | 9,656 |
1907 | 13,752 |
1913 | 20,102 |
1926 | 36,610 |
1939 | 92,783 |
1970 | 430,618 |
1982 | 616,312 |
1999 | 762,300 |
2008 | 822,100 |
2009 | 832,500 |
2010 | 846,500 |
2011 | 859,800 |
2012 | 874,400 |
2020 | 1,053,915 |
Source:[2][3][4][5][6][7][8][9][10] |
기후[편집]
Bishkek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19.2 (66.6) |
25.3 (77.5) |
30.5 (86.9) |
34.7 (94.5) |
35.6 (96.1) |
40.9 (105.6) |
42.8 (109.0) |
39.7 (103.5) |
36.8 (98.2) |
34.1 (93.4) |
27.9 (82.2) |
23.3 (73.9) |
42.8 (109.0) |
평균 최고 기온 °C (°F) | 3.2 (37.8) |
4.9 (40.8) |
11.2 (52.2) |
18.5 (65.3) |
23.6 (74.5) |
29.0 (84.2) |
31.7 (89.1) |
30.9 (87.6) |
25.5 (77.9) |
17.8 (64.0) |
11.0 (51.8) |
5.0 (41.0) |
17.7 (63.9) |
일 평균 기온 °C (°F) | −2.6 (27.3) |
−0.8 (30.6) |
5.3 (41.5) |
12.3 (54.1) |
17.4 (63.3) |
22.4 (72.3) |
24.9 (76.8) |
23.8 (74.8) |
18.5 (65.3) |
11.0 (51.8) |
4.7 (40.5) |
−0.9 (30.4) |
11.3 (52.3) |
평균 최저 기온 °C (°F) | −7.1 (19.2) |
−5.2 (22.6) |
0.4 (32.7) |
6.4 (43.5) |
11.1 (52.0) |
15.6 (60.1) |
17.9 (64.2) |
16.4 (61.5) |
11.3 (52.3) |
5.0 (41.0) |
−0.1 (31.8) |
−5.1 (22.8) |
5.6 (42.1) |
최저 기온 기록 °C (°F) | −31.9 (−25.4) |
−34 (−29) |
−21.8 (−7.2) |
−12.3 (9.9) |
−5.5 (22.1) |
2.4 (36.3) |
7.4 (45.3) |
5.1 (41.2) |
−2.8 (27.0) |
−11.2 (11.8) |
−32.2 (−26.0) |
−29.1 (−20.4) |
−34 (−29)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6 (1.0) |
35 (1.4) |
55 (2.2) |
67 (2.6) |
61 (2.4) |
34 (1.3) |
21 (0.8) |
13 (0.5) |
19 (0.7) |
45 (1.8) |
42 (1.7) |
35 (1.4) |
453 (17.8) |
평균 강우일수 | 3 | 5 | 9 | 12 | 13 | 10 | 10 | 6 | 6 | 8 | 7 | 4 | 93 |
평균 강설일수 | 9 | 9 | 5 | 2 | 0.3 | 0 | 0 | 0 | 0 | 1 | 4 | 7 | 37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5 | 71 | 63 | 60 | 50 | 46 | 45 | 48 | 62 | 70 | 75 | 62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37 | 128 | 153 | 194 | 261 | 306 | 332 | 317 | 264 | 196 | 144 | 114 | 2,546 |
출처 1: Pogoda.ru.net[11] | |||||||||||||
출처 2: NOAA (sun, 1961–1990)[12] |
각주[편집]
-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비슈케크〉
- ↑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Наличное население в губерниях, уездах, городах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без Финляндии). Семиреченская область Archived 29 June 2011 - 웨이백 머신. – First General Russian Empire Census of 1897. Population in provinces, districts, towns of Russian Empire (without Finland). Semirech'e Province (Demoscope.ru) (러시아어)
- ↑ Petrov, Vladimir (2005). “Пишпек исчезающий 1825–1926 (Pishpek disappearing. 1825–1926)”. Bishkek.
- ↑ Pisarskoy, Evgeniy; Kurbatov, Valentin (1976). “Архитектура Советской Киргизии (Architecture of Soviet Kirghizia.)”. Moscow: Stroyizdat.
- ↑ “Review of Semirech'e Oblast for 1907 (Обзор Семиреченской области за 1907 год)”. Verniy: Publishing House of Semirech'e Provincial Administration. 1908.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6일에 확인함.
- ↑ “Review of Semirech'e Oblast for 1902 (Обзор Семиреченской области за 1902 год)”. Verniy: Publishing House of Semirech'e Provincial Administration. 1903. 2018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7일에 확인함.
- ↑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 Киргизская АССР. (All-Union Census of 1926: Kyrgyz ASSR)”. Moscow: CSU SSSR. 1928.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6일에 확인함.
- ↑ Численность наличного населения городов, поселков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районов и районных центров СССР по данным переписи на 15 января 1970 года по республикам, краям и областям (кроме РСФСР) Archived 9 February 2011 - 웨이백 머신.. Demoscope.ru. Retrieved on 11 March 2012.
- ↑ “Население Кыргызстана |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и жилищного фонда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2009”. 212.42.101.100:8088. 2012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http://citypopulation.de/Kyrgyzstan.html.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Bishkek” (러시아어). Weather and Climate. 2015년 2월 8일에 확인함.
- ↑ “Frunze (Bishkek)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5년 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