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짧은꼬리땃쥐
![]() | ||||||||||||||||||||
![]() 북부짧은꼬리땃쥐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Blarina brevicauda (Say, 1823) | ||||||||||||||||||||
아종 | ||||||||||||||||||||
| ||||||||||||||||||||
![]() 북부짧은꼬리땃쥐의 분포 지역 |
북부짧은꼬리땃쥐(Blarina brevicauda)는 짧은꼬리땃쥐속에 속하는 가장 큰 땃쥐류로,[2][3] 북아메리카 동북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4] 굴을 파는 성질을 갖고 있으나 강하지는 않고, 매우 활동적이며 식충성을 띠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산다.[5] 독 포유류의 일종이다. 학명 "브레비카우다"(brevicauda)는 "짧은 꼬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브레비스"(brevis)와 "카우다"(cauda)의 합성어이다.[2]
아종[편집]
11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3]
- Blarina brevicauda brevicauda
- Blarina brevicauda aloga
- Blarina brevicauda angusta
- Blarina brevicauda churchi
- Blarina brevicauda compacta
- Blarina brevicauda hooperi
- Blarina brevicauda kirtlandi
- Blarina brevicauda manitobensis
- Blarina brevicauda pallida
- Blarina brevicauda talpoides
- Blarina brevicauda telmalestes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Cassola, F. 2016. Blarina brevicauda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41451A115187102. http://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41451A22292945.en. Downloaded on 15 August 2018.
- ↑ 가 나 George, S.B.; Choate, J.B. and Genoways, H. H. “Blarina brevicauda” (PDF). 《Mammalian Species Accounts》 261: 1–9.
- ↑ 가 나 Hutterer, R. (2005). 〈FAMILY Soricidae〉 [땃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23–30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Ballenger, L. (2000). Blarina brevicauda, Animal Diversity Web. Accessed December 30, 2012
- ↑ Kurta, Allen (1995). 《Mammals of the Great Lakes Region》. Ann Arbor, MI: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6–49쪽. ISBN 978-0-472-064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