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라파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라파밀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RS)-2-(3,4-Dimethoxyphenyl)-5-{[2-(3,4-dimethoxyphenyl)ethyl](methyl)amino}-2-(propan-2-yl)pentanenitril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2-53-9
ATC 코드 C08DA01
PubChem 2520
드러그뱅크 DB00661
ChemSpider 2425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7H38N2O4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35.1%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생물학적 반감기 2.8~7.4시간[1]
배출 콩팥: 11%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2]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베라파밀(Verapamil)은 이솝틴(Isoptin)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6] 고혈압, 협심증, 심실상성 빈맥 등의 치료에 쓰이는 칼슘 통로 차단제이다.[7] 편두통이나 군발두통 예방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8][9] 경구 투여정맥 주사용 약제가 존재한다.[7]

흔한 부작용에는 두통, 저혈압, 구역질, 변비가 있다.[7] 다른 부작용에는 알레르기 반응과 근육통 등이 있다.[10] 맥박이 느린 서맥이나 심부전 환자에서는 사용을 권고하지 않는다.[10] 임신 중 사용 시 태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2] 작용 기전상 비-디히드로피리딘 칼슘 통로 차단제(non-DHP CCB)에 속하며,[7] 따라서 본 윌리엄스 분류상으로는 클래스 4 항부정맥제로 분류된다.[11]

베라파밀은 1981년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7][12]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3][14]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7] 지속작용 제제도 존재한다.[10] 2021년 한 해 동안 2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196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기록되었다.[15][16]

각주[편집]

  1. Schroeder JS, Frishman WH, Parker JD, Angiolillo DJ, Woods C, Scirica BM (2013). 〈Pharmacologic Options for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 《Cardiovascular Therapeutics: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Elsevier. 83–130쪽. doi:10.1016/b978-1-4557-0101-8.00007-2. ISBN 978-1-4557-0101-8. The elimination half-life of standard verapamil tablets is usually 3 to 7 hours,... 
  2. “Verapamil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11월 18일.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3. “Securon SR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emc)》. 2017년 5월 17일.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4. “Calan- verapamil hydrochloride tablet, film coated”. 《DailyMed》. 2019년 12월 17일.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5. Human Medicines Evaluation Division (2020년 10월 14일). “Active substance(s): verapamil” (PDF). 《List of nationally authorised medicinal products》. European Medicines Agency. 
  6. “Verapamil”. 《www.drugs.com》. 2017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7. “Verapamil Hydrochlor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8. Tfelt-Hansen PC, Jensen RH (July 2012). “Management of cluster headache”. 《CNS Drugs》 26 (7): 571–580. doi:10.2165/11632850-000000000-00000. PMID 22650381. S2CID 22522914. 
  9. Merison K, Jacobs H (November 2016).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hood Migraine”. 《Current Treatment Options in Neurology》 18 (11): 48. doi:10.1007/s11940-016-0431-4. PMID 27704257. S2CID 28302667.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11. Milne GW (2005). 《Gardner's Commercially Important Chemicals: Synonyms, Trade Names, and Properties》. John Wiley & Sons. 665쪽. ISBN 978-0-471-73661-5. 201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2. “Isoptin: FDA-Approved Drug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45533. WHO/MHP/HPS/EML/2021.02. 
  15.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16. “Verapamil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