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로 (서울)
서울특별시도 | |
---|---|
백범로 | |
총연장 | 4.1 km |
기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종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1가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6호선 |
백범로(白凡路)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 신촌로터리에서 용산구 삼각지역을 잇는 왕복 6차선[1]의 도로로 총 길이는 4.1 km이다.
역사[편집]
- 1966년 11월 26일 : ‘삼각지(용산구 한강로1가 100)~용산서앞(용산구 원효로1가 133)’ 구간을 용산로(龍山路)로 지정[2]
- 1972년 11월 26일 : ‘신촌로터리~서강대학교~공덕로터리’ 구간을 서강로(西江路)로 지정[3]
- 1977년 6월 17일 : 지금의 공덕역에서 (구)용산구청 구간(길이 1.4km)을 용마로(龍馬路)로 지정
- 1984년 11월 7일 : 용산로와 용마로를 합하여, 이 도로에서 인근에 있는 효창공원에 안장된 독립운동가 김구의 호인 백범(白凡)을 따서 명명함.
- 2010년 : 서강로를 백범로에 통합함.
노선[편집]
- 신촌로터리 (2호선 신촌역)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염리동 행정복지센터 - 서울여고 - 공덕역 - 신공덕동 행정복지센터 - 서울자동차고등학교 - 효창공원앞역 - (구)용산구청 - (구)용산등기소 - 삼각지역
연결 도로[편집]
이 도로의 시점인 신촌로터리(2호선 신촌역)에서는 신촌로, 서강로 및 연세로와 교차한다. 중간 지점인 공덕역에서는 마포대로와 만리재로가 접하고 있다. 종점인 삼각지역에서는 한강대로와 이태원로가 연결된다.
각주[편집]
- ↑ 용산구청에서 삼각지역을 잇는 고가차도 부분은 왕복 2차선이다.
- ↑ 서울특별시고시 제1093호, 1966년 11월 30일.
- ↑ 《대한민국 관보 제6315호, 서울특별시가로명제정(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1972년 11월 29일. 11쪽.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도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