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중학교
배재중학교
培材中學校 Paichai Middle School | |
![]() | |
교훈 |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 |
---|---|
개교 | 1885년 |
설립형태 | 사립 |
교장 | 권오선 |
국가 | ![]()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227 (고덕동) |
학생 수 | 826명 (2020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55명 (2020년 5월 1일 기준) |
상징 | 교목: 향나무, 교화: 모란 |
학교법인 | 배재학당 |
관할관청 |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배재중학교 홈페이지 |
![]() 배재중학교의 위치 |
배재중학교(培材中學校)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미국의 감리회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 서울시 중구 정동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증등교육기관이다.
아펜젤러는 1885년 6월 21일 인천에 2번째 입국하여 7월 19일 서울에 들어와서 1개월 먼저 와 있던 의사 윌리엄 스크랜튼(Scranton,W.B)의 집 1채를 산 다음 방 2칸 벽을 헐어 작은 교실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이 해 8월 3일에 이겸라(李謙羅), 고영필(高永弼)이라는 2명의 학생을 얻어 수업을 시작하였다. 1기 입학생은 이 2명이 전부였다고 한다.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은 이후 고종 황제가 직접 내린 이름으로, '인재를 기르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학교 연혁[편집]
- 1885년 8월 3일 : 미국 선교사 아펜젤러 목사가 본 학당을 설립
- 1886년 6월 3일 : 고종황제가 배재학당 설립을 재가, '培材學堂' 이란 학교명을 하사함
- 1887년 12월 1일 : 학교본당 신축낙성
- 1909년 4월 23일 : 구한국 사립학교령에 의하여 배재고등학당의 설립인가를 받음
- 1912년 6월 : 연희전문의 모태가 된 기독교 연합대학을 학당 안에 특설함
- 1914년 3월 2일 : 중학 본과와 사범 전수과 설치를 조선총독부로부터 인가 받음
- 1916년 2월 : 조선총독부로부터 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 받음
- 1916년 3월 : 동관 신축 낙성 (정동교사)
- 1922년 4월 4일 : 조선교육령에 의하여 5년제로 변경
- 1923년 3월 : 서관 준공
- 1925년 9월 17일 : 배재학당이라는 교명을 폐지
- 1933년 6월 8일 : 대강당 준공
- 1940년 8월 7일 : 재단법인 배재중학교 유지재단 설립인가
- 1945년 8월 15일 : 해방으로 휴교
- 1945년 9월 1일 : 미군정 하에서 다시 개교
- 1950년 6월 27일 : 6.25로 휴교
- 1951년 6월 27일 : 전시 중 부산 초량동에서 개교
- 1951년 8월 21일 : 교육법 개정으로 구제 중학교를 중학교(3년)와 고등학교(3년)으로 병설 운영
- 1953년 9월 30일 : 서울 본교로 복교, 부산 분교를 폐지
- 1958년 11월 16일 : 우남학관 낙성
- 1960년 9월 13일 : 아펜젤러관 준공
- 1965년 11월 3일 : 주시경관 준공
- 1984년 2월 28일 : 강동구 명일동 산 30번지로 이전
- 1995년 2월 : 보람관 준공
- 2002년 2월 28일 : 강당 개축
- 2004년 1월 29일 : 배재 정동빌딩(2개동) 준공
- 2017년 2월 9일 : 중학교 제66회(통산 132회) 졸업
학교 동문[편집]
갈홍기
강상주
권영세 - 전 주중한국대사. 현 국회의원.
권인하 - 가수
김기방 - 배우
김기진
김계원
김도엽 - 전 축구선수
김동근
김상헌 - (주)네이버 대표이사 사장.
김석수 - 법조인
김성수 - 2대 서울교구장, 초대 한국관구장
김성환 - 의사, 전 국회의원
김소월- 시인. 소월은 호이다. 본명은 김정식.
김영기 - 전 농구선수, KBL 3대 & 8대 총재.
김인식 - 작곡가, 음악교사
김종익(1918) - 전 국회의원
김진구
김진호(군인)
김창현
김필순
김하나 - 목사
김학민(1948)
나도향- 소설가.
노우진 - KBS 공채 20기 개그맨
노일환
노주현 - 배우
문창모
박대승 - KBS 공채 32기 개그맨
박문덕 - (주)하이트진로 회장.[17]
박세영(시인)
박영희
박용철
박진섭 - 전 축구선수, 현 FC 서울 감독
박찬법 - 금호아시아나 고문.
박태현(1886)
박호산 - 배우
배용준 - 배우
백건우 - (배재중) 피아니스트
서병조 - 전 한국정보화진흥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실장
서용길
서재필 - (세계사 교사로서) 구한말 개혁가/사상가. 한국최초의 서양식 의사(MD). 영문명 필립 제이슨.
손동운 - (배재중) 비스트 멤버 강동구 원빈
손병석 - 현 한국철도공사 사장
송락현 - (배재중) 애니메이션 평론가
송방용
송종국 - 전 축구선수 및 축구 해설가, 2002 한일 월드컵에 출전, 현 FC 안양 어드바이져.
안기영 - 음악가
안재석(야구선수) - 현 두산베어스의 내야수
안재환 - 탤런트, 배재고 1학년 중퇴, 중퇴 후 재수하여 대원외국어고등학교로 진학. 본명은 안광성.
여운형 - 독립운동가
염따 - 가수, 래퍼
오긍선 - 계몽사상가, 의사, 사회사업가. 호는 해관.
원철희 - 전 국회의원
이규봉 - KBS 아나운서(공채 26기)
이길용 - 기자, 일장기 말소사건 항목 참조.
이서영 前 육군 소장.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이상묵
이승만-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 호는 우남.
이유선
이재형
이종수
이치우
이창욱 - 배우.
임광순
임호 - 배우
장경석
장경순
전성
정덕구 - 전 국회의원
정재철 - 전 국회의원
정재형 - KBS 공채 29기 개그맨, 유튜브 피식대학 멤버
조경규
조경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조원희 - 전 축구선수, 현 유튜버.
조인성 - 배우
조평재
주시경 - 국어학자. 호는 한힌샘.
지청천 -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호는 백산.
차두리 - 전 축구선수, 현 오산고등학교 축구부 감독.
천호진 - 배우
최수종 - 배우, 배재중학교 출신
캐러멜 - 만화가
홍길선 - 정치인
환희 - (배재중) 가수
참고 자료[편집]
배재중학교 관련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배재중학교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