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시의 행정 구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양시의 행정 구역은 16개 읍면동, 1,092개의 반이 있다. 밀양시의 면적은 799.01km2이며, 인구는 2011년 5월말을 기준으로 46,922세대, 10만 9,864명이다.[1]
지도[편집]
행정 구역[편집]
이름 | 한자 | 인구 | 면적 | 법정동·리 |
---|---|---|---|---|
삼랑진읍 | 三浪津邑 | 7,629 | 78.31 | 검세리,미전리,삼랑리,송지리,숭진리,안태리,용성리,용전리,우곡리 율동리,임천리,청학리,행곡리 |
하남읍 | 下南邑 | 8,796 | 37.09 | 귀명리,남전리,대사리,명례리,백산리,수산리,양동리,파서리 |
부북면 | 府北面 | 6,369 | 55.31 | 가산리,감천리,대항리,덕곡리,무연리,오례리,용지리,운전리,월산리,위랑리 전사포리,제대리,청운리,춘화리,퇴로리,후사포리 |
상동면 | 上東面 | 3,149 | 52.01 | 가곡리,고정리,금산리,도곡리,매화리,신곡리,안인리,옥산리 |
산외면 | 山外面 | 2,962 | 35.41 | 금곡리,금천리,남기리,다죽리,엄광리,희곡리 |
산내면 | 山內面 | 3,947 | 107.49 | 가인리,남명리,봉의리,삼양리,송백리,용전리,원서리,임고리 |
단장면 | 丹場面 | 4,215 | 142.12 | 감물리,고례리,구천리,국전리,단장리,무릉리,미촌리,범도리,법흥리,사연리 안법리,태룡리 |
상남면 | 上南面 | 10,464 | 56.11 | 기산리,남산리,동산리,마산리,연금리,예림리,외산리,조음리,평촌리 |
초동면 | 初同面 | 3,595 | 48.45 | 검암리,금포리,대곡리,덕산리,명성리,반월리,범평리,봉황리,성만리,신월리 신호리,오방리 |
무안면 | 武安面 | 5,933 | 100.33 | 가례리,고라리,내진리,덕암리,동산리,마흘리,모로리,무안리,삼태리,성덕리,신법리 양효리,연상리,운정리,웅동리,정곡리,죽월리,중산리,판곡리,화봉리 |
청도면 | 淸道面 | 1,887 | 57.44 | 고법리,구기리,두곡리,소태리,요고리,인산리,조천리 |
내일동 | 內一洞 | 4,083 | 12.07 | 내일동,용평동,활성동 |
내이동 | 內二洞 | 10,534 | 3.06 | 내이동,삼문동(일부) |
교동 | 校洞 | 7,406 | 4.61 | 교동 |
삼문동 | 三門洞 | 20,127 | 2.93 | 삼문동(일부) |
가곡동 | 駕谷洞 | 8,768 | 6.21 | 가곡동,남포동 |
연혁[편집]
《대동여지도》
- 1285년 밀성군으로 승격되었다.
- 1390년 밀양부로 승격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2]
-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3]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청도군 외서면(外西面)을 밀양시에 편입하였다.[4]
- 13면 - 부내면, 부북면, 상동면, 천화산내면, 천화산외면, 단장면, 하동면, 상남면, 하남면, 상서초동면, 상서이동면, 하서면, 청도면
- 1918년 부내면을 밀양면으로, 천화산내면을 산내면으로, 천화산외면을 산외면으로, 상서초동면을 초동면으로, 상서이동면을 이동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3년 밀양면을 지정면으로 하였다.
- 1928년 4월 1일 하동면을 삼랑진면으로 개칭하였다.[5]
- 1931년 4월 1일 밀양면을 밀양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12면)
- 1933년 1월 1일 이동면, 하서면을 무안면으로 합면하였다.[7] (1읍 11면)
- 1946년 밀양읍 대성정을 상동면 안인리로 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삼랑진면을 삼랑진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10면)
- 1966년 7월 15일 삼랑진읍 임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9]
- 1973년 7월 1일 하남면을 하남읍으로 승격하였다.[10] (3읍 9면)
- 1989년 1월 1일 밀양읍 일원을 관할로 밀양시가 설치되었다.[11] (2읍 9면 6행정동)
- 1995년 1월 1일 밀양시 일원과 밀양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밀양시가 설치되었다.[12]
- 1998년 9월 21일 용활동을 내일동에 합동하였다. (2읍 9면 5행정동)
- 2004년 4월 1일 밀양역에 KTX 고속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각주[편집]
- ↑ 밀양시의 인구통계, 2011년 5월 기준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도령 제2호 (1928년 1월 28일)
-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 도령 제17호 (1932년 10월 31일)
- ↑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군조례 제103호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