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플라스마
![]() | ||||||||||||
생물 분류![]() | ||||||||||||
---|---|---|---|---|---|---|---|---|---|---|---|---|
| ||||||||||||
종 | ||||||||||||
|
미코플라스마(Mycoplasma)는 미코플라스마과 미코플라스마속(Mycoplasma) 세균 총칭이다.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성질을 가진 미생물로서 호흡기 감염병을 유발시킨다.[1] 기도, 요로, 생식관의 감염을 야기한다.[2]
동물이나 식물에 기생하거나 땅 속에 존재한다. 세포벽이 없고 매우 불규칙한 모양(공 모양·실 모양 또는 분지된 모양)을 하고 있다. 크기는 보통 2~5μ 정도이며, 50μ 이상의 것도 있다. 몸은 많은 공 모양의 생식체로 갈라져서 증식한다. 미코플라스마는 가장 작은 형태의 세포이다.[3]
예전에는 바이러스로 다루어졌으며, 그 후에는 세균으로 다루고 있다.
미코플라스마의 중요 특징[편집]
- 세포벽이없고 세포막 이 세포의 외부 경계를 형성한다.
-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이 유기체들은 그들의 모양을 바꿀 수 있는 다형성이다.
- 핵이 없고, 막 결합 소기관이다.
- 유전 물질은 단일 DNA 이중체이며 외피가 없다.
- 리보솜은 70S 유형이다.
- 복제 프로세스와 유전 물질의 분리를 지원하는 복제 디스크가 한쪽 끝에 위치한다.
- 일부는 자립하지만, 대부분은 식물과 동물에 기생한다. 기생충 성질을 띄는 것은, 미코플라스마가 생장에 필요한 인자를 합성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포 형태[편집]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둥근 모양에서 직사각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막대, 구균 또는 스피로체로 분류될 수 없다.[4]
감염 증상[편집]
미코플라스마로 인한 폐렴 증상은 일반적으로 경증이고, 저등급 열, 피로, 인후통, 기침을 포함한다. 이 감염은 때때로 "보행성" 폐렴이라고 하고, 이는 침상 안정 또는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증 폐렴에 대한 비의학적 용어이다. 일부는 여전히 직장에 출근하고 다른 일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컨디션이 좋다.[2]
많은 미코플라스마의 소변 및 생식기 감염 환자들, 특히 여성들에서 증상이 없다. 증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클라미디아 증상과 유사하고 성별과 감염 위치에 따라 다르다.
- 여성은 배뇨 중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또는 작열감을 느낄 수 있다.
- 남성은 배뇨 중 작열감을 인지하고 때로는 음경에서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검사[편집]
검사가 필요한 경우[2][편집]
- 의사가 호흡기 혹은 전신 증상이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에 의한 것이라 의심할 때
- 생식기 감염이 마이코플라스마 혹은 유레아플라스마에 의한 것일 때
분석 대상 검체[2][편집]
정맥혈액, 인후 면봉, 객담 검체, 체액 혹은 조직검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간혹 생식기 혹은 요도부 검체를 면봉으로 얻을 수 있다.
검사 기법[편집]
미코플라스마는 호흡기 분비물 또는 질 또는 요도 면봉 검체로 핵산 증폭 검사(NAAT)를 실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NAAT는 유기체의 고유한 유전 물질인 DNA 또는 RNA(핵산)를 찾는다. NAAT는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박테리아의 DNA 또는 RNA의 양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사용한다.
치료[편집]
미코플라스마 감염은 아지트로마이신, 독시사이클린, 또는 때때로 레보플록사신 또는 목시플록사신과 같은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Plant Science 1》Olga Piedrahita. 나이아가라 대학 출판사. 2008년 출간. 2009년 4월 23일 확인.
- ↑ 가 나 다 라 “미코플라스마 - 감염”. 2020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Sweet, Richard L.; Gibbs, Ronald S. (1985). 《Infectious diseases of the female genital tract》. Baltimore : Williams & Wilkins.
- ↑ Gladwin, Mark,. 《Clinical microbiology made ridiculously simple》 6판. Miami. ISBN 978-1-935660-15-6.
참고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
- Compare 세균 크기 비교.
- MedPix(r)Images 마이코플라즈마 폐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