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하이드로아세트산
보이기
이름 | |
---|---|
우선명 (PIN)
3-acetyl-2-hydroxy-6-methyl-4H-pyran-4-one | |
별칭
biocide 470F
methylacetopyronon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약어 | DHAA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7.541 |
EC 번호 |
|
E 번호 | E265 (방부제) |
MeSH | dehydroacetic+acid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8H8O4 | |
몰 질량 | 168.148 g·mol−1 |
겉보기 | 흰색 결정 |
녹는점 | 109 °C; 228 °F; 382 K |
끓는점 | 270 °C; 518 °F; 543 K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신호어 | 경고 |
H302 | |
P264, P270, P301+312, P330,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디하이드로아세트산(영어: dehydroacetic acid)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이다. 화합물은 피론 유도체로 분류된다. 무취, 무색 내지 흰색의 결정성 분말로 거의 물에 녹지 않으며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적당히 용해된다.[2]
제조
[편집]디하이드로아세트산은 다이케텐의 염기 촉매 이량체화에 의해 제조된다.[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염기는 이미다졸, DABCO 및 피리딘을 포함한다.[4]
용도
[편집]산업적으로 디하이드로아세트산은 다음을 포함하는 여러 용도를 가진다.
- 살진균제 및 살세균제 – 나트륨염인 디하이드로아세트산 나트륨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더 크기 때문에 디하이드로아세트산 대신에 종종 사용된다.
- 호박과 딸기의 피클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식품 방부제로 사용된다.[5]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경우 디하이드로아세트산은 식품 첨가물의 국제 번호 체계 또는 E 번호 265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 합성 수지에서 가소제.[1]
- 치약의 항효소.
- 다이메틸-4-피리돈의 전구체. 화합물은 디하이드로아세트산이 1차 아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노출될 때 합성된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Merck Index, 11th Edition, 2855
- ↑ Jilalat, Alae Eddine; 외. (2017). “DEHYDROACETIC ACID (Part 1):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Journal Marocain de Chimie Hétérocyclique》 16 (1): 1–47. ISSN 1114-7792. 2017년 7월 3일에 확인함.
- ↑ Raimund Miller, Claudio Abaecherli, Adel Said, Barry Jackson. "Ketene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1, Wiley-VCH, Weinheim. doi 10.1002/14356007.a15_063
- ↑ Clemens, Robert J.; Witzeman, J. Stewart (1993). Agreda, Victor H.; Zoeller, Joseph R., 편집. 《Acetic Acid and its Derivatives》. New York: Marcel Dekker, Inc. 202쪽. ISBN 9780824787929.
- ↑ Harold William Rossmoore. Handbook of Biocide and Preservative Use, p. 341. ISBN 0-7514-0212-5
- ↑ Cook, Denys (1963). “The Preparation, Properties, and Structure of 2,6-bis-(Alkyamino)-2,5-heptadien-4-ones”. 《Canadian Journal of Chemistry》 41 (6): 1435–1440. doi:10.1139/v6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