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무화과나무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장미목 |
과: | 뽕나무과 |
속: | 무화과나무속 |
종: | 돌무화과나무 |
학명 | |
Ficus sycomorus | |
L. | |
학명이명 | |
| |
돌무화과나무의 분포 지역 | |
![]() |
돌무화과나무(-無花果--, 학명: Ficus sycomorus 피쿠스 시코모루스[*])는 뽕나무과의 과일 나무이다.[3] 열매인 돌무화과(-無花果)는 무화과와 비슷하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반도이다.[4]
분포
[편집]돌무화과나무는 아프리카 사헬지대 남부와 남회귀선 북부가 원산이며, 또 중서부 열대우림 지대도 포함한다. 돌무화과나무는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 남부, 키프로스 섬, 마다가스카르의 여러 지역에서 자생하기도 한다.
생김새
[편집]돌무화과나무는 20미터까지 자라며 빠르게 자라난다. 가지가 촘촘히 뻗어나와 둥근 수관을 이룬다. 잎은 그 끝이 둥근 하트 모양을 이룬다. 잎의 길이가 14cm에 그 너비는 10cm이며 작은 가지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모여난다. 잎은 앞면이 짙은 녹색이며 튀어나온 노란 엽맥이 있는 뒷면보다는 더 밝다. 두 면 전부 만졌을 때에 거칠은 느낌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0.5~3cm이며 솜털로 덮여있다. 과일은 먹을 수 있는 커다란 무화과이며 직경은 2~3cm에 황록색에서 노랑 또는 붉은색으로 익어간다. 돌무화과나무는 엽액이나 길다란 가지 끝 위로 두꺼운 잎이 모여 난다. 개화 시기와 열매 맺는 시기는 매 년 있으며 7월에서 12월 사이에는 정점에 다다른다. 수피는 녹색 또는 황색, 주황색이며 내수피의 황색 부분이 드러날 정도로 길고 가늘고 얇게 찢어진다. 다른 무화과나무들도 그렇듯 라텍스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과실 산출이 매 년 4월 또는 약간 늦게부터 시작된다. 겨울에도 연이어서 생산해낸다. 이따금씩 5번 연속으로 수확이 가능한 ’과수작물‘로 분류되기도 한다.[5]
문화
[편집]고대 근동에서 재배해왔기에 고대 이집트의 미라 관중에는 돌무화과나무로 제작된 것들이 있다.[6] 성경에서도 등장하며 개신교의 개역한글까지는 뽕나무로 번역되었으나 개역개정부터 돌무화과나무로 개역되었다. 루가의 복음서 16장에서 자캐오(삭개오)가 오른 나무, 예언자 아모스의 본업이 돌무화과나무 과수원이었다고 전한다.
사진
[편집]-
열매
-
돌무화과
각주
[편집]- ↑ “Ficus sycomorus L.”.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Ficus sycomorus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1059. 1753.
- ↑ “Ficus sycomorus 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09년 1월 16일. 2019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Brown, Thomas W.; Walsingham, F. G. (1917년 1월 1일). “The Sycamore Fig In Egypt”. 《Journal of Heredity》 (영어) 8 (1): 3–12. 202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Wood Used in Pharaonic Coffins Cut from Egyptian Ficus, Lebanese Cedars” (영어). 2024년 6월 30일에 확인함.
이 글은 장미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