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열병균
보이기
![]() | |
---|---|
![]() 도열병균의 포자.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균계 |
아계: | 쌍핵균아계 |
문: | 자낭균문 |
아문: | 주발버섯아문 |
강: | 동충하초강 |
아강: | 검뎅이침버섯아강 |
목: | 도열병균목 |
과: | 도열병균과 |
속: | 도열병균속 |
종: | 도열병균 |
학명 | |
Magnaporthe grisea Magnaporthe oryzae | |
(T.T. Hebert) M.E. Barr |
도열병균(稻熱病菌, rice blast fungus)은 식물에 기생하는 진균이다. 도열병균은 서로 교잡되지 않는 두 개 이상의 종이 섞여 있는 은성종복합체임이 밝혀져 있다.[1] 그중 바랭이에게서 분리되는 균종을 M. grisea라 하고, 벼에서 분리되는 나머지 균종을 M. oryzae라 한다.
도열병균종복합체의 균종들은 벼, 밀, 보리, 호밀, 진주조, 벼 등 주요 곡물에 치명적인 질병인 열병(熱病, blast disease)을 일으키며, 특히 벼(稻: 도)에게 걸릴 경우 도열병(稻熱病, rice blast)이라 한다. 도열병은 매년 쌀 생산량의 주요 하락 원인일 정도로 벼농사에 치명적인 질병이며, 매년 6000만 명이 먹을 수 있는 쌀을 파괴한다. 열병은 전세계 85개국에서 창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각주
[편집]- ↑ Couch, B. C.; Fudal, I; Lebrun, M. H.; Tharreau, D; Valent, B; Van Kim, P; Nottéghem, J. L.; Kohn, L. M. (2005). “Origins of host-specific populations of the bla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in crop domestication with subsequent expansion of pandemic clones on rice and weeds of rice”. Genetics 170 (2): 613–30. doi:10.1534/genetics.105.041780. PMC 1450392. PMID 15802503.
- ↑ S.C. Scardaci; 외. (2003). “Rice Blast: A New Disease in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Davis: Agronomy Fact Sheet Series 1997-2. 2006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