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 나이지리아 (2010년 FIFA 월드컵)
![]() 양 팀 선수들이 경기 전 몸을 푸는 모습 | |||||||
경기 | 2010년 FIFA 월드컵 B조 제6경기 | ||||||
---|---|---|---|---|---|---|---|
| |||||||
날짜 | 2010년 6월 22일 | ||||||
장소 | 더반,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 ||||||
최우수 선수 | 박지성 (대한민국) | ||||||
심판 | 올레가리우 벵케렌사 (포르투갈) | ||||||
관중 수 | 61,874명 |
2010년의 대한민국 대 나이지리아는 2010년 6월 22일에 치뤄진, 2010년 FIFA 월드컵 B조 제6경기였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사상 첫 원정 16강 진출 여부가 달린 경기였으며, 대한민국 내에서 큰 관심을 모은 경기였다. 실제로 해당 경기는 UTC+9 시각으로 새벽 3시 30분에 치루어진 경기였으나 시청률 37.8%를 기록해 매우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1] [2]
경기 내용[편집]
나이지리아가 12분에 치디 오디아의 낮은 크로스를 칼루 우체가 마무리하면서 앞서나갔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이정수는 이에 프리킥을 잘 받아 낸 동점골로 응수하였다. 후반전에는 박주영이 프리킥을 성공시키며 대한민국이 경기를 2-1로 뒤집었다. 나이지리아에 패배의 먹구름이 드리우는 와중에 66분에 기회를 잡았다. 야쿠부 아이예그베니가 아일라 유수프의 패스를 받아 대한민국의 수비를 돌파했으나, 야쿠부의 슛은 빈 골대를 3.5미터 앞에 두고 날려버렸고, 공은 왼쪽으로 빠져나갔다. 3분 후, 대한민국의 김남일]이 저지른 반칙으로 인해 나이지리아에게 페널티킥이 주어졌다. 야쿠부는 페널티킥으로 나이지리아는 대한민국과 2-2로 다시 동률로 이루었으나, 경기가 끝날때까지 역전골을 득점하지 못하면서 경기는 2-2로 종료되었다. 승점 4점을 획득한 대한민국은 원정 무대에서 처음으로 조별 리그를 돌파하는데 성공하였다. 조별 리그 경쟁에서 생존한 대한민국은 16강에서 A조 1위 우루과이를 만났다. 반면 나이지리아는 승점 1점에 그쳐 조 최하위로 탈락하였다.
상세 정보[편집]
2010년 6월 22일 20:30 | ||||||
나이지리아 ![]() |
2 – 2 | ![]() |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더반 관중수: 61,874 심판: 올레가리우 벵케렌사 (포르투갈) | |||
우체 ![]() 야쿠부 ![]() |
리포트 | ![]() ![]() | ||||
나이지리아[3]
|
대한민국[3]
|
|
![]() |
|
최우수 선수:
부심:
|
경기 후 반응[편집]
대한민국[편집]
사상 첫 원정 월드컵 16강 진출을 이뤄내자 대한민국 전역은 새벽부터 환호와 열광으로 들썩였다. 전국 곳곳의 거리응원장에서 밤을 하얗게 지새우며 승리의 염원을 '대∼한민국' '오 필승 코리아' 등 응원구호에 실어 남아공으로 날려 보내던 시민 50만명은 한국의 16강 진출이 확정되자 서로 얼싸안으며 환호했다. 전국 58곳의 거리응원장에는 50만1천800명(경찰 추산)의 응원단이 운집했다. 대표적인 응원 장소인 서울광장에는 8만여명이 운집해 인근 태평로와 프라자호텔 앞 도로가 모두 통제될 정도였다. 곳곳에서 폭죽이 터지는 가운데 일부는 태극기를 몸에 감고 보이는 대로 거리를 내달렸고, 일부는 손에 들고 있던 맥주를 머리에 들이붓기도 했다. [4]
한편 해당 경기에서 이정수의 골이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듯한 이정수의 슛 동작에 착안해 '동방예의지국 슛'이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선수 본인은 '골 넣는 수비수'라는 별명이 생겼다. [5] 또한 후반 20분에 염기훈 대신 교체출전한 김남일이 후반 24분 야쿠부 아이예그베니에게 패널티킥을 허용하게 되는 백태클 반칙을 범했다.[6] 이로 인해 김남일은 국민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당했으며 그의 아내인 김보민 아나운서의 미니홈피가 테러를 당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7] 한편으로는 해당 페널티킥이 성공하자 아쉬운 모습을 보인 한국 측 여성 관중이 중계 카메라에 포착되기도 하였는데, 네티즌들은 해당 여성에 대해 '페널티녀'라는 별명을 붙이며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다. [8]
나이지리아[편집]
2010년 6월 30일, 나이지리아의 조기 탈락의 영향으로 굿럭 조너선 전 나이지리아의 대통령이 국가대표팀의 활동을 2년간 정지시켰다.[9] 그 결과 FIFA가 축구계에 정치가 개입했다는 이유로 나이지리아에 국제 무대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리는 계기가 되었다.[10]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참고주[편집]
- ↑ “한국, 나이지리아 꺾고 '16강 간다'”. 《서울신문》. 2010년 6월 20일.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16강 결정' 나이지리아전, 37.8% 시청률 기록”. 《노컷뉴스》. 2010년 6월 23일.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Tactical Line-up – Group B – Nigeria-Korea Republic”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0년 6월 22일. 2010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태극전사, 사상 첫 원정 16강 확정‥전국 열광”. 《서울투데이》. 2010년 6월 22일.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골넣는 수비수` 이정수 "`동방예의지국 슛` 재밌네요"”. 《매일경제》. 2010년 6월 24일.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아찔한 자충수 될 뻔했던 ‘김남일 교체투입’
- ↑ 김남일 거친 태클 동점골 허용에 아내 김보민 미니홈피 일부네티즌 비난폭주
- ↑ “한국-나이지리아 관람한 미모의 여성 관중, ‘페널티녀’ 등극”. 《국민일보》. 2010년 6월 24일.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Nigeria president suspends team”. BBC Sport. 2010년 6월 30일. 2010년 6월 30일에 확인함.
- ↑ Adigun, Bashir; Gambrell, Jon (2010년 6월 30일). “Nigeria's president suspends soccer team”. 《USA Today》. 2010년 6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