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바르나무두더지
![]() | ||||||||||||||||||
![]() | ||||||||||||||||||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Tupaia nicobarica (Zelebor, 1868) | ||||||||||||||||||
![]() 니코바르나무두더지의 분포 |
니코바르나무두더지(Tupaia nicobarica)는 청서번티기과에 속하는 작은 나무두더지의 일종이다.[1] 니코바르 제도의 토착종으로 섬의 우림에서 서식한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2] 1868년에 첼레보르(Johann Zelebor)가 처음 기술했다.[3]
각주[편집]
- ↑ 가 나 Helgen, K.M. (2005). “Tupaia nicobarica”.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0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Saha, S. S., Bhatta, T. (2008). “Tupaia nicobaric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 ↑ Zelebor, J. (1868). Cladobates Nicobaricus. In: Reise der österreichischen Fregatte Novara um die Erde. Zoologischer Theil, Band 1 Säugethiere. Wien: Kaiserli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p.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