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의 숲 (소설)
보이기
![]() | |
저자 | 무라카미 하루키 |
---|---|
나라 | ![]() |
언어 | 일본어 |
출판사 | 고단샤 |
발행일 | 1987년 9월 |
《노르웨이의 숲》(일본어: ノルウェイの森 노루웨이노모리[*])은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 소설로서 1987년에 발표되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대표작으로서 2009년에는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조사한 대한민국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일본 소설로 뽑히기도 했다.[1]
2010년에는 일본에서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상실의 시대》가 제작되었다.
제목
[편집]소설 제목인 《노르웨이의 숲》은 비틀즈의 노래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의 번역명(일본, 한국)에서 따왔으나, 이는 노르웨이산 원목 가구 혹은 목재가 원작자 무라카미 하루키에 의해 오역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등장인물
[편집]- 나 - 와타나베 토오루(ワタナベトオル)
- 주인공. 도쿄의 사립 대학 문학부에 다니며, 기숙사(와케이쥬쿠)에 살고있다. 레코드 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있다.
- 기즈키(キズキ)
- ‘나’의 고교시절 동급생으로 유일한 친구이다. 나, 나오코와 함께 셋이서 자주 놀았다. 17세 때, 자택의 차고에서 N360[4]의 배기가스로 자살한다.
- 나오코(直子)
- 기즈키의 소꿉친구이다. 도쿄의 대학에 입학한 후 ‘나’와 재회했지만, 정신병이 생겨 휴학하고 교토에 있는 요양시설 ‘아미료’에 들어간다.
- 돌격대(突撃隊)
- ‘주인공’이 사는 기숙사에서 같은 방을 쓰는 학생이다. 국립 대학에서 지리학을 전공하고 있다. 국토 지리원에 들어가 지도를 만들고 싶어 한다. 고지식하고 결벽증을 갖고있다. 갑자기 기숙사에서 나간다.
- 나가사와 선배(永沢さん)
- ‘주인공’이 사는 기숙사의 상급생. 도쿄 대학 법학부에 재학 중이다. 부모님은 나고야시에서 병원을 경영하고 있다. 머리가 매우 비상하고 공부도 잘하는터라 외교관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 하쓰미(ハツミさん)
- 나가사와 선배의 애인. 이쁘장한 얼굴은 아니지만, 남을 매료시키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
- 고바야시 미도리(小林 緑))
- ‘나’와 같은 대학에서 같은 수업을 수강했다.
- 이시다 레이코(レイコさん)
- ‘아미료’에서 나오코와 같은 방을 쓰고 있다. 피아노 연주자가 되고 싶어했지만, 좌절하고 정신병원에 3번 입원한다. ‘아미료’에는 8년 차이고,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다. 요코하마시에 헤어진 남편과 딸이 있다.
한국어 번역본
[편집]- 노병식 역, 《노르웨이의 숲》, 삼진기획, 1988년
- 유유정 역, 《상실의 시대》, 문학사상사, 1989년; 1997년, ISBN 8970120157
- 이미라 역, 《노르웨이의 숲》, 동하, 1993년
- 김난주 역, 《노르웨이의 숲》, 모음사, 1993년, ISBN 8971569085
- 김난주 역, 《노르웨이의 숲》, 한양출판, 1994년, ISBN 8985247972
- 허호 역, 《노르웨이의 숲》, 열림원, 1997년, ISBN 8970631410
- 임홍빈 역, 《노르웨이의 숲》, 문사미디어, 2008년, ISBN 9788978370158
- 양억관 역, 《노르웨이의 숲》, 민음사, 2013년, ISBN 9788937463105
관련 목록
[편집]각주
[편집]- ↑ “20-30대가 뽑은 日소설 1위 '상실의 시대'”. 연합뉴스. 2009년 5월 8일.
- ↑ “숲과 피오르드와 백야의 나라”. 미디어오늘. 2008년 7월 21일. 첫 번째 문단면. 2009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1) 서울로부터 7,730km”. 경희대학교 미디어센터. 2006년 12월 18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혼다에서 생산한 경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