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별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별영(南別營)은 조선시대에 군영(軍營)인 금위영의 분영(分營, 별도 군영)이다. 창덕궁 앞에 있었던 금위영은 본영(本營)[1] 이외에 여러 곳에 소규모 군영을 두고 있었는데, 남별영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남산(南山, 목멱산) 북쪽 기슭에 있었다.

연혁[편집]

  • 1686년(숙종 12년), 훗날 남별영이 들어설 자리에서 금위영의 관무재(觀武才)[2] 과거 시험이 시행됨
  • 1730년(영조 6년) 6월, 남별영 창설
  • 1882년(고종 19년) 9월, 임오군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병된 청나라 오장경(吳長慶) 제독의 군대가 남별영에 거처
  • 1884년(고종 21년) 윤5월, 신식 군대 훈련을 담당한 조련국(操鍊局)의 일부를 남별영에 설치
  • 1886년(고종 23년) 2월, 기연해방아문(畿沿海防衙門)의 본영이 됨
  • 1903년(고종 40년), 일본수비대(日本守備隊)가 남별영 및 남별영과 이웃한 남창(南倉) 자리에 주둔[3]

청사[편집]

조선시대 행정구역 기준으로 남부(南部) 낙선방(樂善坊) 묵동(墨洞)에 있었으며, 금위영의 군수 창고인 남창(南倉) 및 하남창(下南倉)과 인접하고 있었다.[4] 군영 내의 건물 규모는 139칸[間]이었고, 넓은 훈련장이 마련되어 있었다.

활용[편집]

  • 평상시에는 초관(哨官)[5] 1명, 별기위(別騎位) 2명, 지방군 15명이 입직(入直, 숙직)한다.
  • 내중일(內中日)에 금위영 군사들이 훈련 및 연습하는 장소로 활용하였다.[6]
  •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식년(式年) 무과(武科) 초시(初試) 과거 시험의 응시자가 많을 경우, 남별영이 어영청남소영(南小營)과 함께 시험 장소로 추가 활용되었다.[7]
  • 문관이 활쏘는 행사인 삭시사(朔試射)가 남별영에서 때때로 시행되었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 금위영 본영을 신영(新營)이라고 하였다.
  2. 임금의 특별한 명령으로 시행되는 무과(武科) 과거 시험의 하나이다.
  3. 이후 한국주차군사령부, 헌병사령부, 경무총감부 등으로 계속 활용된다.
  4. 남별영 남쪽에 있던 금위영 남창(南倉)의 건물 규모는 101칸, 북쪽에 있던 하남창(下南倉)의 건물 규모는 104칸이다.
  5. 오늘날의 중대장에 해당한다. 약 100명에서 125명 사이로 편성된 1개 초(哨)를 지휘한다.
  6. 내중일(內)은 일진(日辰) 간지(干支, 띠)에 묘(卯) 자, 오(午) 자가 들어간 날이다.
  7. 시험 장소를 4곳으로 나눠 시행할 때 1소는 훈련원(訓鍊院), 2소는 모화관(慕華館), 3소는 남소영(南小營), 4소는 남별영(南別營).
  8. 삭시사(朔試射)는 매월 초하루에 열렸던 활쏘기 시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