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근 고택
경기도의 민속문화재 | |
종목 | 민속문화재 제12호 (2003년 4월 21일 지정) |
---|---|
수량 | 2동 |
위치 | |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내촌리 222-14 |
좌표 | 북위 37° 19′ 19″ 동경 127° 30′ 06″ / 북위 37.32194° 동경 127.50167°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김좌근 고택(金左根 古宅)은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내촌리에 있는 고택이다. 2003년 4월 21일 경기도의 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편집]김좌근 고택은 산을 뒤에 두고 남향으로 자리 잡은 전통 한옥으로 당초에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이 집은 영의정 김좌근의 아들이며 고종 때 어영대장과 이조판서를 지낸 김병기가 1865년 부친의 묘지관리를 겸한 별장용으로 지은 건물로 알려져 있다.[2]
수십년 전까지만 해도 복판에 높다란 솟을대문과 사랑채, 행랑채가 두 겹으로 안채를 싼 규모 있는 사대부집 전통가옥의 모습을 온전하게 간직하고 있었으나, 후손들이 덩치가 큰 건물을 관리하기가 벅차다는 이유로 당시 신흥재벌에 건물을 팔아 넘겼다.[3] 사랑채와 행랑채를 뜯어 옮기던 도중 회사가 부도로 건물 이전이 중단되어 2009년 서울대학교가 인수하였고, 서울대 측에서 복원 계획을 세워 그나마 현재의 모습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4]
원래 구조는 대문과 중문을 지나 안채로 통하도록 되어 있는데 안채는 ㄷ자형으로 중문과 연결된 사랑채가 있었으며, 바깥쪽은 대문과 연결된 행랑채가 ㄱ자형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현재는 안채와 별채가 서로 떨어져 독립된 두 개의 건물로 되어 있지만 원래는 두 건물 사이에서도 가로막힌 건물이 있었고, 그 건물 뒤쪽에 널마루로 짠 회랑을 달아서 왕래하기 편하도록 서로 연결된 구조였다.[2]
회랑은 없어졌지만 별채 뒷면을 돌아가며 둘러싼 쪽마루는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마당에 흙을 밟지 않고서도 안채와 별채 사이를 편하게 왕래할 수 있게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서쪽부터 부엌과 다락, 3개의 방과 곳간으로 이루어진 팔작지붕의 일자집이다. 부엌은 3칸 규모로 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퇴를 달았고 오른쪽에 다락이 있다. 3개의 방 전면에는 3칸 정도의 대청마루가 있다.[2]
또한 집 앞으로는 연못을 파서 인공섬으로 만들었는데, 주민들이 시멘트 구조물로 된 정자를 지어 휴식처로 사용하고 있다. 솟을 대문과 담장, 행랑채 등이 없어졌기는 해도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 후기 권문세가의 가옥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2]
집주인의 역사
[편집]김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 인물로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아들이자 순조의 왕비인 순원왕후의 남동생이었다. 영의정에 세 번이나 보직되는 등 순탄한 벼슬생활을 하면서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중심인물이었다.[2]
지정 사유
[편집]이 집은 안채 1동과 별당 1동만 남아 있으나, 안사랑채인 별당을 둔 점 등, 구조와 치목에 있어서 상당히 격식을 갖춘 집으로 조선후기 권문세가 주택을 잘 보여주고 있어 건축적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며 경기도의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김좌근 고택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