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3월) |
언어학 |
---|
기초 분야 |
음운론 문자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음성학 기호학 개별언어학 언어습득 언어의 기원 |
언어의 변화와 변이 |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계통론 언어연대학 언어유형론 사회언어학 방언학 |
이론 |
생성언어학 인지언어학 이론언어학 |
응용 분야 |
응용언어학 언어인류학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전산언어학 말뭉치언어학 |
관련 항목 |
언어 언어학자 |
기호학(記號學, 영어: semiotics, semiotic studies, semiology)은 기호, 즉 어떠한 의미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것에 대한 학문이다. 이를 위해 기호학자들은 기호가 발생하는 과정(기호 생성), 기호의 작용과정(기호작용, 세미오시스semiosis), 기표화, 소통 등의 개념을 가지고 연구한다. 기호학은 언어의 구조와 그 의미를 연구한다는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언어학 분야와 맞닿아 있지만, 언어학과 다르게 기호학은 비언어 기호 체계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역사[편집]
기호학이라는 단어는 원래 존 로크의 《인간 이해에 관한 에세이》 (1690년)에서 파생되었다. 여기 로크는 '표징', '징표' 등으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단어인 세메이온(그리스어: σημειον)라는 단어에 기반하여 "semeiotike"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이후 기호학 연구가 실제로 일어나거나 제시된 적은 없었다.
이후 기호학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창시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명작 《일반언어학 강의》(1916년)에 의해 사실상 재제안되었으며, 이후 옐름슬레우와 찰스 샌더스 퍼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분류[편집]
이후 파리 기호학파는 서사를 연구하는 서사기호학을 더욱 발전시키고, 여기에서 새로운 기호학 분류인 시각기호학과 정념기호학을 도출해냈다.
또한 생물체들이 자신만의 기호 세상에서 적응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것에 대한 연구인 생물기호학도 있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학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