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언어학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09년 9월) |
언어학 |
---|
기초 분야 |
음운론 문자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음성학 기호학 개별언어학 언어습득 언어의 기원 |
언어의 변화와 변이 |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계통론 언어연대학 언어유형론 사회언어학 방언학 |
이론 |
생성언어학 인지언어학 이론언어학 |
응용 분야 |
응용언어학 언어인류학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전산언어학 말뭉치언어학 |
관련 항목 |
언어 언어학자 |
역사언어학(歷史言語學, 영어: Historical linguistics)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다. 때로는 비교언어학을 역사언어학의 한 분야로 간주하기도 한다. 언어는 계속 변화하므로 역사언어학에서는 공통의 조어(祖語)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의 계통을 연구하고 고대 조어를 재구성하기도 하는데 같은 조어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들을 통틀어 한 어족(語族)이라고 이른다. 또 같은 어족 내에도 여러 하위 관계가 있을 수 있어 한 어족은 또 여러 어파(語派)로 나뉜다. 이러한 언어 계통의 연구는 19세기의 역사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가 개척하였다. 이러한 언어 계통을 정립하는 데는 비교방법(comparative method)이 사용되는데 같은 계통의 언어를 비교하여 규칙적인 음운·어휘 등의 대응을 통해 어떻게 언어들이 갈라져 생겨났는지를 연구한다. 언어학은 역사언어학으로부터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하위 분야[편집]
비교언어학[편집]
어원학[편집]
방언학[편집]
음운변화[편집]
형태론[편집]
통사론[편집]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