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룽나무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Prunus padus L. |
귀룽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딸린 나무이다. 북부 아프리카의 모로코, 온대 아시아의 터키, 코카서스 지방,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몽고, 중국, 중국, 일본, 한국 및 유럽 각지에서 자생한다.[1]
쓰임새[편집]
목재는 가구재와 조각재로 쓰이고, 조경수로도 좋다. 열매와 일년생 가지와 잎을 약으로 쓴다.
사진[편집]
각주[편집]
- ↑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2014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분류:
- 네덜란드의 식물상
- 노르웨이의 식물상
- 덴마크의 식물상
- 독일의 식물상
- 라트비아의 식물상
- 러시아의 나무
- 루마니아의 식물상
- 리투아니아의 식물상
- 모로코의 나무
- 몬테네그로의 식물상
- 몰도바의 식물상
- 몽골의 나무
- 벚나무속
- 벨기에의 식물상
- 벨라루스의 식물상
- 불가리아의 나무
- 스웨덴의 식물상
- 스위스의 식물상
- 스페인의 식물상
- 슬로바키아의 식물상
- 아르메니아의 식물상
- 아일랜드의 식물상
- 알바니아의 나무
- 에스토니아의 식물상
- 영국의 식물상
- 오스트리아의 식물상
- 우크라이나의 나무
- 이탈리아의 식물상
- 일본의 나무
- 조지아의 식물상
- 중국의 나무
- 체코의 식물상
- 카자흐스탄의 식물상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크로아티아의 나무
- 튀르키예의 나무
- 포르투갈의 식물상
- 폴란드의 식물상
- 프랑스의 식물상
- 핀란드의 식물상
- 한국의 나무
- 헝가리의 식물상
- 1753년 기재된 식물
- 목본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