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줄기
보이기
교감신경줄기 |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truncus sympathicus |
영어 | sympathetic trunk |
TA98 | A14.3.01.002 |
TA2 | 6602 |
FMA | 6258 |
교감신경줄기(sympathetic trunks, sympathetic chain, gangliated cord) 또는 교감신경간(交感神經幹)은 머리뼈바닥에서 꼬리뼈까지 주행하는 한 쌍의 신경섬유 다발이다. 교감신경계를 구성하는 주된 구조이다.
구조
[편집]교감신경줄기는 척주 전체에서 척추뼈몸통의 바로 가쪽에 놓여 있다. 교통가지를 통해 척수신경의 앞가지와 연결된다. 교감신경줄기를 통해 교감신경계의 신경절이전섬유는 T1보다 위쪽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L2-3보다 아래쪽까지 내려갈 수 있다.[1][2][3][4][5][6][7]
교감신경줄기의 위쪽 끝은 목동맥관을 통해 머리뼈의 안으로 연속해서 올라가 속목동맥 주변에서 신경얼기를 형성한다. 교감신경줄기의 아래쪽 부분은 꼬리뼈의 앞쪽으로 지나가 홑신경절에서 다른 신경줄기와 합쳐진다.
전체 교감신경줄기에는 척추옆신경절이라는 교감신경절이 존재한다.
-
교감신경줄기(노란색으로 표시)는 척주 바로 가쪽에 위치한다.
기능
[편집]교감신경줄기는 교감신경계의 기본을 이루는 구조로서 자율신경계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신경섬유는 교감신경줄기를 통해 원래 시작된 위치보다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내장신경과 같은 여러 신경들이 교감신경줄기로부터 직접 갈라져 나온다.
추가 이미지
[편집]-
척수신경의 형성
-
오른쪽 엉치신경얼기
-
교감신경계의 날신경
-
엉치부위의 교감신경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976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Mader S. S. (2000): Human biology. McGraw-Hill, New York, ISBN 0-07-290584-0; ISBN 0-07-117940-2.
- ↑ Pritchard T. E., Alloway D. (1999): Medical neuroscience. Hayes Barton Press, ISBN 978-1-59377-200-0:https://books.google.com/books/about/Medical_neuroscience.html?id=m7Y80PcFHtsC[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Butler A. B., Hodos W. (2005): Comparative vertebrate neuroanatomy: evolution and adaptation. Wiley-Blackwell, ISBN 978-0-471-21005-4.
- ↑ Butler, Ann B.; Hodos, William (2005년 9월 2일). 《Comparative Vertebrate Neuroanatomy: Evolution and Adaptation》 (영어). Wiley. ISBN 9780471733836.
- ↑ Hall J. E., Guyton A. C. (2006):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th edition. Elsevier Saunders, St. Louis, Mo, ISBN 0-7216-0240-1.
- ↑ Warrell D. A., Cox T. M., Firth J. D. (2010): The Oxford Textbook of Medicine 보관됨 2012-03-21 - 웨이백 머신 (5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 ↑ Greenstein B., Greenstein A. (2002): Color atlas of neuroscience – Neuroanatomy and neurophysiology. Thieme, Stuttgart – New York, ISBN 978313108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