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전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AT&T 공중전화
태국 방콕 돈므앙 국제공항의 공중전화 부스
대한민국의 공중전화

공중전화(公衆電話, 영어: payphone 또는 pay phone)는 일반인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장소에 설치된 전화기이다.

대한민국[편집]

초창기[편집]

한국에서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는 1902년 3월 19일에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다만 이 전화는 공개된 장소가 아니라 전화소라는 곳이었는데, 서울에는 마포, 도동, 시흥, 경교 이렇게 네 군데였다. 전화소에는 전화 교환시설과 통신원 관리가 있었고, 전화 통화는 전적으로 통신원 관리의 재량이었다.[1] 다만 전화요금은 정해져 있었는데, 서울에서 인천까지 5분에 50전이었고, 호출을 할 경우 1리에 2전씩 더 내야 했다. 더구나 기다리는 사람이 있으면 10분 이내라는 시간 제한이 있었고, 반대로 기다리는 사람이 없으면 돈을 더 내고 얼마든지 통화를 할 수 있었다.

침체기[편집]

1980년대이동통신의 등장으로 무선호출기휴대 전화(카폰)의 보급이 늘어나고, 1990년대에 공중전화기가 부쩍 늘었지만, PCS 상용 서비스가 시작됐고, 2000년대 이후부터 휴대 전화에 밀려 무선 호출기의 수요가 감소하여, 공중전화도 이용률이 크게 감소했으며, 현재 주화와 교통카드 겸용 공중전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법[편집]

동전을 넣고 신호음이 나오면 상대편 전화번호를 누르면 된다.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해당 금액의 동전은 전화기 내부로 들어가고 일정 시간의 통화가 가능하다. 시간이 다 되어가면 경고 신호음이 나오고 주어진 시간안에 동전을 더 넣지 않으면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진다. 그 외에도 카드로도 전화가 가능한데, 카드를 넣고,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요금은 동전을 사용할때하고 동일하다. 선불식 전화카드의 경우 금액이 모두 소진되면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진다. 전화를 마치면 사용한 카드는 반환된다. 긴급 통화의 경우 빨간색 버튼만 누르면 바로 직통으로 연결되며, 동전이나 카드가 필요없다.

공중전화카드[편집]

자기식IC식의 겸용으로 3,000원, 5,000원, 10,000원 등의 충전되는 금액이다. 1980년대에 공중전화카드가 도입됐지만, 2000년대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고, 현재 교통카드를 대체되었다.

담당 업체[편집]

요금[편집]

각주[편집]

  1. 김은신 (1995년 11월 1일).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286~288쪽쪽. ISBN 978-89-85407-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