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거울은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 뒤쪽에 아말감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는 연단을 칠해서 만든다. 종류로는 평면 거울, 볼룩 거울, 오목 거울이 있다.
역사[편집]
인류가 사용한 최초의 거울은 정적인 물이었다. 도구로서의 거울은 오랜 동안 가정용품과 장식용품으로 사용되었다. 옛날에는 은, 청동, 철의 표면에 매끈하게 광을 내어 사용하다가, 12-13세기 무렵 유리로 만든 거울이 최초로 등장하여 16-17세기에 전유럽에 퍼졌다. 2개의 거울을 90도 각도로 붙이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왜곡과 굴절[편집]
거울도 인간등 척추동물이 시각을 담당하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에의한 해상력을 갖듯이 빛의 입사각을 반영하는 투영체가 그 표면에 결정되는 원리를 갖고있다. 이러한 투영체는 거울의 특성상 대칭으로 반사하는 특징을 갖기도 하늗데 한편 오목한 표면과 볼록한 표면 그리고 평면의 표면등 그 거울의 표면의 물리적 성질은 확대,축소,대칭등 왜곡과 굴절의 특수한 반사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볼록거울은 이쪽과 저쪽의 모습을 모두 보여줄 수 있어서 보다 많은 정보를 담을수있기에 길모퉁이의 안전 반사거울로도 많이 이용된다. 이와는 반대로 오목거울은 빛을 모아줄때도 사용되는데 오래전부터 고대에서는 이를 이용한 올림픽 성화를 위한 점화에도 이러한 원리를 사용해왔다.
무한 거울[편집]
또한 이와는 달리 거울과 거울을 서로 비춤으로써 무한하게 뻗어가는 공간감을 빛을 이용하여 그 거울 표면에 결상(結像)하게 할수도 있다. 이 경우 거울은 무한반복으로 상대편 거울을 반사하여 상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터널 속처럼 보이는 무한 반사를 볼 수 있다.
![]() |
2개 이상의 거울이 만들어 내는 무한 반사에 의한 터널현상 |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참고[편집]
![]() |
이 글은 광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