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성신염
보이기
간질성신염 | |
---|---|
진료과 | 신장학 |
간질성신염(間質性腎炎, interstitial nephritis, tubulo-interstitial nephritis)은 세관 주위의 신장의 간질에 영향을 주는 신장염의 일종이다. 이 질병은 갑자기 발생할 경우 급성일 수도 있으며, 진행성이 있으면서 신부전으로 발전하는 경우 만성 질환으로 간주된다.
병인
[편집]일반적인 병인에는 진통제와 같은 약물이나 메티실린과 같은 항생제에 대한 반응 또는 감염을 포함한다. 약물에 대한 반응은 총 사례 중 71%[1]에서 92%[2]를 차지한다.
진단
[편집]한동안은 이 질병에 증상이 없지만 증상이 발생하면 그 범위가 다양하며 급속적으로나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3][4][5][6]
혈액 검사
[편집]환자들 가운데 약 23%가 호산구 증가증을 앓고 있다.[1]
갈륨 스캔
[편집]갈륨 스캔(Gallium scan)의 민감도가 60%[7]에서 100%[8]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치료
[편집]치료의 경우 문제시가 되는 약물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처럼 병인을 찾아내어 해결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도움이 된다는 분명한 증거는 없다.[2] 영양 치료에는 수 리터의 추가 유체가 요구되는, 적절한 유체 섭취(fluid intake)로 구성된다.[9]
각주
[편집]- ↑ 가 나 다 Baker R, Pusey C (2004). “The changing profile of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Nephrol Dial Transplant》 19 (1): 8–11. doi:10.1093/ndt/gfg464. PMID 14671029.
- ↑ 가 나 Clarkson M, Giblin L, O'Connell F, O'Kelly P, Walshe J, Conlon P, O'Meara Y, Dormon A, Campbell E, Donohoe J (2004).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clinical features and response to corticosteroid therapy”. 《Nephrol Dial Transplant》 19 (11): 2778–83. doi:10.1093/ndt/gfh485. PMID 15340098.
- ↑ Rossert J (2001). “Drug-induc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Kidney Int》 60 (2): 804–17. doi:10.1046/j.1523-1755.2001.060002804.x. PMID 11473672.
- ↑ Pusey C, Saltissi D, Bloodworth L, Rainford D, Christie J (1983). “Drug associat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and the response to high dose steroid therapy”. 《Q J Med》 52 (206): 194–211. PMID 6604293.
- ↑ Handa S (1986). “Drug-induc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report of 10 cases”. 《CMAJ》 135 (11): 1278–81. PMC 1491384. PMID 3779558.
- ↑ Buysen J, Houthoff H, Krediet R, Arisz L (1990).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 clinical and morphological study in 27 patients”. 《Nephrol Dial Transplant》 5 (2): 94–9. doi:10.1093/ndt/5.2.94. PMID 2113219.
- ↑ Graham G, Lundy M, Moreno A (1983). “Failure of Gallium-67 scintigraphy to identify reliably noninfectious interstitial nephritis: concise communication”. 《J Nucl Med》 24 (7): 568–70. PMID 6864309.
- ↑ Linton A, Richmond J, Clark W, Lindsay R, Driedger A, Lamki L (1985). “Gallium67 scintigraphy in the diagnosis of acute renal disease”. 《Clin Nephrol》 24 (2): 84–7. PMID 3862487.
- ↑ Mahan KL, Escott-Stump S (2003). 〈39〉. Alexopolos Y. 《Krause's Food, Nutrition, & Diet Therapy》 11판. Philadelphia Pennsylvania: Saunders. 968쪽. ISBN 0-7216-9784-4.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Merck Manual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