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오케

가라오케(일본어: カラオケ, 원래는
전 세계 가라오케 시장의 가치는 100억 가까이로 추산되고 있다.[1] 특히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가라오케가 널리 퍼져 있다.[2]
세대[편집]
반주되는 방식에 따라 세대별 분류가 가능하며, 1세대는 반주자가 악기 연주가 가능한 사람으로 구성된 악단으로 고객의 요청곡이 지정되면 직접 연주하였다. 2세대는 악단의 반주를 저장 매체 등에 저장한 후 필요한 장소에 재생 장치를 통해 연주하였다. 특히 80년대 말에는 저장 매체로 레이저 디스크를 활용하여 반주에다 자막과 영상까지 제공하는 단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3세대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반주하는 방식으로 음원, 자막, 그리고 영상 처리가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3]
나라별 현황[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6년 4월) |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91년 대한민국의 와와전자라는 곳에서 부산광역시에 보급하면서 급성장하였다. 당시의 컴퓨터 반주기 즉 노래방 기기는 모든 자막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반주와 동기화를 시키고, 배경 또한 일반 TV나 비디오 영상을 공급하여 믹싱하는 형태로 제공 되어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게 되었다. 노래의 멜로디에 맞게 글자가 색칠되고, 상하 좌우로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이 되는 등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노래 반주기와 자막 처리하는 기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음과 자막 간의 싱크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4자리 숫자로 된 번호에 9999를 넣으면 개발자의 인사말이 나오는 "easter egg"가 존재 하기도 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UK Police and PRS Shutdown Karaoke Torrent Site. Torrentfreak. MARCH 13, 2015
- ↑ Alt, Matt (2021). 《Pure Invention: How Japan Made the Modern World》. Crown. 88쪽. ISBN 978-1-9848-2671-8.
- ↑ Brooks, Tim; Marsh, Earle (1992), 《The Complete Directory to Prime Time Network TV Shows》, Ballantine Books, ISBN 978-0-345-37792-0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 가라오케 - Curlie
![]() |
이 글은 일본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