の
오십음 | ||||||||||||||||||||||||||||||||||||||||||||||||||||||||||||||||||||||||
---|---|---|---|---|---|---|---|---|---|---|---|---|---|---|---|---|---|---|---|---|---|---|---|---|---|---|---|---|---|---|---|---|---|---|---|---|---|---|---|---|---|---|---|---|---|---|---|---|---|---|---|---|---|---|---|---|---|---|---|---|---|---|---|---|---|---|---|---|---|---|---|---|
|
の, ノ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다.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서 제4행 제5단(な행 お단)에 위치한다. 발음은 한글의 "노"와 흡사하다.
획순[편집]
![]() |
![]() |


컴퓨터 부문[편집]
미리 보기 | の | ノ | ノ | ㋨ | ||||
---|---|---|---|---|---|---|---|---|
유니코드 이름 | HIRAGANA LETTER NO | KATAKANA LETTER NO | HALFWIDTH KATAKANA LETTER NO | CIRCLED KATAKANA NO | ||||
인코딩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유니코드 | 12398 | U+306E | 12494 | U+30CE | 65417 | U+FF89 | 13032 | U+32E8 |
UTF-8 | 227 129 174 | E3 81 AE | 227 131 142 | E3 83 8E | 239 190 137 | EF BE 89 | 227 139 168 | E3 8B A8 |
수치 문자 참조 | の | の | ノ | ノ | ノ | ノ | ㋨ | ㋨ |
Shift JIS[1] | 130 204 | 82 CC | 131 109 | 83 6D | 201 | C9 | ||
EUC-JP[2] | 164 206 | A4 CE | 165 206 | A5 CE | 142 201 | 8E C9 | ||
GB 18030[3] | 164 206 | A4 CE | 165 206 | A5 CE | 132 0 | 84 31 99 37 | ||
EUC-KR[4] / UHC[5] | 170 206 | AA CE | 171 206 | AB CE | ||||
Big5 (non-ETEN kana)[6] | 198 210 | C6 D2 | 199 102 | C7 66 | ||||
Big5 (ETEN / HKSCS)[7] | 199 85 | C7 55 | 199 202 | C7 CA |
각주[편집]
-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3-08]. “Shift-JIS to Unicode”.
- ↑ Unicode Consortium; IBM. “EUC-JP-2007”.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 (2005년 11월 18일).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 ↑ Unicode Consortium; IBM. “IBM-970”.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Steele, Shawn (2000). “cp949 to Unicode table”.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2-11].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 ↑ van Kesteren, Anne. “big5”. 《Encoding Standard》. WHATWG.
![]() |
이 글은 문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