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체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4번째 줄: 14번째 줄:
최초의 대체 역사는 [[티투스 리비우스]]의 ''로마사''(''Ab Urbe Condita Libri'', 제9권 17-19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리비우스는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알렉산드로스 대제]]가 동방이 아닌 서방을 정복하는 것을 상상해 보았다; 그는 "만약 [[로마 제국]]이 알렉산드로스와의 전쟁에 엮였다면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라고 질문했다.<ref>{{웹 인용|url=http://mcadams.posc.mu.edu/txt/ah/Livy/Livy09.html |title=Livy's History of Rome |publisher=[[Marquette University]] |accessdate=2017-02-22}}</ref><ref name="roads">{{서적 인용|last=Dozois |first=Gardner |authorlink=Gardner Dozois |author2=[[Stanley Schmidt]] |title=Roads Not Taken: Tales of Alternate History |publisher=Del Rey |year=1998 |location=New York |pages=1–5 |isbn=0-345-42194-9}}</ref><ref>{{서적 인용|last=Turtledove |first=Harry |authorlink=Harry Turtledove |author2=[[Martin H. Greenberg]] |title=The Best Alternate History Stories of the 20th Century |publisher=Del Rey |year=2001 |location=New York |pages=1–5 |isbn=978-0-345-43990-1 }}</ref> 리비우스는 로마인들이 알렉산드로스를 이겼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ref>{{웹 인용|url=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2.0155%3Abook%3D9%3Achapter%3D19 |author=Titus Livius (Livy) |title=The History of Rome, Book 9, chapter 19 |publisher=Perseus.tufts.edu |accessdate=2017-02-22}}</ref>
최초의 대체 역사는 [[티투스 리비우스]]의 ''로마사''(''Ab Urbe Condita Libri'', 제9권 17-19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리비우스는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알렉산드로스 대제]]가 동방이 아닌 서방을 정복하는 것을 상상해 보았다; 그는 "만약 [[로마 제국]]이 알렉산드로스와의 전쟁에 엮였다면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라고 질문했다.<ref>{{웹 인용|url=http://mcadams.posc.mu.edu/txt/ah/Livy/Livy09.html |title=Livy's History of Rome |publisher=[[Marquette University]] |accessdate=2017-02-22}}</ref><ref name="roads">{{서적 인용|last=Dozois |first=Gardner |authorlink=Gardner Dozois |author2=[[Stanley Schmidt]] |title=Roads Not Taken: Tales of Alternate History |publisher=Del Rey |year=1998 |location=New York |pages=1–5 |isbn=0-345-42194-9}}</ref><ref>{{서적 인용|last=Turtledove |first=Harry |authorlink=Harry Turtledove |author2=[[Martin H. Greenberg]] |title=The Best Alternate History Stories of the 20th Century |publisher=Del Rey |year=2001 |location=New York |pages=1–5 |isbn=978-0-345-43990-1 }}</ref> 리비우스는 로마인들이 알렉산드로스를 이겼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ref>{{웹 인용|url=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2.0155%3Abook%3D9%3Achapter%3D19 |author=Titus Livius (Livy) |title=The History of Rome, Book 9, chapter 19 |publisher=Perseus.tufts.edu |accessdate=2017-02-22}}</ref>


다른 예는 1490년에 쓰여진 조아노 마르토렐(Joanot Martorell)의 [[기사 문학|기사]] [[서사시]] ''백색의 티란트''(''Tirant lo Blanch'')인데, [[오스만 제국|투르크]]의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플]] 함락이 크리스트교 유럽에 악몽으로 남아 있을 때 쓰여졌다. 이야기는 브로타뉴에서 온 백색의 티란트라는 기사가 궁지에 몰린 [[비잔티움 제국]]으로 가서 군 사령관이 된 후 [[메흐메트 2세]]의 군대와 싸운다. 그는 도시를 이슬람의 정복으로부터 구하고, 투르크가 정복했던 이전 영토까지 쫓아간다.
다른 예는 조아노 마르토렐(Joanot Martorell)의 [[기사 문학|기사]] [[서사시]] ''백색의 티란트''(''Tirant lo Blanch'')(1490)인데, [[오스만 제국|투르크]]의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플]] 함락이 크리스트교 유럽에 악몽으로 남아 있을 때 쓰여졌다. 이야기는 브로타뉴에서 온 백색의 티란트라는 기사가 궁지에 몰린 [[비잔티움 제국]]으로 가서 군 사령관이 된 후 [[메흐메트 2세]]의 군대와 싸운다. 그는 도시를 이슬람의 정복으로부터 구하고, 투르크가 정복했던 이전 영토까지 쫓아간다.


=== 19세기 ===
=== 19세기 ===
22번째 줄: 22번째 줄:


영어 최초의 대체 역사 소설은 캐스털로 홀포드(Castello Holford)의 ''아리스토피아''(''Aristopia'')(1895)이다. 루이 조프리의 ''세계 제국의 역사: 나폴레옹과 세계 정복 (1812–1832)''만큼 민족주의적이진 않지만, ''아리스토피아''도 이상 사회를 다루려는 시도이다. ''아리스토피아''에서는 [[버지니아 주|버지니아]]의 첫 이주민들이 [[금]]으로 된 암초를 발견해 [[북아메리카]]에 [[유토피아|이상]] 사회를 건설할 수 있게 된다.
영어 최초의 대체 역사 소설은 캐스털로 홀포드(Castello Holford)의 ''아리스토피아''(''Aristopia'')(1895)이다. 루이 조프리의 ''세계 제국의 역사: 나폴레옹과 세계 정복 (1812–1832)''만큼 민족주의적이진 않지만, ''아리스토피아''도 이상 사회를 다루려는 시도이다. ''아리스토피아''에서는 [[버지니아 주|버지니아]]의 첫 이주민들이 [[금]]으로 된 암초를 발견해 [[북아메리카]]에 [[유토피아|이상]] 사회를 건설할 수 있게 된다.

== 20세기 초 대중 소설 ==
많은 대체 역사 소설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등장했다(찰스 페트리(Charles Petrie)의 ''만약에: 왕당파의 환상''(''If: A Jacobite Fantasy'')(1926) 등).<ref>{{cite web|url=http://www.jacobite.ca/essays/if.htm |title=If: A Jacobite Fantasy |publisher=Jacobite.ca |accessdate=2017-02-22}}</ref> 1931년, 영국의 역사가 존 스콰이어 경(Sir John Squire)은 문집 ''만약 다르게 일어났더라면''(''If It Had Happened Otherwise'')에서 당대의 주요 역사가들의 에세이들을 모았다. 이 작품에서, 주요 대학의 교수들과 작가들이 "만약 스페인에서 무어인들이 승리했다면"이나 "만약 [[루이 16세]]가 확고부동한 성격이었다면" 같은 질문에 관심을 둔다. 에세이는 심오한 학술적 분석부터 [[헨드릭 빌럼 판 론]]의 20세기 맨해튼 섬에서의 독립된 네덜란드 도시 국가에 대한 풍자까지 담고 있다. 일러 벨록(Hilaire Belloc), [[앙드레 모루아]], [[윈스턴 처칠]] 등의 작가들이 참여했다.

[[File:Bring the Jubilee Map.PNG|thumb|워드 무어의 ''희년을 선포하라''의 "남부 독립 전쟁" — 가상의 [[미국 남북 전쟁]] — 에서 [[아메리카 연합국|남부]]가 승리한 세계의 1952년 지도.]]
위의 스콰이어의 책 속 글들 중에는, [[미국 남북 전쟁]]에서 [[아메리카 연합국|남부]]가 승리한 세상의 역사가의 관점에서 저술된, 처칠의 "만약 리 장군이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승리하지 못했다면"이 있다. 이 글은 만약 북부가 승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를 상상한다(즉, 대체 역사에서의 인물이 현실 세계와 비슷한 세계를 상상한다는 것이다). 대체 역사 속 관점에서 추측을 하는 이러한 기법은 "반복 대체 역사(recursive alternate history)"나 "이중 추측(double-blind what-if)", 또는 "대체 대체 역사(alternate-alternate history)"으로 알려져 있다."<ref>{{cite web |url=http://www.winstonchurchill.org/i4a/pages/index.cfm?pageid=674 |title=If Lee Had Not Won the Battle of Gettysburg - The Churchill Centre |publisher=Web.archive.org |date=2006-12-06 |accessdate=2017-02-22 |deadurl=yes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1206031128/http://www.winstonchurchill.org/i4a/pages/index.cfm?pageid=674 |archivedate=December 6, 2006 }}</ref> 처칠의 에세이는 워드 무어(Ward Moore)의 ''희년을 선포하라''(''Bring the Jubilee'')에 일부 영항을 주었는데, 여기서는 [[로버트 E. 리]] 장군이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마침내 [[아메리카 연합국|남부]]가 [[미국 남북 전쟁]](작중 "남부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는 길을 닦는다. 주인공 호긴스 백메이커(Hodgins Backmaker)는 게티즈버그 전투 당시로 시간 여행을 해 우연히 역사를 바꾸고, 현실에서의 역사가 발생해 결국 북부의 승리라는 결과를 낳는다.


== 미국에서의 대체역사 ==
== 미국에서의 대체역사 ==

2017년 2월 22일 (수) 23:17 판

대체 역사(代替歷史, 영어: alternate history, alternative history, alternative reality)는[1], 하나 또는 여러 역사적 사건들이 다르게 전개되는 이야기를 담은 문학 장르이다. 대체 역사는 역사상의 중요한 시점들에서의 "만약"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역사적 사실 이외의 결과들을 내놓는다. 이야기는 추측이지만,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기도 한다. 대체 역사는 과학 소설이나 역사 소설의 하위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대체 역사는 이러한 장르들에서 사용되는 비유가 들어 있기도 하다.

1950년대부터, 이 장르는 대규모로, 대체 역사 사이의 시간 여행, 한 우주에서의 다른 우주에 대한 초자연적 인지, 역사가 둘 이상의 흐름으로 나뉘는 결과를 낳는 시간 여행 등을 다루는 과학 소설과 합쳐져 왔다. 시간 이동과 대체 역사 장르는 매우 가깝게 엮어져 둘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정의

대체 역사는 "저자가 특정한 역사적 사건이 다른 결과를 낳았다면 역사의 방향이 어떻게 바뀌었을지 가정하는 문학 장르"로 정의된다.[2] 미국의 과학 소설 편집자 스티븐 H 실버(Steven H Silver)에 따르면, 대체 역사에는 세 가지가 필요하다; 저자의 집필 시점보다 앞선 이 세계와의 분기점; 알려진 대로의 역사를 바꾸는 변화; 변화의 결과에 대한 검증이 그것이다.[3]

몇몇 문학 장르들이 대체 역사로 오인되었다. 아서 C. 클라크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조지 오웰1984년 같이 미래를 배경으로 한 과학 소설이었지만 지금은 과거가 된 경우는 저자가 집필 시점 이전을 바꾸지 않았으므로 대체 역사가 아니다. 문학이나 기록 형식의 역사 소설 중 역사적으로 일어나지 않은 것을 다룬 작품이라도 역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작품은 대체 역사와는 구분된다.[4]

역사

서양 고전

조아노 마르토렐의 백색의 티란트 카스티야어 초판 표지

최초의 대체 역사는 티투스 리비우스로마사(Ab Urbe Condita Libri, 제9권 17-19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리비우스는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제가 동방이 아닌 서방을 정복하는 것을 상상해 보았다; 그는 "만약 로마 제국이 알렉산드로스와의 전쟁에 엮였다면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라고 질문했다.[5][6][7] 리비우스는 로마인들이 알렉산드로스를 이겼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8]

다른 예는 조아노 마르토렐(Joanot Martorell)의 기사 서사시 백색의 티란트(Tirant lo Blanch)(1490)인데, 투르크콘스탄티노플 함락이 크리스트교 유럽에 악몽으로 남아 있을 때 쓰여졌다. 이야기는 브로타뉴에서 온 백색의 티란트라는 기사가 궁지에 몰린 비잔티움 제국으로 가서 군 사령관이 된 후 메흐메트 2세의 군대와 싸운다. 그는 도시를 이슬람의 정복으로부터 구하고, 투르크가 정복했던 이전 영토까지 쫓아간다.

19세기

대중을 위해 대규모로 출판된 최초의 대체 역사 소설 중 하나는 루이 조프리(Louis Geoffroy)의 세계 제국의 역사: 나폴레옹과 세계 정복 (1812–1832)(Histoire de la Monarchie universelle: Napoléon et la conquête du monde (1812–1832))으로, 나폴레옹프랑스 제1제국이 1811년 러시아 원정과 1814년 영국 정벌에서 승리를 거두고, 이후 전 세계를 나폴레옹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상상하는 내용이다.

영어에서 최초로 알려진 대체 역사는 1845년에 발간된 너새니얼 호손단편소설 P.의 서신(P.'s Correspondence)이다. 이야기는 달라진 1845년에서의 인식으로 인해 "미친 사람"으로 취급되는 사람의 이야기로, 현실에서 죽은 지 오래된 로버트 번스, 조지 고든 바이런, 퍼시 비시 셸리, 존 키츠, 배우 에드먼드 킨(Edmund Kean), 정치인 조지 캐닝(George Canning), 심지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등의 유명인들이 아직도 살아 있다.

영어 최초의 대체 역사 소설은 캐스털로 홀포드(Castello Holford)의 아리스토피아(Aristopia)(1895)이다. 루이 조프리의 세계 제국의 역사: 나폴레옹과 세계 정복 (1812–1832)만큼 민족주의적이진 않지만, 아리스토피아도 이상 사회를 다루려는 시도이다. 아리스토피아에서는 버지니아의 첫 이주민들이 으로 된 암초를 발견해 북아메리카이상 사회를 건설할 수 있게 된다.

20세기 초 대중 소설

많은 대체 역사 소설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등장했다(찰스 페트리(Charles Petrie)의 만약에: 왕당파의 환상(If: A Jacobite Fantasy)(1926) 등).[9] 1931년, 영국의 역사가 존 스콰이어 경(Sir John Squire)은 문집 만약 다르게 일어났더라면(If It Had Happened Otherwise)에서 당대의 주요 역사가들의 에세이들을 모았다. 이 작품에서, 주요 대학의 교수들과 작가들이 "만약 스페인에서 무어인들이 승리했다면"이나 "만약 루이 16세가 확고부동한 성격이었다면" 같은 질문에 관심을 둔다. 에세이는 심오한 학술적 분석부터 헨드릭 빌럼 판 론의 20세기 맨해튼 섬에서의 독립된 네덜란드 도시 국가에 대한 풍자까지 담고 있다. 일러 벨록(Hilaire Belloc), 앙드레 모루아, 윈스턴 처칠 등의 작가들이 참여했다.

워드 무어의 희년을 선포하라의 "남부 독립 전쟁" — 가상의 미국 남북 전쟁 — 에서 남부가 승리한 세계의 1952년 지도.

위의 스콰이어의 책 속 글들 중에는, 미국 남북 전쟁에서 남부가 승리한 세상의 역사가의 관점에서 저술된, 처칠의 "만약 리 장군이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승리하지 못했다면"이 있다. 이 글은 만약 북부가 승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를 상상한다(즉, 대체 역사에서의 인물이 현실 세계와 비슷한 세계를 상상한다는 것이다). 대체 역사 속 관점에서 추측을 하는 이러한 기법은 "반복 대체 역사(recursive alternate history)"나 "이중 추측(double-blind what-if)", 또는 "대체 대체 역사(alternate-alternate history)"으로 알려져 있다."[10] 처칠의 에세이는 워드 무어(Ward Moore)의 희년을 선포하라(Bring the Jubilee)에 일부 영항을 주었는데, 여기서는 로버트 E. 리 장군이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마침내 남부미국 남북 전쟁(작중 "남부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는 길을 닦는다. 주인공 호긴스 백메이커(Hodgins Backmaker)는 게티즈버그 전투 당시로 시간 여행을 해 우연히 역사를 바꾸고, 현실에서의 역사가 발생해 결국 북부의 승리라는 결과를 낳는다.

미국에서의 대체역사

SF의 하위 장르로 여기는 추세이다. 최초로 출판된 대체역사소설은 필립 딕높은 성의 사나이로 그 당시 추축국이 지배하는 세상의 모습을 자세히 묘사해 미국SF계의 최고의 상이라 일컬여지는 휴고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대체역사

한국에게 근현대사는 고난과 역경의 순간이었다. 현실에서의 역사의 모습에 열등감을 느낀 사람들은 역사 속에서는 기회가 몇 번씩 있었다는 것을 떠올려냈다. 대표적으로 6.25 전쟁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의 만주에 핵폭탄 투하 및 중화민국과의 연계 주장, 제국주의 시대 조선의 근대화 등의 가정이 제시되었다.

현대 한국 문학에서의 대체 역사 소설의 시작에는 1987년 복거일비명을 찾아서 등이 있다.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로서 역사와 한국어 등 민족의 정체성을 상실한 1980년대를 그린 비명을 찾아서는 군사독재 체재의 현실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 위해 대체 역사를 이용했다.

2000년, 하이텔디펜스 코리아한제국 건국사가 연재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이후 대체 역사 소설 작가들이 늘어나고 여러 소설들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적 열등감을 씻어내려는 시도의 이러한 소설들 중 대부분은 극단적인 국수주의와 한국이 열강으로 급부상해 주변국들을 병합하거나 간접적으로 세계정세를 쥐락펴락하는 등의 제국주의적 면모에 지적이 적지 않은 추세이다.

작품 예시

미국

한국

참조

  1. Brave New Words: The Oxford Dictionary of Science Fiction (옥스포드 유니버시티 프레스, 2007) notes the preferred usage of "Alternate History" as well as is primacy in coinage, "Alternate History" was coined in 1954 and "Alternative History" was first used in 1977, pp.4-5.
  2. “Definition of "alternative history" | Collins English Dictionary”. 《www.collinsdictionary.com》. 2017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Steven H Silver. “Uchronicle”. Helix. 2017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Evelyn C. Leeper (August 13, 2001). “Alternate History 101”. 2009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1일에 확인함. 
  5. “Livy's History of Rome”. Marquette University. 2017년 2월 22일에 확인함. 
  6. Dozois, Gardner; Stanley Schmidt (1998). 《Roads Not Taken: Tales of Alternate History》. New York: Del Rey. 1–5쪽. ISBN 0-345-42194-9. 
  7. Turtledove, Harry; Martin H. Greenberg (2001). 《The Best Alternate History Stories of the 20th Century》. New York: Del Rey. 1–5쪽. ISBN 978-0-345-43990-1. 
  8.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9, chapter 19”. Perseus.tufts.edu. 2017년 2월 22일에 확인함. 
  9. “If: A Jacobite Fantasy”. Jacobite.ca. 2017년 2월 22일에 확인함. 
  10. “If Lee Had Not Won the Battle of Gettysburg - The Churchill Centre”. Web.archive.org. 2006년 12월 6일. 2006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2일에 확인함.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