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공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6.110.187.135 (토론)님의 2014년 2월 9일 (일) 01:40 판
인신공희

인신공희(人身供犧)는 제사 때 산 사람을 신에게 희생물로 바친 것을 말한다. 옛날의 제사에서 공양의 희생물로 인간을 신에게 바친 일이며 '인신공여' · '인신공양'이라고도 한다. [1]

역사

사람을 희생으로 바치는 제의는 죽은 자를 위한 영원한 봉사를 뜻하는 ‘순장(殉葬)’의 형태이지만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신공희는 전 세계에 걸쳐 수렵시대·유목시대를 거쳐 농경시대까지 폭넓게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신화와 전설, 고고학적 자료로 미루어 볼 때 페루·잉카·고대 이집트·메소포타미아·팔레스타인·이란·인도·그리스·로마·중국 등 고대 문명의 발상지에서는 대부분 인신공희가 있었다. 그러므로 제물을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 행위의 기원이 인신공희에 있다는 설도 있다.

특히 고고학사에서 멕시코 지역(테오티우아칸[2])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달의 피라미드 때문이다. 이 피라미드는 도시 전체를 관통하며 설계된 길인 이른바 ‘죽은자의 길’ 끝에 우뚝 솟은 거대 피라미드였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했던 왕국답게 이 곳에서는 사람의 심장과 피를 제물을 바쳤던 것으로 연구됐다.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었는데 놀라운 것은 ‘인신공희’가 다른 지역에서 사라진 뒤에도 유독 테오티우타칸[2]을 중심으로 한 중남미 지역에서는 오래 유지됐다는 부분이다. 테오티우타칸[2]이 7세기 홀연히 자취를 감춘 뒤에도 무려 16세기, 에스파냐가 이 지역을 점령한 뒤까지 이 의식이 유지됐다는 기록이다. [1][3]

목적

인신공희 설화는 인신공희를 통하여 신과의 대화를 뜻한다. 이 설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어 각종 구비전승과 신화에서 발견된다. 기독교의 성서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메소포타미아 히브리 신화에서 아브라함이 아들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여호와의 명에 따르는 대목이 대표적이다. 신에게 드리는 제물로 신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언약 관계의 증표로 인간의 희생을 목적으로 하였다. [1]

설화

한국의 인신공희 설화는 대체로 인신을 제물로 바치는 악습이 없어지게 된 유래담이 많다. 개성의 지네산전설, 청주 지네장터전설, 제주도의 금녕사굴전설 등이 있다.

이러한 인신공희 설화는 고전소설 『심청전』의 근원설화(根源說話)가 되기도 하였다. 『심청전』에 영향을 끼친 '거타지' 설화도 역시 인신공희를 줄거리로 삼고 있다. 거대한 토목공사를 할 때에 어떤 사람을 물 속이나 흙 속, 혹은 그 재료 속에 파묻는 것을 인주(人柱)라 하고, 인신을 제공하는 인신공여는 이를 소재로 한 설화로 인신공희 설화의 한 종류이다. 인신공여라는 설화는 신라성덕대왕신종 전설(에밀레종 전설)이 유명하다. [1]

같이 보기

주석

  1. 문학비평용어사전(2006년 국학자료원 출판) 참조
  2. 테오티우아칸(teotihuacan)은 멕시코시(市)에서 북동쪽으로 52km 떨어져 있었던 왕국으로 기원전 2세기경 건설되기 시작하여, 기원 후 4세기부터 7세기 사이에 전성기를 맞았다고 하는데 전성기 인구는 대략 12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테오티우아칸은 광범위한 교역을 통해 경제력을 축적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해 중미 전역에 세력을 떨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대유적, 모리노 다쿠미·마쓰시로 모리히로 지음, 이만옥 옮김, 2007년 들녘 출판) 참조
  3. “멕시코서 해골 150구 발견…“인간제물 흔적””. 헤럴드경제. 2013년 7월 15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