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옥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사실관계수정(토론)의 36204982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43번째 줄: 43번째 줄:
[[1935년]] [[9월 8일]]([[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청송군)|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1935년]] [[9월 8일]]([[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청송군)|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김익동(金益東, 1933. 3. 5. ~ 2000. 4. 19.) [[경북대학교]] [[총장]], 제헌 귀족원 [[김복동 (1933년)|김복동]](金復東, 1933. 3. 5. ~ 2000. 4. 19.)이 친오빠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現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대한제국 고종]] 28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김익동(金益東, 1930. 4. 27. ~ 2022. 5. 23.) [[경북대학교]] [[총장]], 제헌 귀족원 [[김복동 (1933년)|김복동]](金復東, 1933. 3. 5. ~ 2000. 4. 19.)이 친오빠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現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대한제국 고종]] 28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가정교육학]]에 진학하였다가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중퇴하고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交河 盧氏)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가정교육학]]에 진학하였다가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중퇴하고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交河 盧氏)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영부인은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은 인물이기도 하다. 2002년, 남편이 암으로 투병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영부인은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을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냈다.
영부인은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은 인물이기도 하다. 2002년, 남편이 암으로 투병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영부인은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을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렇게 2021년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렇게 2021년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집사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아들 [[노재헌]](盧載憲)은 어머니께서 남편인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아들 [[노재헌]](盧載憲)은 어머니께서 남편인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 부계(父系)
* 부계(父系)
{{김옥숙 가계도}}
{{김옥숙 가계도}}
* 시계
* 시계(媤系)
{{노태우 가계도}}
{{노태우 가계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 그외 것들 ==
* [[경순왕]](敬順王, 927. 11. ~ 935. 12. 12.) [[신라]] [[황제]]의 재종질 [[김선평]](金宣平, 930. ~ ?.) [[태사]]의 직계후손이다.

* 2021년 10월 26일, [[노태우]](盧泰愚, 1932. 12. 4. ~ 2021 10. 26.) 대통령 서거 이후 [[노태우]] 전 [[대통령]]이 2006년 병상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과 더불어 남편을 따라 2021년 4월 경,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노태우 대통령 입관식은 오웅진 신부 주례 하에 천주교 예식으로 진행되었다.

* 1988년 2월 25일, 대관한 당일 취임식 직후 광주광역시를 찾아 극비리에 망월동 [[5.18]] 구묘역을 방문하여 학살된 자들에 대한 숭고한 희생에 대하여 참배했다.

* 모교인 경북여자고등학교에 고액을 기부했다.

* 2021년 10월 27일, [[국장 (장례)|장례 국장]] 중 한 시민이 사위 [[최태원 (기업인)|최태원]]에게 [[정상배]]라는 말을 하며 소리를 지르던 사건이 있었다. 이에 영부인의 경호진들이 시민을 끌고 갔다.


== 대중 매체 ==
== 대중 매체 ==

2024년 1월월 6일 (토) 00:59 판

김옥숙
金玉淑
대한민국제13대 영부인
임기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전임 이순자
후임 손명순
대통령 노태우

신상정보
출생일 1935년 9월 8일(1935-09-08)(88세)
출생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국적 대한민국
성별 여성
학력 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가정교육학 중퇴
본관 안동
부모 아버지: 김영한, 어머니: 홍무경
배우자 노태우
자녀 노소영, 노재헌
종교 천주교 (세례명:마리아)

김옥숙(金玉淑, 1935년 9월 8일 (1935년 음력 8월 11일) ~ )은 대한민국정치인 가문이며 제13대 영부인이다.

학력

생애

1935년 9월 8일(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김익동(金益東, 1930. 4. 27. ~ 2022. 5. 23.) 경북대학교 총장, 제헌 귀족원 김복동(金復東, 1933. 3. 5. ~ 2000. 4. 19.)이 친오빠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現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대한제국 고종 28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에 진학하였다가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중퇴하고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交河 盧氏)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언론 인터뷰도 거의 한 적이 없으며 복지기관 방문 등의 단독 일정도 무조건 비공개였다. 그래서인지 대통령 배우자 중에서 가장 겸손하고 행동이 조심스러웠던 국모였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제6공화국 수립 이후인 1988년 5월 18일, 극비리에 광주 5.18 묘역을 찾아 참배를 했었다. 사망하는 순간까지 광주 시민을 유혈 진압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은 전두환(全斗煥, 1931. 1. 18. ~ 2021. 11. 23.) 제11-12대 대통령과 그에 적극 동조하는 이순자와는 대비되는 점이다.

남편 노태우(盧泰愚, 1932. 12. 4. ~ 2021 10. 26.) 제13대 대통령의 퇴임 후에도 조용한 행보를 이어갔고, 특히 과거사에 대해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이 역시 전임 대통령 배우자였던 이순자와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다만 거동이 불편했기에 아들 노재헌을 통해 대신 사과의 뜻을 전했다. 2020년 5월 18일, 노재헌이 광주 망월동 5.18 구묘역의 이한열 열사 묘소를 찾았는데 김옥숙의 이름으로 조화를 헌화했다.

영부인은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은 인물이기도 하다. 2002년, 남편이 암으로 투병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영부인은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을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렇게 2021년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집사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아들 노재헌(盧載憲)은 어머니께서 남편인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2021년 10월 30일, 거행된 남편 노태우 대통령의 영결식에 휠체어를 타고 지팡이를 손에 쥔 모습으로 참석,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헌화했다. 영결식 직후 서울추모공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고 온 차로 이동하는 길에 영결식에 와 준 참석자들에게 손인사를 하였다.

가족 관계

  • 부계(父系)
김영한
(金永漢)
1900~1980
홍무경
1908~1997
김진동

1927~
김익동

1930~2022
김복동
(金復東)
1933~2000
김옥숙
(金玉淑)
1935~
노태우
(盧泰愚)
1932~2021
김정숙

1937~
금진호
(琴震鎬)
1932~
노소영
(盧素英)
1961~
최태원
(崔泰源)
1960~
노재헌
(盧載憲)
1965~
  • 시계(媤系)
노병수
(盧秉壽)
1901~1940
김태향
(金泰香)
1907~1999
노태우
(盧泰愚)
1932~2021
김옥숙
(金玉淑)
1935~
노재우
1937~
노소영
(盧素英)
1961~
최태원
(崔泰源)
1960~
노재헌
(盧載憲)
1965~


참고 문헌

대중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