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61.77.1.179(토론)의 27460696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3번째 줄: 3번째 줄:
|역명2 =
|역명2 =
|그림 = Myeongdeok station platform Daegu metro line 1 - 20180522 090457.jpg
|그림 = Myeongdeok station platform Daegu metro line 1 - 20180522 090457.jpg
|그림설명 = 1호선 승강장 ([[안심역|안심]] 방면)
|그림설명 = 1호선 안심 방향 승강장
|그림2 = Myeongdeok station sign Daegu metro line3 20170127 172714.jpg
|그림2 = Myeongdeok station sign Daegu metro line3 20170127 172714.jpg
|그림설명2 = 3호선 역명판 ([[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방면)
|그림설명2 =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향 역명판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DT}}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DT}}
|역번호 = 1호선 : 129<br>3호선 : 331
|역번호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129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331
|소재지 = '''1호선'''<br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중앙대로 (대구)|중앙대로]] 지하185<br />'''3호선'''<br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 186
|소재지 = '''1호선'''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중앙대로 (대구)|중앙대로]] 지하185
'''3호선'''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남구]] [[명덕로 (대구)|명덕로]] 186
|좌표 = {{좌표|35.857909|128.591087|format=dms|display=inline|type:railwaystation_region:KR}}
|좌표 = {{좌표|35.857909|128.591087|format=dms|display=inline|type:railwaystation_region:KR}}
|관할 = [[대구도시철도공사]]
|관할 = [[대구도시철도공사]]
|개업일 = 1호선 : [[1997년]] [[11월 26일]]<br />3호선 : [[2015년]] [[4월 23일]]
|개업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2015년]] [[4월 23일]]
|승강장 = 1호선 : 2면 2선<br />3호선 : 2면 2선
|승강장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2면 2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2면 2선
|노선1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노선1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영업거리1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기점 12.3 km
|영업거리1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기점 12.3km
|전역1 = [[교대역 (대구)|교대]]
|전역1 = [[교대역 (대구)|교대]]
|전거리1 = 0.7
|전거리1 = 0.7
20번째 줄: 24번째 줄:
|후거리1 = 0.8
|후거리1 = 0.8
|노선2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노선2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영업거리2 = [[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기점 14.8 km
|영업거리2 = [[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기점 14.8km
|전역2 = [[남산역 (대구)|남산]]
|전역2 = [[남산역 (대구)|남산]]
|전거리2 = 0.6
|전거리2 = 0.6
27번째 줄: 31번째 줄:
}}
}}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Myeongdeok Station(2'''·28 Democracy Movement Hall)''', 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과 남구 대명동에 걸쳐 있는<ref>1호선은 중구 남산1동에, 3호선 환승 통로는 남구 대명2동에 있다.</ref>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이다.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Myeongdeok Station(2'''·28 Democracy Movement Hall)''', 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남산동 (대구)|남산동]]과 [[남구 (대구광역시)|남구]] [[대명동 (대구)|대명동]]에 걸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 특징 ==
== 역사 ==
* [[1997년]] [[11월 26일]]([[수요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중앙로역 (대구)|중앙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호선과 3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며, 1호선은 중앙대로에, 3호선은 명덕로에 있다.
* [[2003년]] [[2월 18일]]([[화요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8개월 동안 영업 중단

* [[2003년]] [[10월 21일]]([[화요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대구)|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참사 8개월 만에 영업 재개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2003년]] [[10월 20일]]까지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2009년]] [[3월 13일]] [[아양교역]]과 함께 2번 출구 앞에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50404 대구도시철도 명덕역, 아양교역 승강기 가동]《연합뉴스》2009.3.13</ref> 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반월당역]] 사이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되는 연결 선로<ref>2호선 [[영남대역|영남대]] 방면과 1호선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만 연결된다.</ref>가 있으며, 2호선 전동차가 [[월배차량사업소]] 중검수를 목적으로 이용한다.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면서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 되었고, 3호선 환승 통로는 대명2동 방면에 있다. 그리고 이 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환승역]]([[청라언덕역]], 명덕역, [[반월당역]]) 중 유일하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끼리 환승이 이루어지는 역이며,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ref>[[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명덕역의 번호는 129번,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명덕역의 번호는 331번이다.</ref>
* [[2009년]] [[3월 13일]]([[금요일]]) : 2번 출입구 앞 [[엘리베이터]] 신설
또, 어느 순간부터 명덕역에서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으로 역명이 바뀐 역이다.
* [[2015년]] [[4월 23일]]([[목요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용지역]]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 [[2016년]] [[8월 5일]]([[금요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ref>[[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음</ref> 설치
3호선의 개통으로 기존 1호선 측 출구였던 2 ~ 4번 출구가 각각 5 ~ 7번 출구로 변경되었다.

이 역의 발빠짐 안내방송은 설화명곡 방면에서만 나온다. (안심 방면은 승강장에서는 발빠짐 안내방송이 나오나, 열차 안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 역명의 유래 ==
== 역명의 유래 ==
역이 위치한 사거리인 명덕 네거리와 역 인근 도로인 명덕로에서 유래되었다.
역이 위치한 4거리인 명덕네거리와 역 인근 도로인 명덕로에서 유래되었다.


== 역사 ==
== 특징 ==
[[1997년]] [[11월 26일]]([[수요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중앙로역 (대구)|중앙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3년]] [[2월 18일]]([[화요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2003년]] [[10월 20일]]([[월요일]])까지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2009년]] [[3월 13일]]([[금요일]]) [[아양교역]]과 함께 2번 출구 앞에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50404 [[대구도시철도]] 명덕역, [[아양교역]] [[승강기]] 가동]《[[연합뉴스]][[2009년]] [[3월 13일]]([[금요일]])</ref>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반월당역]] 사이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되는 연결 선로<ref>[[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영남대역|영남대]] 방면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만 연결된다.</ref>가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전동차]]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월배차량사업소]] 중검수를 목적으로 이용한다. [[2015년]] [[4월 23일]]([[목요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면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그리고 이 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환승역]]([[청라언덕역]], 명덕역, [[반월당역]]) 중 유1하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끼리 [[환승]]이 이루어지는 역이다. 또, 어느 순간부터 명덕역에서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으로 역명이 바뀐 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의 개통으로 기존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측 출입구였던 2번~4번 출입구가 각각 5번~7번 출입구로 변경되었다. 이 역의 발빠짐 안내방송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서만 나온다.([[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안심]] [[방향]] [[승강장]]에서는 발빠짐 안내방송이 나오나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열차]] 안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 [[1997년]]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8개월 동안 영업 중단
* [[2003년]] [[10월 21일]] : [[중앙로역 (대구)|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참사 8개월 만에 영업 재개
* [[2009년]] [[3월 13일]] : 2번 출구 앞 [[엘리베이터]] 신설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 [[2016년]] [[8월 5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ref>설화명곡 방면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다.</ref> 설치


== 역 구조 ==
== 역 구조 ==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ref>1호선은 완전 밀폐형이, 3호선은 난간형이 설치되어 있다.</ref>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인 [[반월당역]]처럼 1호선에서 3호선으로 환승할 때 열차 앞칸과 끝칸에 환승 통로가 있다.<ref>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끝칸, 안심 방면은 열차 앞칸으로 내려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반월당역]] 반대로 안심 방면은 열차 끝칸, 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앞칸 쪽에 3호선으로 통하는 환승 통로가 있다.</ref> 두 노선 모두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3호선이 청라언덕역과 함께 확장공사를 완료 하였다. 1호선의 경우, 승강장이 곡선이라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어서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설화명곡 방면만 설치됨, 안심 방면은 곡선 구간이 대부분 3호선 연결 통로쪽으로 많이 있어 자동 발빠짐 장치는 설치하지 않음)
두 노선 모두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이 [[청라언덕역]] 함께 확장공사를 완료하였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경우 [[승강장]]이 [[곡선]]이라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어서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만 설치됨, [[안심역|안심]] [[방향]] [[승강장]]은 [[곡선]] 구간이 대부분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연결 통로쪽으로 많이 있어 자동 발빠짐 장치는 설치하지 않음)


=== 1호선 승강장 ===
=== 1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완전밀폐형|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71번째 줄: 69번째 줄:
|[[반월당역|반월당]]·[[중앙로역 (대구)|중앙로]]·[[안심역|안심]] 방면
|[[반월당역|반월당]]·[[중앙로역 (대구)|중앙로]]·[[안심역|안심]] 방면
|}
|}
* 승강장 번호는 없다.
* 승강장 벽면 색상은 [[파란색]]이다.


=== 3호선 승강장 ===
=== 3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난간형|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92번째 줄: 89번째 줄:
|[[수성시장역|수성시장]]·[[수성못역|수성못]]·[[범물역|범물]]·[[용지역|용지]] 방면
|[[수성시장역|수성시장]]·[[수성못역|수성못]]·[[범물역|범물]]·[[용지역|용지]] 방면
|}
|}

* 승강장 번호는 없다.
=== 환승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인 [[반월당역]]처럼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으로 [[환승]]할 때 열차 앞칸과 끝칸에 환승 통로가 있다.<ref>[[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끝칸,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안심역|안심]] 방면은 열차 앞칸으로 내려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으로 [[환승]]하는 [[반월당역]]과 반대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안심역|안심]] 방면은 열차 끝칸,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앞칸 쪽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으로 통하는 환승 통로가 있다.</ref>


== 역 주변 ==
== 역 주변 ==
*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 남산동우체국
* [[남산동 (대구)|남산동]][[우체국]]
* [[대구명덕초등학교]]
* [[대구명덕초등학교]]
* [[우리은행]] 명덕지점
* [[우리은행|우리은행 명덕지점]]
* 프린스호텔
* 프린스호텔
* [[경북예술고등학교]]
* [[경북예술고등학교]]
* 대명2동행정복지센터
* [[대명동 (대구)|대명2동 행정복지센터]]
* 수도맨션
* 수도맨션
* 동대구[[농협]] 남산지소
* [[농업협동조합 (대한민국)|동대구농협 남산지소]]
* [[경북여자고등학교]]
* [[경북여자고등학교]]
* 남문시장
* 남문시장
* 남산1동행정복지센터
* [[남산동 (대구)|남산1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은행]] 남문시장지점
* [[대구은행|대구은행 남문시장지점]]
* [[천주교 대구대교구]] 남산성당
* 천주교 대구대교구 남산성당
*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 [[대구가톨릭대학교|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 2·28민주운동([[2·28 대구 학생의거]])기념회관
* 2·28민주운동([[2·28 대구 학생의거]])기념회관
* 조은소리보청기
* 조은소리보청기
* 탑마트 대구점
* [[탑마트|탑마트 대구점]]


== 승차량 변동 ==
== 승차량 변동 ==
3호선 개통 이후 1호선 명덕역의 이용객이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개통 이후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명덕역의 이용객이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 rowspan="2" | 노선
! rowspan="2" | 노선
200번째 줄: 199번째 줄:
|
|
|
|
|<ref name="dtro">http://www.dtro.or.kr/ {{웨이백|url=http://www.dtro.or.kr/ |date=20090130050221 }}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대구도시철도공사</ref>
|<ref name="dtro">http://www.dtro.or.kr/ {{웨이백|url=http://www.dtro.or.kr/ |date=20090130050221 }}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대구도시철도공사]]</ref>
|-
|-
|align=center|[[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align=center|[[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226번째 줄: 225번째 줄:
== 사진 ==
== 사진 ==
<gallery>
<gallery>
파일:Myeongdeok 2 28 Democracy Movement Hall Station 20150424 160801.jpg|3호선 승강장(용지 방면)
파일:Myeongdeok 2 28 Democracy Movement Hall Station 20150424 160801.jpg|3호선 용지 방향 승강장
파일:Myeongdeok 2 28 Democracy Movement Hall Station 20150424 160650.jpg|3호선 개찰구
파일:Myeongdeok 2 28 Democracy Movement Hall Station 20150424 160650.jpg|3호선 개찰구
</gallery>
</gallery>
254번째 줄: 253번째 줄:
{{인접정차역/닫기}}
{{인접정차역/닫기}}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visual.railportal.kr/v2/altmInfoSys/index.do?areCd=03&railOprIsttCd=DG&lnCd=1&prprStinCd=0777&screen=stin&isKorLines=Y 대구도시철도공사 1호선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v2/altmInfoSys/index.do?areCd=03&railOprIsttCd=DG&lnCd=1&prprStinCd=0777&screen=stin&isKorLines=Y }}
* [http://visual.railportal.kr/v2/altmInfoSys/index.do?areCd=03&railOprIsttCd=DG&lnCd=1&prprStinCd=0777&screen=stin&isKorLines=Y [[대구도시철도공사]]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v2/altmInfoSys/index.do?areCd=03&railOprIsttCd=DG&lnCd=1&prprStinCd=0777&screen=stin&isKorLines=Y }}


== 각주 ==
<references/>
{{대구 1호선}}
{{대구 1호선}}
{{대구 3호선}}
{{대구 3호선}}

2020년 8월 31일 (월) 22:10 판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
1호선 안심 방향 승강장
1호선 안심 방향 승강장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향 역명판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향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 대구도시철도공사
소재지 1호선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지하185

3호선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 186

좌표 북위 35° 51′ 28″ 동경 128° 35′ 28″ / 북위 35.857909° 동경 128.591087°  / 35.857909; 128.591087
개업일 1호선 : 1997년 11월 26일

3호선 : 2015년 4월 23일

역 번호 1호선 : 129

3호선 : 331

승강장수 1호선 : 2면 2선

3호선 : 2면 2선

거리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 기점 12.3km
교대
(0.7 km)
반월당
(0.8 km)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 기점 14.8km
남산
(0.6 km)
건들바위
(0.9 km)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Myeongdeok Station(2·28 Democracy Movement Hall), 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남구 대명동에 걸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도시철도 3호선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역사

역명의 유래

역이 위치한 4거리인 명덕네거리와 역 인근 도로인 명덕로에서 유래되었다.

특징

1997년 11월 26일(수요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중앙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3년 2월 18일(화요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2003년 10월 20일(월요일)까지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2009년 3월 13일(금요일) 아양교역과 함께 2번 출구 앞에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2] 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반월당역 사이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되는 연결 선로[3]가 있으며, 2호선 전동차대구 도시철도 1호선월배차량사업소 중검수를 목적으로 이용한다. 2015년 4월 23일(목요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면서 1호선3호선환승역이 되었다. 그리고 이 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환승역(청라언덕역, 명덕역, 반월당역) 중 유1하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끼리 환승이 이루어지는 역이다. 또, 어느 순간부터 명덕역에서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으로 역명이 바뀐 역이다. 3호선의 개통으로 기존 1호선 측 출입구였던 2번~4번 출입구가 각각 5번~7번 출입구로 변경되었다. 이 역의 발빠짐 안내방송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서만 나온다.(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 방향 승강장에서는 발빠짐 안내방송이 나오나 열차 안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역 구조

두 노선 모두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3호선청라언덕역과 함께 확장공사를 완료하였다. 1호선의 경우 승강장곡선이라서 열차승강장 사이가 넓어서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만 설치됨, 안심 방향 승강장곡선 구간이 대부분 3호선 연결 통로쪽으로 많이 있어 자동 발빠짐 장치는 설치하지 않음)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교대
| |
반월당
상행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영대병원·서부정류장·설화명곡 방면
하행 반월당·중앙로·안심 방면

3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남산
| |
건들바위
상행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만평·칠곡운암·칠곡경대병원 방면
하행 수성시장·수성못·범물·용지 방면

환승

1호선2호선전철역이자 환승역반월당역처럼 1호선에서 3호선으로 환승할 때 열차 앞칸과 끝칸에 환승 통로가 있다.[4]

역 주변

승차량 변동

3호선 개통 이후 1호선 명덕역의 이용객이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노선 승차 인원 주석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호선 3,007 4,726 5,104 미공개 4,743 4,910 1,337 4,534 4,624 6,115 5,976 5,971 5,919 5,953 6,080 5,874 5,849 5,579
노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1호선 5,004 4,281 [5]
3호선 2,974 3,090 [5]

사진

인접한 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8 교대
설화명곡 방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30 반월당
안심 방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30 남산
칠곡경대병원 방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32 건들바위
용지 방면

외부 링크

각주

  1. 설화명곡 방향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음
  2. 대구도시철도 명덕역, 아양교역 승강기 가동《연합뉴스2009년 3월 13일(금요일)
  3. 2호선 영남대 방면과 1호선 설화명곡 방면만 연결된다.
  4. 1호선 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끝칸, 1호선 안심 방면은 열차 앞칸으로 내려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반월당역과 반대로 1호선 안심 방면은 열차 끝칸, 1호선 설화명곡 방면은 열차 앞칸 쪽에 3호선으로 통하는 환승 통로가 있다.
  5. http://www.dtro.or.kr/ Archived 2009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대구도시철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