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시노프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시노프릴
Structural formula of lisinopril
Ball-and-stick model of the lisinopril zwitterion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S)-1-[(2S)-6-amino-2-[[(1S)-1-carboxy-3-phenylpropyl]amino]hexan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83915-83-7
ATC 코드 C09AA03 C09BA03 C10BX07 C09BB03
PubChem 5362119
드러그뱅크 DB00722
ChemSpider 4514933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1H31N3O5 
분자량 ?
유의어 (2S)-1-[(2S)-6-amino-2-{[(1S)-1-carboxy-3-phenylpropyl]amino}hexan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대략 25%, 그러나 개인별 편차가 큼 (6~60%)
단백질 결합 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없음
생물학적 반감기 12시간
배출 대사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제거됨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D(오스트레일리아)[1]not recommended[2][1]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리시노프릴(Lisinopril)은 ACE 억제제에 속하는 약물로 고혈압, 심부전, 심근경색 등의 치료에 쓰인다.[2] 고혈압의 1차 치료제 중 하나로 사용하며, 당뇨병 환자의 콩팥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기도 한다.[2] 경구로 투여한다.[2] 최대 효과에 이르기까지 4주 정도가 소요된다.[2]

흔한 부작용으로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 기침, 구역질, 발진이 있다.[2] 발생 가능한 심각한 부작용에는 저혈압, 간 이상, 고칼륨혈증, 혈관부종이 있다.[2] 아기에게 위해를 가할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 중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2]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를 억제하여 작용한다.[2]

리시노프릴은 1978년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1987년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2][8]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2] 2021년 기준으로 미국에서는 4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이었으며, 1년 동안 8,800만 건 이상 처방되었다.[9][10] 2016년, 리니소프릴 경구 용액 제형이 미국에서 사용 승인되었다.[2][11]

의학적 사용[편집]

리시노프릴의 일반적인 적응증에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와 급성 심근경색 발생 이후 관리 등이 있다.[2][5]

부작용[편집]

흔한 부작용에는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 기침, 구역질, 발진 등이 있다.[2] 저혈압, 간 효소 이상, 고칼륨혈증, 혈관부종 등이 심한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2] 태아에게 위험하므로 임신 중 사용하지 않는다.[2]

동물 및 사람 대상 데이터에 따르면 ACE 억제제는 배아와 태아에 대한 독성을 가진다.[5]

금기증[편집]

유전성 혈관부종이나 특발성 혈관부종이 있는 환자, 당뇨병 환자, 알리스키렌 복용 중인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5]

상호작용[편집]

치과 치료[편집]

리시노프릴 같은 ACE 억제제는 일상적인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대개 안전하다고 생각되지만, 치과 수술 이전에 리시노프릴을 사용하는 것에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몇몇 치과의사는 시술 당일 아침에는 사용 중단을 권고하기도 한다.[12] 감염이 의심되는 치아가 있다면 단순히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으나, 입 주변이 부었다면 리시노프릴 유도 혈관부종 때문일 수 있으므로 응급으로 의료 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12]

약리학[편집]

리시노프릴은 에날라프릴라이신 유사체이다. 다른 ACE 억제제와 달리 리시노프릴은 전구약물이 아니므로 의 대사를 받지 않으며, 대사되지 않은 채로 소변으로 배설된다.[5]

작용 기전[편집]

리시노프릴은 ACE 억제제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롤계(RAAS)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작용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안지오텐신 1이 안지오텐신 2로 변환되는 것을 막는다. 안지오텐신은 강력하게 직접 혈관을 수축시키며 알도스테론 방출을 자극한다. 안지오텐신 2 양이 감소하면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 분비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콩팥에서 나트륨 이온과 물을 소변으로 내보내는 양은 증가하고 칼륨 이온의 재흡수량은 증가한다.[13] 특히 이 과정은 세관주위모세혈관에서 스탈링힘이 변화하면서 발생한다.[14] 전반적으로 RAAS가 억제되면 혈압은 감소한다.[13]

흡수[편집]

리시노프릴의 경구 투여 후, 최대 혈청 농도에 이르는 데에는 7시간 정도가 소요되지만,[5][13]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최대 혈청 농도에 도달하는 데에 약간 시간이 더 걸리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인구에서 리시노프릴의 최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투여 6시간 정도 후이다.[15][16] 혈청 농도의 감소는 약물의 축적에 기여하지 않는, 말기 단계가 연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말기 단계는 ACE 결합이 포화되어 용량-반응이 비례 관계를 잘 따르지 않는다. 리시노프릴은 대사되지 않으므로 흡수된 리시노프릴은 전혀 변환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전부 배설된다. 소변을 회수하여 조사한 결과, 리시노프릴의 평균 흡수 정도는 대략 25%이며 NYHA II-IV급 심부전 환자에서는 16%까지 감소한다. 그러나 투여 용량(5~800 mg)에 따라 환자 사이에 편차가 6~60%로 컸다.[5][13] 한편 위장관계의 음식 존재 여부는 리시노프릴 흡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5][17][18]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리시노프릴은 혈액뇌장벽(BBB)을 잘 가로지르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리시노프릴을 여러 번 투여했으나 뇌 조직에는 거의, 혹은 전혀 축적되지 않았다.[19]

분포[편집]

리시노프릴은 혈중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는다.[5][13] NYHA II-IV급 심부전 환자에서는 잘 분포되지 않는다.[5][13]

제거[편집]

리시노프릴은 전혀 변환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배설된다.[5][13] 리시노프릴의 반감기는 12시간으로, 콩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반감기가 증가한다.[5][13] 혈장 반감기는 12~13시간으로 측정되었지만, 소변으로 제거되는 반감기는 훨씬 길어서 대략 30시간 정도이다.[15] 작용 시간은 24~30시간이다.[15]

리시노프릴은 ACE 억제제 중에서 물에 녹는 유일한 약제므로 에서 대사되지 않는다.[15]

화학[편집]

리시노프릴 퓨어 파우더는 백색, 혹은 백색에 가까운 희미한 색을 띤다.[5] 리시노프릴은 물에 녹으며, 실온에서 용해도는 약 13 mg/L이다.[20] 메탄올에는 물보다 잘 녹지 않으며, 에탄올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5]

각주[편집]

  1. “Lisinopril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10월 22일. 2020년 2월 27일에 확인함. 
  2. “Lisinopril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8년 12월 23일에 확인함. 
  3. “Product monograph brand safety updates”. 《Health Canada》. February 2024. 2024년 3월 24일에 확인함. 
  4.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 (emc)”. 《Lisinopril 10mg Tablet》. 2019년 11월 13일. 2020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27일에 확인함. 
  5. “Prinivil- lisinopril tablet”. 《DailyMed》. 2019년 11월 4일. 2020년 2월 27일에 확인함. 
  6. “Zestril- lisinopril tablet”. 《DailyMed》. 2019년 10월 31일. 2020년 8월 5일에 확인함. 
  7. “Qbrelis- lisinopril solution”. 《DailyMed》. 2020년 3월 31일. 2020년 8월 5일에 확인함. 
  8.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467쪽. ISBN 978-3-527-60749-5. 
  9.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10. “Lisinopril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11. “Drug Approval Package: Qbrelis (lisinopril)”.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6년 7월 29일. 2020년 8월 5일에 확인함. 
  12. Weinstock RJ, Johnson MP (April 2016). “Review of Top 10 Prescribed Drugs and Their Interaction with Dental Treatment”.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60 (2): 421–434. doi:10.1016/j.cden.2015.11.005. PMID 27040293. 
  13. Katzung B (2012).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New York: McGraw Hill. 175, 184–185쪽. ISBN 978-0-07-176401-8. 
  14. Reddi A (2018). 〈Disorders of ECF Volume: Nephrotic Syndrome〉. 《Fluid, Electrolyte and Acid-Base Disorders》. Springer. ISBN 978-3-319-60167-0. 
  15. Khan MG (2015).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Cardiac Drug Therapy》. New York: Springer. ISBN 978-1-61779-962-4. 
  16. 〈Lisinopril〉. 《Wolters Kluwer Clinical Drug Information》 (영어). Wolters Kluwer. 2024. 
  17. “Lisinopril Tablets, USP”. 《dailymed.nlm.nih.gov》. 2022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8. “Lisinopril: Package Insert / Prescribing Information”. 《Drugs.com》 (영어). 2022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9. Tan, Junhui; Ming Wang, Jun; Leenen, Frans (Feb 2005). “Inhibition of brai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by peripheral administration of trandolapril versus lisinopril in Wistar rats”.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18 (2): 158–164. doi:10.1016/j.amjhyper.2004.09.004. PMID 15752941 – Oxford Academic 경유. 
  20. “Lisinopril”. 《PubChem》. 2018년 6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